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6-9654
  • E-ISSN2733-466X
  • KCI
백종수(연세대학교) ; 권미경(유타대학교아시아캠퍼스) pp.265-273 https://doi.org/10.22172/cogbio.2019.31.4.0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영아의 눈응시에 영향을 미치는 현저성과 상향적 주의 기제의 발달적 차이를 다음의 세 가지 모형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첫째, 현저성 모형을 구성하는 각 세부 특징들 간에 동일한 가중치를 가정하는 균등 가중치모형, 둘째, 각 세부 특징들 간에 다른 가중치를 가정하는 비균등 가중치모형, 마지막으로 세부 특징들 간의 다른 가중치에 덧붙여 얼굴 범주의 자극에 대한 추가적인 가중치를 가정하는 얼굴 포함 비균등 가중치모형을 사용하여, 각 모형에서 4, 6, 8개월 영아들의 눈움직임 데이터를 개월별로 가장 잘 설명하는 가중치를 추정하였다. 그 결과, 비균등 가중치모형과 얼굴 포함 비균등 가중치모형은 영아의 눈움직임을 우연 수준 이상으로 잘 설명함에 비해, 기존 영아 연구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던 균등 가중치모형은 그러지 못함을 보였다. 또한, 얼굴 포함 비균등 가중치모형은 비균등 가중치모형에 비해 6개월과 8개월 영아들의 눈움직임을 유의미하게 잘 설명했다. 본 연구 결과는, 영아들의 발달에 따라, 상향적 세부 특징들이 각기 다른 수준으로 시각 및 주의 체계에 기여하게 되며(하향적 주의 기제), 얼굴 자극에 대해 더 많은 주의를 기울이게 됨을 의미한다. 뿐만 아니라, 정확한 주의 및 눈움직임 연구를 위해서는 현저성 모형의 세부 특징들 간의 가중치를 조정하는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Abstract

To investigate developmental changes of top-down attentional modulation in visual saliency, the current study examined infants' eye-movements with three models: (1) the equal weight model in which all weights of low-level features are assumed to be equal, (2) the unequal weight model in which feature weights were assumed to unequal, and (3) the unequal weight model with face weight in which an additional weight was assumed for face stimuli, as well as unequal weights between low-level features. These models were fitted to 4-, 6-, and 8-month-old infants' first fixation data to estimate a set of feature weights which can best explain the data. The results showed the unequal weight model and the unequal weight model with face weight predicted infants' eye-movements more accurately than the equal weight model. Also, 6- and 8-month-old infants' eye-movements were significantly better explained by the unequal weight model with face weight than by the unequal weight model. These results suggest that low-level features contribute to the visual system with different weights and that face stimuli attract more attention as infants grow up. Our findings also highlight the importance of adjusting feature weights in studies of visual and attentional development.

박태진(전남대학교) ; 양예은(전남대학교 심리학과) pp.275-291 https://doi.org/10.22172/cogbio.2019.31.4.002
초록보기
초록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신경증 성격특성이 오류처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ERN(Error-related negativity)과 Pe(Error positivity)를 조사하였다. 먼저 성격특성 설문조사 결과에 따라 자기지향 완벽주의 점수가 높으면서 신경증 점수가 높거나 낮은 집단, 그리고 자기지향 완벽주의 점수가 낮으면서 신경증 점수가 높거나 낮은 집단, 도합 4개 집단을 선발하였다. 이 실험참가자들이 Eriksen 수반자극과제(Eriksen flanker task)를 수행하는 도중 EEG를 측정하여 정/오 반응과 관련된 ERP 성분들을 분석하였다. 반응속도의 분석 결과, 모든 집단에서 오반응이 정반응보다 더 빨랐으며, 완벽주의 수준과 무관하게 저신경증집단이 고신경증집단보다 더 빨랐다. