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김용주(육군사관학교 심리학과) pp.125-137
초록보기
초록

회귀억제는 한 자극이 제시되었던 위치와 동일한 곳에 나타나는 자극에 대한 반응시간이 새로운 위치에 나타나는 자극에 대한 반응시간보다 더 긴 경우를 말한다. 회귀억제와 관련된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들에 의하면, 이 현상은 주의전환 혹은 안구운동 체계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고 한다. 본 연구에서는 회귀억제가 안구운동의 여러 유형들 중에서도 도약안구운동 체계와 관련되어 있음을 검증하기 위하여, 두 유형의 안구운동(도약안구운동, 추적안구운동)을 조작하고 그에 따른 회귀억제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실험 1에서는 화면 주변에 제시되는 단서 위치로서의 도약안구운동은 허용하되, 화면 중앙으로의 안구운동은 도약안구운동이 아닌 추적안구운동을 통하여 이루어지도록 단서를 제시하였다. 실험 2에서는 단서 위치로서의 도약안구운동 대신에 추적안구운동만 이루어지도록 단서 제시 방법을 변형시켰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여러 유형의 안구운동 기제들 중에서도 도약안구운동 체계의 활성화가 회귀억제의 발생을 위하여 필수적으로 전제되어야 함을 시사하였다.

Abstract

Inhibition of return(IOR) refers to a bias against attending to and/or detecting visual stimuli at recently attended locations. Previous studies tried to find the underlying mechanisms in relation to the attention shift or eye movemen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IOR and the eye movement system. In experiment 1, the cue was manipulated so that subjects made a saccade to periphery and moved their eyes slowly to the center along the cue, moving from periphery toward the center. The task was to detect a target. There were no IOR-effect in the pursuit condition. In experiment 2, subjects made a pursuit eye movement along the cue, moving slowly from the center toward periphery and then made a saccade to the center. There were also no IOR-effects, if the saccade systems were not activat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ctivation of saccade systems is a neccessary condition for IOR.

박주용(세종대학교 교육학과) pp.139-152
초록보기
초록

시각적 표시란 여러 개의 자극이 동시에 제시되었을 때 어떤 자극이 이미 처리된 것인지를 알 수 있도록 해주는 조작을 가리킨다. 지금가지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이 표시가 정학하다고 암묵적으로 가정해왔다. 이 가정에 근거하여 시각 검색에서 항목수가 증가함에 따라 반응시간이 선형적으로 증가하고, 순차적 검색이 요구되는 상황에서는 표적이 있을 때와 없을 때의 기울기 비가 1:2가 된다고 주장하였다. 하지만 홀짝 판단 과제를 사용한 실험 1에서는 항목수가 증가함에 따라 반응시간이 지수함수적으로 증가됨이 관찰되었다. 이 결과는 홀짝 판단 과제에서의 표시는 그리 정확하지 않음을 시사한다. 실험 2와 3에서는 방해자극에 대한 표시의 정확성을 알아보았다. 실험 1에서와는 달리 방해자극에 대한 표시는 정확한 것으로 보이는 결과를 얻었다.

Abstract

Visual marking refers to indicating the items that have already been processed in a display. So far, most researchers have assumed that marking is performed accurately in both enumeration and search tasks. On the basis of this assumption, it has been claimed that linearity and a 2:1 target-absent/target-present ratio exist for a conjunction search. In Experiments la and 1b, subjects were asked to judge whether the number of items in a display is odd or even. Positively accelerating RT functions were found as the number of items increased, which suggested that marking is not accurate. In Experiments 2 & 3, marking accuracy far the distractors were examined. Contrary to Experiment 1, marking for the distractors seemed to be accurate.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were considered.

남종호(가톨릭대학교) pp.153-165
초록보기
초록

결 요소의 확률분포를 근거로 결의 밝기와 대비가 동시에 변할 수 있는 결 공간에서 만들어진 결자극(texture stimulus)을 사용하였을 경우, 결 분리는 (1) 결의 밝기 속성과 (2) 밝기 및 대비 정보가 결합된 속성에 반응하는 두 기제에 의해 처리된다고 보고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 분리기제의 처리 특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조사하였다. 특히 밝기와 대비 속성의 결합에 반응하는 결 분리기제가 이 두 속성을 어떻게 결합하는지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밝기와 대비를 탐지하는 기제의 결 경계탐지에 각기 상반된 영향을 미치는 결 요소 크기를 변화시켜 결 분리의 탐지역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밝기 및 대비 정보가 결합된 속성에 반응하는 기제는 밝기와 대비정보를 독립적으로 처리한 후 이 정보들을 후속 처리과정에서 결합시키기보다는 밝기와 대비가 특정한 방식으로 결합된 정보를 처리하는 단일과정임이 제안되었다. 이는 결 요소의 크기 변화에 대해 기제의 민감한 축의 방향이 밝기 축과 대비 축 사이에서 변동하기보다는, 축의 방향은 고정된 상태에서 단지 탐지역만의 변화가 관찰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단일 결 분리과정의 한 가능성으로 본 연구는 부적 반정류 과정을 제안하였다.

