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6-9654
본 연구는 개인주의 혹은 집단주의적 사고가 주변시 정보처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실험에서는 문화점화 과제를 사용하여 개인주의 및 집단주의 사고를 각각 점화한 두 집단의 실험참가자를 대상으로 두 가지 변화탐지과제를 실험 1, 2에 걸쳐 진행하였다. 변화탐지과제는 화면에 제시된 자극을 지각하는 동안 시선과 주의 이동을 통제하기 위하여 화면 중앙(시각도 4°)에 제시된 4개의 숫자를 기억하는 1차 기억과제를 수행함과 동시에 숫자자극 주변에 존재하는 시각자극의 특정 속성의 변화를 탐지 하는 이중과제형식으로 진행하였다. 변화탐지를 위한 시각적 자극은 크고 작은 크기를 가진 다양한 색상의 8개의 원들로 구성되었고, 화면 중앙에 가깝게(시각도 8°), 혹은 멀게(시각도 14°) 제시되었다. 주변 시각자극들은 기억해야 하는 숫자들이 사라질 때 때때로 변화하도록 조작되었는데, 제시된 8개의 원들 중 임의의 두 원의 색의 채도와 크기가 각각 변화하거나 혹은 동시에 변화하도록 조작하였다. 실험 1과 2에서 모두 자극의 채도 변화를 변화탐지 표적속성으로 크기 변화는 방해속성으로 규정하였으나, 변화탐지 기준이 서로 달랐다. 실험 1: 포함적 변화탐지 과제에서는 방해 속성인 크기 변화 유무에 상관없이 채도가 변화하면 모두 탐지하도록 하였고, 실험 2: 배타적 변화탐지 과제에서는 표적 속성인 채도만 변화할 경우 탐지하도록 하였다. 실험 1, 2의 결과, 시각 자극이 가깝게 제시된 조건에서 개인주의/집단주의 점화에 따라 상이한 상호작용이 관찰되었다. 실험 1에서 표적 속성인 채도 변화가 있는 경우 개인주의 점화집단이 집단주의 점화집단 보다 정확한 반응을 하였고, 실험 2에서 채도와 크기가 동시에 변화하는 경우 집단주의 점화집단이 개인주의 점화집단에 비해 보다 정확하게 기각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자들은 개인주의와 집단주의 사고방식이 주의를 할당하는 범위를 조절하는 것이 아니라, 질적으로 다른 정보처리를 유도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즉, 개인주의 사고는 과제 수행의 일차적 목표와 관련된 정보를 선택적으로 처리하는 선택적 정보처리를, 집단주의 사고는 과제 목표 관련 정보뿐만 아니라 방해 속성을 포함한 다른 정보도 함께 처리하는 분산적 정보처리를 유도할 수 있다.
The present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the top-down influence of individual and collective thinking on the informational processing of peripheral vision. Using a cultural priming task we primed the thinking style of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for two groups of subjects respectively and conducted two types of change detection tasks with them in Exp 1 and 2. The change detection tasks were embedded in a dual task paradigm with a primary memory task for four numbers presented in the central vision area (visual angle < angle <4°) in order to control subjects’ eye fixation with attentional focus to the central region when perceiving visual stimuli presented in the peripheral vision area. Visual stimuli for the change detection tasks consisted of eight circles with various colors and sizes and were presented in a relatively near distance (visual angle <8°) and a far distance (visual angle <14°) to the central region. When the number stimuli for the memory task were to be disappeared, the change of visual stimuli could be occurred with changes of color saturation and size respectively or both of randomly selected two circles among the presented eight stimuli. We defined the change of the color saturation as the target feature and the size as the distracting features for both change detection tasks in Exp 1 and 2. However, the decision rules for two tasks were different. For the Exp 1 which we named the inclusive change detection task, participants were asked to detect if the change of visual stimuli included the change of target feature, i.e., the change of color saturation. For the Exp 2 named the exclusive change detection task, participants had to detect if only the target feature was changed, otherwise they had to reject all the other cases including the case that the target feature and distracting feature changed simultaneously. In results from Exp 1 and 2, there was a significant priming effect of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when the visual stimuli was presented in the near distance. Results of Exp 1 showed the better detection performance of the individualism priming group when the target feature was changed, while results of Exp 2 showed the more accurate rejection responses of collectivism priming group when the target and distracting features changed simultaneously. Based on the current results, we insisted that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do not modulate the range of attentional allocation, but induce different informational processes. Namely, the individualism may facilitate the selective informational process for the information directly related to current task, while the collectivism may increase the distributed informational process for all the information in the situation including distracting information.
