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박성준(경북대학교) ; 장문선(경북대학교) ; 곽호완(경북대학교) ; 이상일(동명대학교) pp.1-19 https://doi.org/10.22172/cogbio.2017.29.1.0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 경향군을 하위유형으로 세분화하여 스마트폰 일반사용자군과 실행기능 및 대인관계문제, 공감능력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학생에게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 척도(S척도)를 사용하여 고위험군 20명, 잠재적위험군 43명, 일반사용자군 25명을 선발하였다. 스마트폰 중독 하위유형을 추출하기 위해 중독 경향군(고위험군, 잠재적위험군)의 애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중심으로 군집분석하여 세 가지의 하위유형(커뮤니케이션형 22명, 오락형 25명, 도구적사용형 16명)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중독 경향군의 세 가지 하위유형과 일반사용자군을 비교하기 위해 실행기능과제 중 억제능력 및 충동성을 측정하는 연속수행과제(CPT)와 계획능력을 측정하는 위스콘신카드분류검사(WCST)를 사용하였다. 이외에도 대인관계 문제와 공감능력을 비교하기 위해 한국형 대인관계문제검사 단축형(KIIP-SC)과 한국판 인지정서공감척도(K-QCAE)를 각각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CPT에서 스마트폰 중독 경향군이 유형과 상관없이 일반사용자군보다 유의하게 저조한 성적을 보였으며, WCST에서 커뮤니케이션형과 오락형이 일반사용자군보다 유의하게 저조한 성적을 보였다. KIIP-SC에서 커뮤니케이션형이 일반사용자군보다 대인관계에서 많은 문제를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K-QCAE에서 오락형이 일반사용자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인지적 공감과 공감지수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In this study, a cluster analysis of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group by smartphone application usage type was conducted to verify the subtypes of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group and their characteristics. A comparison between them and the general usage group were made in terms of execution function, interpersonal problem and empathy ability characteristics. S-Scale was used to college students in order to select 63 students of whom will be in addiction tendency group and 25 in general user group. The number of cluster was assigned to 3 focusing on application usage information of addiction tendency group to extract their subtypes; a K-means clustering was then conducted. As a result, the 3 clusters of addiction tendency group was shown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group in the use of the application. In order to ver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three subtypes of addiction tendency group that were extracted through cluster analysis and the general user group, the three subtypes were named communication type, entertainment type and instrumental user type respectively, each of which were then compared to general user group. First, to compare the execution function characteristics, a CPT which measures impulsiveness and inhibition ability within the execution function task and WCST which measures planning ability was used. In sequence, a KIIP-SC and K-QCAE was respectively used to compare interpersonal problem and empathy ability characteristics. The cor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ddiction tendency group showed significantly poorer performance than the general user group regardless of their subtypes. Second, in WCST, the communication and entertainment types in the addiction tendency group showed significantly poorer performance than the general user group. Third, in KIIP-SC, the communication type in the addiction tendency group was shown to experience more interpersonal problem compared to the general user group. Lastly, in K-QCAE, the entertainment type in the addiction tendency group was shown to have significantly higher cognitive empathy and empathy quotient than the general group.

지은희(연세대학교) ; 김민식(연세대학교) pp.21-40 https://doi.org/10.22172/cogbio.2017.29.1.002
초록보기
초록