Abstract

It was reported that texture segregation in the space of the IID texture varying in mean luminance and contrast is mediated by two mechanisms: (1) texture luminance-sensing mechanism, and (2) one which senses the combined property of texture luminance and contrast (Nam, 1995, 1999). This paper studies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mechanisms in texture segregation in adopting three different sizes of texture elements. Specifically, it focuses on how texture luminance and contrast are combined by the second mechanism. We measured the probability of discrimination for various pairs of textures in the IID space with three different texture element sizes. The size of texture elements was manipulated so that the sampling capacity of the mechanisms was systematically influenced. We observed that each threshold produced by two mechanisms was changed systematically in the opposite direction. It was suggested that the second mechanism consists of a single process with a combined property of texture luminance and contrast rather than a dual process which senses texture luminance and contrast separately, then combines these outputs on the next step. A negative half-wave rectification is proposed as a single process in texture segregation for the second mechanism.

박권생(계명대학교 심리학과) pp.167-184
초록보기
초록

두 개의 실험을 통해 단안 방향 판단에 이용되는 안구 위치 정보의 출처가 원심성인지 아니면 구심성인지를 검증하였다. 경직 후 상승(post-tetanic potentiation)효과가 발효 중인 상태에서 phoria를 유발시켜 구심성 정보(실제 안구 위치)와 원심성 정보를 동시에 변화시키고, 경직 후 상승에 따른 방향 착시에 의해 phoria에 의한 단안 방향 착시의 정도가 어떻게 조정되는지를 검토하였다. 경징 후 상승에 따른 방향 착시의 방향과 phoria에 의한 단안 방향 착시의 방향을 상반되게 한 실험 1에서는 단안 방향 착시의 정도가 경직화 후 상승에 따른 방향 착시에 의해 감소되었다. 그러나, 이 두 방향 착시의 방향을 같게 한 실험 2에서는 단안 방향 착시의 정도가 phoria만으로 경직 후 상승효과 만으로도 설명할 수 없을 만큼 증가하였다. 이런 결과는 단안 방향 결정에 이용되는 안구 위치 정보가 원심성임을 암시한다.

Abstract

Two experiments tested whether the extra-retinal eye position information (EEPI) used in computing monocular egocentric visual direction originated from eye muscle proprioception("inflow") or efference copy("outflow"). Immediately after inducing potentiation in the extraocular muscle, one of the eyes was cxcluded to induce phoria. Both phoria and open-loop pointing error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potenti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even when potentiation did not modulate the size of phoria (the position of the occluded eye), it changed the size of pointing error, indicating that EEPI used in determining monocular visual direction is efference copy rather than phoria (real position of the occluded eye).

이태연(한서대학교) pp.185-20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속성간의 대응이 범주의 학습과 전이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토하고자 속성간의 대응이 유사성에 의한 전이와 규칙에 의한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실험 1에서는 실험참가자에게 동일한 자극구조를 가진 범주를 학습하도록 한 다음에 학습사례와의 유사성과 속성간의 대응을 조작한 검사사례들을 범주화하도록 요구하였다. 학습사례와의 유사성이 낮을수록 범주화 정확성도 함께 감소하였는데, 이러한 유사성에 따른 범주화 정확성의 차이는 적소대응조건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 결과는 학습사례와 검사사례간의 유사성이 범주화에 영향을 미치며, 속성간의 대응이 잘 이루어졌을 때 유사성의 차이가 범주화에 더 잘 반영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실험 2에서는 실험참가자에게 규칙을 찾아내어 범주를 학습하도록 지시하고 속성간의 대응이 규칙에 의한 범주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속성간의 대응이 잘 이루어진 조건에서 범주가 더 빨리 학습되었는데 이것은 속성간의 대응이 규칙의 추상화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속성간의 대응은 유사성에 근거한 범주화와 규칙에 의한 범주학습에 모두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Abstract

This study was planned to investigate whether structural alignments have an influence on categorization processes through comparing the effect of structural alignment on similarity-based transfer and rule-based learning in categorization. In Experiment 1, I manipulated common attributes and dimensional correspondence between learned exemplars and new exemplars. I found that categorization performances in general declined as the number of common attributes decreased, but this tendenc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in the match in place condition. These results implicated that similarities between learned exemplars and new exemplars had an influence on categorization and the influence of similarities grew larger as stimulus's attributes had been well aligned. In Experiment 2, I instructed participants to learn categories by rules and examined whether structural alignment had an effect on the rule-based categorization by comparing the match in place condition with the match out of place condition. I found that participants learned categories more quickly in the match in place condition than in the match out of places condition. In conclusion, structural alignment between stimuli play an important role in categorization processes.