Attention i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key elements in human cognition. As its name implies, attentional functions are known to be impaired in individuals with Attention Deficit/Hyperactive Disorder (ADHD). However, various studies have investigated different types of attentional deficits among patients with ADHD. The purpose of this review is to take a comprehensive look at evidence on different types of attentional dysfunctions in ADHD. Three different domains of attention are of interest in this review: response inhibition, attentional control, and attentional orienting systems. A number of studies demonstrate that response inhibition and attentional control are major attentional deficits in ADHD. Disengagement and attentional reorienting systems also seem to be impaired. In this review, behavior, neuroimaging, and electrophysiological findings are discussed to understand fundamental attentional deficits in ADHD. Future direction for studies aiming to elucidate and treat attentional deficits in ADHD is also discussed.
서비스 회복이란 서비스 실패로 인해 형성된 부정적 인상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전략적 노력을 의미한다. 본 개관 논문은 서비스 불만족을 경험한 고객을 대상으로 서비스 회복을 위한 사과 전자 메일을 보낼 때 고려해야 할 요인들을 정리하였다. 전자 메일로 부정적 인식을 개선하고자 할 때 내용이 중요한 것은 물론이지만 전자 메일을 구성하는 시각적 요인 역시 감성 반응에 미치는 영향이 그에 못지않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과 전자 메일에서 서비스 회복과 관련된 감성 반응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들을 인지적인 것과 시지각적인 것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시지각적 요인으로 사진 제시, 색, 로고 제시, 표나 그래프 같은 자료의 제시, 강조 방법의 효과가 검토되었으며 이러한 요인들에 더하여 문화 차이가 개입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서도 고려하였다. 인지적 요인은 서비스의 내용과 관련된 요인, 불만족을 경험한 경험주체와 관련된 요인, 보상 방법과 관련된 요인들을 서비스 회복의 관점에서 연구 사례들의 소개와 함께 정리하였다. 본 개관 논문에서 검토된 요인들은 전자 메일을 통한 서비스 회복의 경우뿐만 아니라 홍보나 인식 개선을 위해 웹페이지, 서신, SNS 등의 다양한 전달 매체를 활용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Service recovery is the actions taken by a service provider with the intention of changing customers' negative impressions on the service to positive ones. The current study reviewed factors to consider when sending an apology email to customers who had bad or unsatisfactory service experiences. Among perceptual factors, pictures, tables, graphs, logos, and bright colors were shown to have positive effects when put in the email. Cultural differences in effective perceptual factors were also examined. Among cognitive factors, the power of contents and monetary rewards were identified as important factor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se factors may have the same effects when used in apology made through other types of media, such as letter, webpage, or SN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are also discussed.
서비스 회복이란 서비스 실패로 인해 형성된 부정적 인상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전략적 노력을 의미한다. 본 개관 논문은 서비스 불만족을 경험한 고객을 대상으로 서비스 회복을 위한 사과 전자 메일을 보낼 때 고려해야 할 요인들을 정리하였다. 전자 메일로 부정적 인식을 개선하고자 할 때 내용이 중요한 것은 물론이지만 전자 메일을 구성하는 시각적 요인 역시 감성 반응에 미치는 영향이 그에 못지않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과 전자 메일에서 서비스 회복과 관련된 감성 반응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들을 인지적인 것과 시지각적인 것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시지각적 요인으로 사진 제시, 색, 로고 제시, 표나 그래프 같은 자료의 제시, 강조 방법의 효과가 검토되었으며 이러한 요인들에 더하여 문화 차이가 개입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서도 고려하였다. 인지적 요인은 서비스의 내용과 관련된 요인, 불만족을 경험한 경험주체와 관련된 요인, 보상 방법과 관련된 요인들을 서비스 회복의 관점에서 연구 사례들의 소개와 함께 정리하였다. 본 개관 논문에서 검토된 요인들은 전자 메일을 통한 서비스 회복의 경우뿐만 아니라 홍보나 인식 개선을 위해 웹페이지, 서신, SNS 등의 다양한 전달 매체를 활용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Service recovery is the actions taken by a service provider with the intention of changing customers' negative impressions on the service to positive ones. The current study reviewed factors to consider when sending an apology email to customers who had bad or unsatisfactory service experiences. Among perceptual factors, pictures, tables, graphs, logos, and bright colors were shown to have positive effects when put in the email. Cultural differences in effective perceptual factors were also examined. Among cognitive factors, the power of contents and monetary rewards were identified as important factor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se factors may have the same effects when used in apology made through other types of media, such as letter, webpage, or SN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are also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