의식하 수준으로 제시된 중심 단서의 예측력은 내인성 주의 유도에 영향을 주는가? 본 연구는 시각 단서 과제에서 중심 단서 유무에 대한 하향적 사전 지식을 갖지 못하도록 통제한 뒤, 위의 질문에 대답하려 하였다. Posner(1980)의 중심 단서 패러다임을 사용하여 내인성 주의를 조작하였으며, 중심 단서를 의식하(subliminal) 수준으로 제시하기 위하여 연속영상인식억제(CFS, Continuous Flash Suppression, Tsuchiya & Koch, 2005) 기법을 사용하였다. 실험 1에서는 예측력이 높은 중심 단서를 의식하로 제시하여 내인성 단서 효과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참가자들은 중심 단서의 제시 유무를 전혀 알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단서 효과를 보였다. 즉, 의식적으로 지각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중심 단서가 표적을 가리키는 조건에서의 반응 시간이 그렇지 않은 조건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2에서는 예측력이 없는 중심 단서를 의식하 수준으로 제시한 집단과 의식상(supraliminal) 수준으로 제시한 집단으로 나누어 내인성 단서 효과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의식상 조건에서는 단서 효과가 관찰된 반면, 의식하 조건에서는 단서 효과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무의식적으로도 내인성 주의가 작동할 수 있으며, 무의식적 주의 통제가 단서의 예측력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predictability of the central cue would influence endogenous attention without being perceived and aware of. We used Posner’s cueing paradigm (1980) with central cues, which were subliminally presented through CFS(Continuous Flash Suppression, Tsuchiya & Koch, 2005). In Experiment 1, subliminal predictive central cue was presented and participants were not told about the existence of the central cue. Results showed that the target presented on the cued location was detected more quickly with compared to the target presented on the un-cued location, even thought they were not awared of the central cues. In Experiment 2, non-predictive cue was presented subliminally or supraliminally depending on the group condition. A random half of the participants were in the subliminal cue group, or consciously not perceived the cue. The remainder was assigned to supraliminal cue group, and they could consciously perceived the cue. Results showed that the cueing effect of the non-predictive cue was not observed in the subliminal cue group, whereas it was only reported in the supraliminal cue group. It could be inferred from these results that endogenous attention could work without conscious awareness, and it could be determined by the predictability of the subliminal cue.

김하진(경북대학교) ; 박형규(경북대학교) ; 장문선(경북대학교) ; 곽호완(경북대학교) pp.41-62 https://doi.org/10.22172/cogbio.2017.29.1.00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성인 스마트폰 중독 경향군의 인지 및 주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억제기제의 결함을 확인하였다. 실험 1에서는 인지 과정 내 억제기제를 확인하기 위해 탐사재인 읽기 폭 과제를 실시하였다. 추가적으로 스마트폰과 관련된/관련되지 않은 단어로 구성된 문장세트를 실험자극으로 사용하여 스마트폰 중독에서 나타나는 반응 특성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실험 결과 첫째, 스마트폰 중독 경향군은 불필요한 정보에 대한 선택적 억제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스마트폰 중독 경향군은 통제군과 비교하여 스마트폰과 관련되지 않은 정보를 처리할 때 반응시간이 더 길었으나 스마트폰과 관련된 정보를 처리할 때는 반응시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스마트폰 중독 경향군이 작업기억 집행기능의 효율성, 즉 불필요한 정보에 대한 선택적 억제에 어려움이 있고 통제집단과 구분되는 반응 특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실험 2에서는 자동적 주의 과정 내 억제기제를 확인하기 위해 회귀억제 과제를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스마트폰 중독 경향군은 통제군에 비해 적은 회귀억제량을 보였다. 두 실험 결과를 종합하면 스마트폰 중독 경향군은 인지 및 주의 과정 내에서 억제기제 활성화의 저하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통제군과 구별되는 스마트폰 중독 경향군의 특성을 이해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스마트폰 중독을 진단하는 지표들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eficit of inhibitory mechanism in cognition and attention process in adults with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In experiment 1, probe recognition reading span task was conducted to explore inhibition mechanism in cognition process. In addition to, investigate respond characteristic of adults with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sets of sentences were used as experiment stimuli. The sentences were composed of smartphone related or unrelated words. The result of experiment 1, first,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group did not show selective inhibition for irrelevant information. Second,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group took longer response time when processing smartphone-unrelated informat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se groups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sponse when they processe smartphone-related informat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had difficulties in inhibition ability for irrelevant information. It means that efficiency of executive function of working memory is degraded. And also, it showed that there was distinct respond characteristic of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in comparison with control group. In Experiment 2, inhibition of return task was conducted to explore inhibition mechanism in attention process. The result of experiment 2,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group showed less inhibition of return compared to control group. In summary, all of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adults with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had decreased inhibition mechanism in cognition and attention process. The result of the present study could be use in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 of smartphone addiction and it will be useful to make a diagnosis of smartphone addiction.

