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6-9654
  • E-ISSN2733-466X
  • KCI
오윤경(경북대학교) ; 김초복(경북대학교) pp.199-209 https://doi.org/10.22172/cogbio.2019.31.3.001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e current study explored neural correlat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style and task switching processes. A task switching paradigm including object and verbal tasks was employed and neural responses were collected using fMRI. Behavioral and neural switch costs were correlated with individuals’ cognitive style preference scores. A total of thirty-five young adul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Behavioral results showed that verbal preference scor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witch cost in the object task. Neural responses in the object task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object style preference and the neural switch cost in the posterior cingulate cortex/precuneus and left intraparietal sulcus. In addition, an interaction between the object and verbal preferences was found in the angular gyrus during the object task. These results show how the individual differences in cognitive style preference during task switching could be linked to individual variations in neural respons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ognitive style preference may be related to cognitive control through attentional resource allocation, and selection, and the processing of target- and distractor-relevant information during task switching.

이고은(이화여자대학교) ; 우연화(이화여자대학교) ; 이혜원(이화여자대학교) pp.211-221 https://doi.org/10.22172/cogbio.2019.31.3.00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영어 이중언어자들을 대상으로 번역점화효과가 언어 방향, L2 숙련도, SOA에 따라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참가자는 L2 숙련도에 따라 고숙련자와 저숙련자로 나뉘었으며, SOA는 50ms와 150ms로 조작하였다. 그 결과 첫째, 고숙련자와 저숙련자 모두 L1-L2 방향의 번역 점화 효과가 L2-L1 방향의 번역 점화 효과보다 더 크게 나타나는 비대칭성이 관찰되었다. 둘째, 점화 효과의 비대칭성 정도는 저숙련자가 고숙련자보다 더 컸다. 즉, 고숙련자와 저숙련자 모두 L1-L2 점화 효과가 L2-L1 점화 효과보다 더 컸지만, 언어 방향에 따른 점화 효과의 차이는 고숙련자에게서 감소하였다. 셋째, SOA가 50ms에서 150ms로 증가해도 숙련도에 따른 점화 효과의 비대칭성 패턴이 달라지지 않았다. 본 결과는 여러 이중언어 모형의 관점에서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how a translation priming effect with Korean-English bilinguals would be observed as function of the language directions, L2 proficiency, and SOAs.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proficient groups based on their L2 proficiency, and the 50ms and 150ms SOAs were us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gardless of their L2 proficiency, the asymmetry of translation priming effects was observed. That is, the effect was larger in the L1-L2 direction than in the L2-L1 direction in both proficiency groups. Second, the degree of this priming asymmetry was larger in low-proficient bilinguals than in high-proficient bilinguals. Although in both proficiency groups, the priming effect of the L1-L2 direction was greater than that of the L2-L1 direction, the magnitude of the difference was decreased in the high proficiency relative to the low proficiency. Third, independent of the SOAs, the difference of the priming effects according to the language directions was smaller in the high-proficient group than in the low-proficient group. That is, despite the SOA increased from 50 ms to 150ms, the pattern of asymmetry was not changed that the low-proficient group showed more asymmetric translation priming effects compared to the high-proficient group.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several bilingual models.

한현주(한림대학교) ; 최훈(한림대학교) pp.223-229 https://doi.org/10.22172/cogbio.2019.31.3.003
초록보기
초록

표정은 우리의 내면 상태를 알려주는 얼굴 내의 시각 정보로, 인간 사이의 의사소통을 도와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최근에는 SNS 등과 같이 온라인 상의 의사소통 과정에서도 이모티콘을 통해 표정 정보를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모티콘 표정 지각의 처리 기제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일반적으로 표정 지각 처리와 관련하여 두 가지의 가설이 있다. 세부특징 기반 처리 가설은 먼저 얼굴의 눈, 코, 입 등의 세부특징들을 각각 처리한 이후, 하나의 통합된 결과로 표정이 지각된다고 주장한다. 이에 반해, 전역적 처리 가설은 세부특징들의 위치 관계성(예, 두 눈 간의 거리)과 같은 전반적인 배열 정보를 통하여 표정이 지각된다고 주장한다. 이모티콘의 표정 처리는 실제 사람의 얼굴 표정과 동일한 기제로 지각된다는 믿음과 달리 최근의 연구들은 이 두 기제가 동일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어, 이모티콘 표정 지각의 기제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연구가 요구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모티콘의 정교성 수준에 따라 표정 지각 기제가 달라질 수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실험에서 이모티콘의 정교성 수준을 단순한 선으로 표현한 것(단순 이모티콘)과 그림 수준으로 정교하게 표현한 것(정교 이모티콘)으로 구분하였다. 다섯 개의 표정(분노, 공포, 행복, 슬픔, 놀람) 중 하나의 표정을 짓고 있는 실제 얼굴 혹은 이모티콘의 세부특징을 정상적인 곳에 위치시키거나(정배열 조건), 정상적이지 않은 곳에 위치시켜(오배열 조건) 제시하여 정서 식별 과제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정교 이모티콘의 경우 정배열 조건에서의 표정 식별 정답률이 오배열 조건에서보다 높았던 반면, 단순 이모티콘의 경우에는 두 조건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이모티콘의 표정 지각은 그 세부특징의 정교성 수준이 높을수록, 전역적 처리가 표정 지각에 더 강하게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Abstract

