ISSN : 1226-9654
모리스 수중미로를 사용하여 내측 전전두피질의 변연전영역이나 전대상피질이 주의통제나 전략변경에 관련되는가 알아보기 위하여 모든 피험동물에게 공간 참조기억 과제, 공간 작업기억 과제, 시각 단서과제 모두를 차례대로 수행시켰다. 변연전영역이나 전대상피질을 전해질손상하여 통제동물과 학습과정을 비교하였다. 첫 번째 과제와 두 번째 과제는 물 밑에 있어 보이지 않는 도피대를 미로 밖에 있는 공간단서를 사용하여 찾아야 하는 공간위치 과제로, 첫 번째 공간 참조기억 과제에서는 도피대의 위치가 변하지 않고 피험동물의 출발위치가 변한다. 두 번째 과제인 공간 작업기억 과제에서는 각 회기마다 도피대의 위치가 변한다. 세 번째 과제인 시각단서 과제에서는 수면 위에 나와 있는 도피대를 보고 찾아가는 과제이다. 변연전영역의 손상은 공간 참조기억 과제나 공간 작업기억 과제에 아무런 결함을 야기시키지 않았다. 그러나 시각단서 과제에는 일시적인 결함을 야기시켰다. 전대상피질 손상동물은 공간 참조기억 과제의 8회기 훈련회기중 7회기 첫 시행과 8회기 첫 시행에서 결함을 나타내었다. 전대상피질 손상동물은 그 후 훈련받은 공간 작업기억 과제에서도 첫 회기 2시행과 2회기 첫 시행에서 결함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시각단서 과제에서는 결함을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자는 변연전영역은 효율적인 주의통제에 중요하고 전대상피질은 도전적인 상황에서 전략적인 감독과정이 중요할 때 관련되는 것으로 제안한다.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the question whether the prelimbic area and anterior cingulater cortes of the rat is important subtrates in the spatial localization task and visually-cued task with Morris water maze. In the spatial localization tasks, with the invisible platform, rats with either prelimbic area or anterior cingulate cortex lesions were subjected to spatial reference memory task, tranfer test and then spatial working memory task. Animals with prelimbic area lesion learned and remembered the spatial task equally as well as their controls. However Animals with anterior cingulater cortex lesion were initially slower in localizing the invisible platform than controls in the spatial reference and the spatial working memory tasks but the impairments were transient. In the visually-cued task with visible platform, animals with prelimbic area lesion showed a transient impairment but animals with cingulate cortex lesion no impairment. Their results were interpreted as showing that prelimbic area may be involved in the attentional control and anterior cingulate cortex in the learning of rules and response reorganization in a new and challenging sit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