김진희(강원대학교) ; 강은주(중독.정신건강센터) pp.63-80 https://doi.org/10.22172/cogbio.2017.29.1.00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인터넷게임중독 성향을 보이는 개인에서 두뇌 보상 회로의 내재적 기능 연결성 특성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특히 보상의 쾌락 신호 처리에 관여하는 복측 선조체(ventral striatum)와 가치 평가를 담당하는 복내측 전전두피질(ventromedial prefrontal cortex)를 중심으로 조사가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인터넷게임 과사용 집단(n = 18)과 정상대조 집단(n = 20)을 대상으로 휴식상태 fMRI 영상이 획득되었다. 복측 선조체와 복내측 전전두피질을 seed 영역으로 선정하였으며, 이들 영역의 시계열 신호와의 상관계수를 기능 연결성 정도로 가정하고 전체 두뇌 영역에 대해 집단 간 비교 검증을 하였다. 그 결과, 복내측 전전두피질의 기능 연결성에서의 집단 차이는 주의 통제 및 사회적 가치 평가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하 두정영역(inferior parietal region)에서 발견되었는데, 정상대조 집단에 비해 인터넷게임 과사용 집단의 기능 연결성이 감소되어 있었다. 추가로 인터넷게임 과사용의 문제가 있는 개인들에서 복측 선조체와 복외측 전전두피질(ventrolateral prefrontal cortex) 간의 부적 기능 연결성의 증가 경향도 발견되었는데, 이는 보상 체계에 대한 정보처리에 미치는 인지 통제의 억제적 영향을 통한 보완 기제를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는 보상 관련 두뇌 영역과 인지 통제나 주의 조절에 관여하는 전두피질 및 두정피질과의 기능 연결성 결함이 인터넷과 과사용 문제에 취약하게 하는 신경학적 기제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Abstract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intrinsic functional connectivity of the brain reward system in individuals at risk for Internet Gaming Disorder (IGD). Here we focus on the ventral striatum (VS) and ventromedial prefrontal cortex (vmPFC), the key brain regions for reward hedonic processing and evaluation, respectively. Resting state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was acquired from 18 young male participants with Internet-game overuse (IO) and 20 comparable normal subjects (NCs) to compare the intrinsic connectivities of the VS and vmPFC as the two seed regions. The group comparison was made between the functional connectivity maps of these two groups, where resting-state functional connectivity was examin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on the signal fluctuations of each voxel and that of a seed reg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vmPFC functional connectivity of the IO group was reduced relative to the NC group in the inferior parietal region, which is known for attention control and social evaluation. In addition, the IO groups exhibited increased negative functional connectivity between the VS and the ventrolateral prefrontal cortex, suggesting a compensatory mechanism via an inhibitory influence of cognitive executive function on the reward system. These observations suggest that impaired functional connectivity between reward processing regions and cognitive control regions in the frontal and parietal areas is a neurological risk factor for IGD.

김상엽(고려대학교) ; 강진원(고려대학교) ; 정재범((주)인텔리전트) ; 이현우((주)인텔리전트) ; 한덕현(중앙대학교) ; 최문기(건양대학교) ; 남기춘(고려대학교) pp.81-88 https://doi.org/10.22172/cogbio.2017.29.1.0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수준을 진단하기 위해 자기보고형 ADHD 검사인 revised- Conners Rating Scale (rCRS)와 전산화된 주의력 과제인 UFOV(useful field of view) 및 VM(visual matching) 과제와의 관련성을 조사하는 것이다. 실험 결과, 순간적으로 제시되는 목표 자극을 탐지하는 능력을 측정하는 UFOV 과제에서는 rCRS의 점수가 높을수록 목표 자극을 탐지하는 능력이 낮았으며, 추가로 사용된 주의집중 수준을 측정하는 VM 과제에서는 rCRS의 점수가 높을수록 추가로 사용된 주의집중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전산화된 인지 과제인 UFOV와 VM 과제는 rCRS와 관련성이 있었으며, 이러한 전산화된 인지 과제들은 ADHD를 진단하는 것에 활용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vised-Conners Rating Scale (rCRS), which is a self-reported ADHD test, and the useful field of view (UFOV) and visual matching (VM) tasks. In the UFOV task, which measures the ability to detect momentary target stimuli, the higher the score of rCRS, the lower the ability to detect the target stimulus. In the VM task, which measures the additional attention level, the rCRS The higher the score, the higher the attention level was us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mputerized cognitive tasks UFOV and VM tasks were related to rCRS, and these computerized cognitive tasks could be used to diagnose ADHD.