Facial expressions are visual information that reflects our inner states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how people communicate with others. Recently, facial expressions have been actively used through emoticons via online communication modes such as chatting on social media.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the underlying mechanism of the perception of facial expressions in emoticons. There are two hypotheses regarding the processing of facial expressions. First, the feature-based processing hypothesis suggests facial expressions are perceived based on information gathered from each facial feature such as eyes, nose, and mouth, all of which are processed independently. Second, according to the holistic processing hypothesis, facial expressions are perceived with configural information such as the distance between the eyes. For the perception of facial expressions in a real human face, most studies have supported the holistic processing hypothesis. However, the results of studies for facial expressions in emoticons are inconsistent.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explore whether the underlying mechanism of the facial expression perception in emoticons can be influenced by the elaboration level, related to how facial features are described in detail. In the experiment, we employed two types of emoticons to manipulate the elaboration level: simple and elaborated. In a simple emoticon, all facial features are represented with a few line segments, whereas in an elaborated emoticon, the features are elaborately described at the drawing level. Participants were asked to perform an emotion recognition task in which a human face or an emoticon with one of the five basic facial expressions (anger, fear, happiness, sadness, and surprise) was presented in an aligned or misaligned state. As a result, whereas in the case of the elaborated emoticons the accuracy of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was higher in the aligned condition than in the misaligned condition,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conditions in the case of the simple emoticons. It suggests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elaboration of features in emoticons, the stronger the effect of the holistic processing.

이수진(한림대학교) ; 최훈(한림대학교) pp.231-244 https://doi.org/10.22172/cogbio.2019.31.3.004
초록보기
초록

매력적인 얼굴은 우리의 주의를 끌고 사람들과 상호작용 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이다. 오래전부터 얼굴 매력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시지각적인 요소들이 연구되어 왔는데, 그 중 한 가지가 공간주파수 정보이다. 얼굴 정보 처리과정에서 공간주파수 정보는 대역에 따라 독립적으로 처리되는데, 고주파수 정보는 국지적인 특성들을 포함하는 반면, 저주파수 정보는 전역적인 특성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기존 연구들은 매력도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공간 주파수 유형별 특성과 매력도 지각과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공간주파수 유형 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확인해왔다. 그러나 얼굴 매력과 공간주파수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하며, 명확히 밝혀진 바가 없다. 특히, 남성의 얼굴 매력도에는 고주파수 보다 저주파수 정보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강하다는 주장이 일관적으로 지지되고 있으나, 여성 얼굴에 대해서는 일관되지 않은 결과를 보였다. 이처럼 여성 얼굴에서 일관되지 않은 결과를 보고한 선행 연구들은 고주파수 정보의 효과를 성공적으로 분리시켜 확인하지 않았거나, 제시된 두 자극의 상대적 매력만을 평정하게 하는 등 방법적인 한계점이 존재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 얼굴 매력 지각에서 공간주파수 유형의 상대적 영향력을 명확히 밝히는 데 있다. 실험에 사용할 자극을 선별하기 위해, 여성 얼굴 사진에 각각 고주파수, 저주파수 필터를 적용시킨 후, 변환한 각 사진에 대한 매력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매력도 평점에 따라 저주파수, 고주파수 정보에서 모두 높거나(미인 집단) 낮은 매력도를 보인 집단(일반 집단), 저주파에서만 높은 매력도를 보이거나(저주파수 미인집단), 고주파수에서만 높은 매력도를 보인 집단(고주파수 미인집단)에 해당하는 자극을 선정하였다. 실험 1에서는 하이브리드 이미지(저주파수와 고주파수 필터 사진을 겹쳐서 보여주는 것)를 사용하여, 한 인물의 저주파수, 고주파수 정보가 동시에 제시될 때의 매력도 평정을 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고주파수 미인 집단의 매력도가 저주파수 미인 집단보다 높았다(미인 집단>고주파수미인 집단>저주파수미인 집단>일반 집단). 실험 2에서는 각 자극의 실제사진에 대한 매력도 평가를 시행하였다. 실험 2의 결과는 실험 1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여성 얼굴 매력 지각에 저주파수 정보보다 고주파수 정보가 더 강한 영향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Abstract