이정모(성균관대학교 심리학과) ; 이재호(중앙대학교 심리학과) pp.201-21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상의 범주 표상과 행위의 각본 표상이 위계성과 전형성에서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개념간의 점화효과의 양상의 차이를 통해서 밝히고자 하였다. 실험 1에서는 상위 개념의 점화에 의한 기본수준 개념의 점화효과를 측정하였다. 범주 표상조건에서만 전형적인 목표단어가 비전형적인 목표단어에 비해서 반응시간이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2에서는 기본수준 개념의 점화에 의한 상위 개념의 점화효과를 측정하였다. 여전히 범주조건에서만 전형성 효과가 관찰되었다. 그리고 전체적으로 범주조건이 각본조건보다 반응시간이 빨랐다. 실험 3에서는 기본수준 개념간의 점화효과를 살펴보았다. 범주조건에서는 전형-비전형 조건과 비전형-전형 조건의 반응시간에 차이가 있었지만, 각본조건에서는 두 조건간의 차이가 없었다. 세 실험의 결과, 범주조건에서는 전형성 효과가 분명하였고, 상위 개념과 기본수준 개념간의 비대칭적 점화효과가 관찰되었지만, 각본조건에서는 범주조건에 비해서 그 효과가 약화되었음을 관찰하였다. 즉 범주 표상과 각본 표상이 위계성과 전형성에서 표상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지식 유형에 따라 표상 양식의 차이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Abstract

Thre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knowledge representation for categories and scripts. Using the primed naming task with superordinate concepts as the prime, Experiment 1 explore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knowledge type and concept typicality: The naming response was faster for typical concept, and this result was manifest in the category representation only. In Experiment 2, upward primed naming task was employed, using basic level concepts as primers.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upward priming effect only in category representation. Experiment 3 examined the priming effect among basic level concepts. It was observed that primed naming responses was faster for typical-atypical pairs than for atypical-typical pairs, only in category representation.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possible differences in the knowledge representation characteristics of categories and scripts.

조아정(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과) ; 이영애(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과) pp.215-226
초록보기
초록

유추에 의한 과학 개념의 학습이 작업기억의 용량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를 세 실험에서 검토하였다. Donnelly와 McDaniel(1993)의 학습 재료와 조건 중 유추조건만을 다룬 실험 1에서 작업기억의 용량이 큰 참가자들이 작은 참가자들보다 더 큰 유추 학습효과를 보였다. 실험 2에는 단순기술조건과 유추조건을 모두 포함시켰는데, 용량이 큰 참가자들은 추론 문제에서 큰 유추 학습효과를, 용량이 작은 참가자들은 기본 문제에서 단순기술의 학습효과를 보였다. 실험 3에서 용량이 작은 참가자들도 유추진술과 그 내용을 묘사한 그림을 함께 제시받았을 때 학습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의 세 실험 결과를 작업기억과 유추사상단계의 관계로 논하였다.

Abstract

A series of three experiments examined whether working memory capacity influences participants' analogical learning of new scientific concepts. Experiment 1 demonstrated that analogical learning depends on working memory capacity. High-span participants showed better performance in inference problem solving than did low-span participants. Experiment 2 again showed that whereas participants with a high span produced a large analogical learning effect, those with a low span did not. Experiment 3 demonstrated that the latter group produced a large analogical learning effect, given the pictures relevant to the analogical learning condition.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working memory capacity and the analogical mapping process.

곽호완(경북대학교 심리학과) pp.227-239
초록보기
초록

색은 형태와 함께 대상의 지각표상을 이루는 중요한 특징이다. 본 연구는 색 검색 과제에서 주변 방해색의 영향을 체계적으로 검토하여 원색과 혼합색의 상대적 처리효율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단일 혼합색 방해자극들 사이에서 원색 표적을 탐지하거나 혹은 그 반대의 상황에서 실시된 실험 1의 결고, 원색과 혼합색 표적 조건간에 검색기울기의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자극변별성 및 약호화 편향을 통제하기 위해 두 가지 방해자극 색을 사용한 실험 2에서는 혼합색 방해자극들 사이에서 원색 표적을 찾는 과제 수행시 병렬적 검색 패턴을, 그 반대 상황일 때 계열적 검색패턴을 얻었다. 이는 원색이 특정 상황에서 혼합색보다 더 효율적으로 처리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표적에 결합된 인접 배경색이 표적 탐지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실시한 실험 3에서도 원색이 혼합색보다 더 효율적으로 처리됨을 시사하는 결과가 얻어졌다.

Abstract

Perceiving colors of a surface plays an important role on the percept of an object. I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 of human color information processing by examining the effect of the surrounding distractor colors on the perception of target color in several color search tasks. Experiment 1, in which the search performance for a primary color among single-color distractors or vice versa was investigated, revealed an early parallel processing property of color information with objects' orientation and shape. However, when two primary colors or two-color distractor mixtures were included in experiment 2, the results showed a parallel search pattern in searching primary colors among color distracter mixtures but a serial search pattern in searching color mixtures among primary color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rocessing for primary colors is more efficient than that for color mixtures under a certain circumstance. I further investigated effects of adjacent surrounding colors on the detection of target color in Experiment 3. Again, We found that serarching for a primary color among color mixtures was more efficient than searching for a mixture color among primary color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