이선경(영남대학교) ; 홍영지(영남대학교) ; 이윤형(영남대학교) pp.89-96 https://doi.org/10.22172/cogbio.2017.29.1.00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N-back 과제수행에 과제 무관련 사진자극의 정서가와 각성가가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back 과제의 자극 사이에 제시된 사진의 각성가 수치는 동일하게 통제하고 정서가를 긍정, 중립, 부정으로 조작한 실험과 정서가는 동일하게 통제하고 각성가를 저각성, 중각성, 고각성으로 조작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각성가 조건에 따른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정서가 조건에 따른 차이가 관찰되어 부정정서의 경우 긍정정서 및 중립정서에 비해 과제수행이 부정확했다. 이러한 결과는 각성가의 영향을 배제하였을 때도 부정정서가 N-back 과제수행을 간섭했으며 각성가보다는 정서가의 차이가 이러한 간섭의 원인임을 시사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task-unrelated valence and arousal on N-back task performance. To do so, in the first experiment, participants performed 2-back tasks where valence levels of the pictures presented before the target were manipulated while arousal levels were controlled. In the second experiment, arousal levels of the pictures were manipulated while valence levels were controlled. As results, accuracies of the N-back task were worse when pictures with negative valence were presented. Arousal had no effect on N-back task performance. The results indicate that negative valence affects cognitive processing even when the arousal level were controlled.

김성호(이화여자대학교) pp.97-104 https://doi.org/10.22172/cogbio.2017.29.1.007
초록보기
초록

시지각 연구에서 물체는 지각적 처리 단위로 간주되곤 하지만, 복잡한 물체의 형태를 지각하려면 세부 부분들에 대한 처리가 필요하다. 오목한 극점 원리(minima rule)에 따르면, 물체 윤곽선에서 오목하게 들어간 곳은 부분 간 경계로 지각되며, 부분 간 경계부가 더 오목하게 들어갈수록 각 부분이 독립적으로 지각되는 부분 현저성(part salience)이 증가한다. 본 연구는 비일관적인 운동 중첩(inconsistent kinetic occlusion)이라는 새로운 자극 패러다임을 사용하여, 오목한 극점 원리에 따라 정의되는 부분 간 구조(part structure)의 생태적/물리적 타당성을 살펴보았다. 표적 도형이 정지된 물체를 가로질러 이동하는 애니메이션이 실험 자극으로 사용되었는데, 표적이 정지된 물체를 지나칠 때 그 윗부분은 정지된 물체에 의해 가려지고, 동시에 아래 부분은 정지된 물체를 덮고 지나가도록 하여, 중첩단서를 비일관적으로 할당하였다. 이 자극은 경합하는 두 지각적 해석을 유발하여, 움직이는 표적이 정지된 물체를 깊이 상에서 둘로 분할하면서 통과하거나, 혹은 움직이는 표적이 고정된 물체의 모서리에 의해 둘로 잘리는 것처럼 지각 가능하였다. 직사각형 자극의 윤곽선 곡률을 조작하여, 중앙부가 오목하게 들어가거나 불록하게 튀어나온 6개의 표적 도형을 구성하였다. 실험 결과, 중앙부가 오목한 조건에서 볼록할 때보다 표적이 두 부분으로 잘리는 것으로 지각되는 경향성이 높았으나, 표적의 폭은 이 경향성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 결과는 부분 표상의 지각적 원리로 제안된 오목한 극점 원리의 심리적, 그리고 생태적 타당성을 시사하며, 또한 물체의 부분 간 구조에 대한 지각적 처리가 표면 표상에 영향을 미치는 시지각 초기 단계의 과정임을 시사한다.

Abstract

Many theories of shape perception assume that objects are the perceptual units, but complex objects are composed of distinct parts and thus the visual system can also represent object shapes at the level of smaller parts. The minima rule proposes that the visual system uses negative minima of curvature to define boundaries between parts. We employed a new experimental paradigm, globally inconsistent kinetic occlusion, to test whether the minima rule reliably mirrors regularities in the physical world, where concave contour segments often correspond to part boundaries. Participants observed animations of a target object moving across another static object, where the top half of the target was occluding, and simultaneously the bottom half occluded by the static object. This situation generated two competing perceptual interpretations: either the target cleaving the static object into two separated in depth, or the target being cleaved into two surfaces by the static one. We manipulated the sign and magnitude of contour curvature between the top and bottom halves of an object, so that 6 shapes were employed as moving targets. This result showed that targets with concave minima were more likely perceived as splitting into two surfaces than those with convex maxima or zero curvature. This finding suggests that the visual system parses shapes into parts, taking advantage of negative minima of curvature, and that part structure affects surface representations in accordance with ecological/physical regularities of the visual world.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