Attractive faces are important visual stimuli that capture people’s attention and influence how people interact with others. Many studies have explored the visual perceptual features that affect facial attractiveness, one of which is spatial frequency information. The face information is processed independently according to the spatial frequency band. The high frequency (HF) information includes the local characteristics of face such as eyes, nose, and mouth, while the low frequency (LF) information includes the global (or holistic) characteristics. Previous studies have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spatial frequencies and attractiveness by identifying specific spatial frequency bands that have a dominant influence on perceived attractiveness; however, the relationship is still unclear and has not been fully studied. Whereas most studies agree that LF plays the more important role in the perception of male facial attractiveness, there is still controversy over female facial attractiveness. This controversy may be due to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research methodologies, such as not isolating HF and taking indirect measures when assessing facial attractiveness.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examine systematically which spatial frequency information plays the more key role in the perception of female facial attractiveness. In a preliminary experiment, participants were asked to rate the attractiveness of female faces applied to HF or LF filters. Based on the results, we divided face stimuli into four categories: (a) beauty condition for faces that received a high rating score in both HF and LF images, (b) normal condition for faces that received low scores in both HF and LF images, (c) HF beauty condition for faces with high HF low LF scores, and (d) LF beauty condition for faces with low HF scores and high LF scores. In experiment 1, participants were asked to rate the attractiveness of hybrid images in which the HF-filtered image and the LF-filtered image of a single face overlapped. The results showed that perceived attractiveness for HF beauty condition was higher than for LF beauty condition (beauty > HF beauty > LF beauty > normal condition). In experiment 2, real photo images of each beauty category were employed as stimuli, and results were consistent with experiment 1. The results of both experiments indicate that HF information has a stronger influence than LF information in the perception of female facial attractiveness.

박찬흠(광운대학교) ; 김신우(광운대학교) ; 이형철(광운대학교) pp.245-252 https://doi.org/10.22172/cogbio.2019.31.3.005
초록보기
초록

자극의 크기가 서서히 커져서 관찰자를 향해 다가오는 것으로 지각되는 확장자극과 자극의 크기가 서서히 작아져서 관찰자로부터 멀어지는 것으로 지각되는 축소자극이 시간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해본 기존 연구들은 상반된 결과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극의 크기, 속도, 제시시간을 동시에 통제하기 어렵다는 점을 고려하여 동적자극 대신에 정적자극의 제시시간을 조작하였고, 반응 단계에 오염변인이 개입될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시간비교과제를 사용하였다. 또한, 자극의 크기가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정적자극의 크기를 조작한 추가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축소자극에 비해 확장자극에서 지각된 시간이 증가하는 결과를 보여, 자극의 깊이상에서의 움직임 방향이 시간지각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Abstract

Previous studies comparing the effects of looming stimuli and receding stimuli on time perception show conflicting results. In this study, the presentation time of static stimuli was manipulated instead of dynamic stimuli, considering that it is difficult to control size, speed, and presentation time of stimuli simultaneously. Temporal comparison tasks were employed to minimize the possible involvement of confounding variables in the response stage. In addition, the size of the static stimuli was manipulated in order to examine the possibility that the size of the stimuli might influenc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erceived time increases in the looming stimuli compared to the receding stimuli, and that the direction of the stimuli affects the time perception.

배성봉(영남대학교) ; 이광오(영남대학교) pp.253-264 https://doi.org/10.22172/cogbio.2019.31.3.006
초록보기
초록

단어 간 공백이 문장이나 복합어의 읽기 수행을 향상시키는 현상을 공백 효과라 한다. 본 연구는 공백 효과에 미치는 개인의 어휘 지식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참가자 개개인의 어휘 지식은 형태소 지식, 외래어 철자 판단, 한자어 철자 판단, 받아쓰기, 저자 인식 등의 검사를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주성분 분석을 통하여 전반적 읽기 유창성 요인(PC1)과 철자-의미 요인(PC2)이라는 두 개의 주성분을 검출하였다. 실험 자극으로 5-6개의 명사로 이루어진 실제 또는 유사 복합 명사구를 제시하고 의미성을 판단하게 하였다. 의미성 판단 시간과 오류를 선형 혼합 효과 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공백 효과의 크기에 개인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복합 명사구에 대한 반응에서 의미 우세 독자(=PC2 점수가 낮은 독자)는 전형적 공백 효과를 보인 반면, 철자 우세 독자(=PC2 점수가 높은 독자)는 아주 작은 공백 효과를 보였다. 유사 복합 명사구에 대한 반응에서는 PC1과 PC2가 모두 공백 유무 요인과 상호작용을 나타내어 공백 효과가 개인의 어휘 지식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어휘 지식의 개인차가 한글 복합 명사구의 분리와 이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고찰하였다.

Abstract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individual differences in reading compound noun phrases composed of 5 or 6 nouns with or without inter-word spaces. Participants were assessed on morphological knowledge, spelling recognition, dictation, and author recognition. 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for the test scores revealed two principal components: PC1 for overall reading proficiency, and PC2 for spelling-meaning profile. During the experimental session, participants were asked to judge whether compound phrases on the screen had a plausible meaning or not. The results showed clear individual differences in inter-word spacing effects. For real compound phrases, participants with a lower PC2 score showed larger inter-word spacing effects compared with participants with a higher PC2 score. For pseudo-compound phrases, sig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inter-word spacing and PC1 as well as PC2 were also found, suggesting that individual variations in lexical qualities modulated the inter-word spacing effect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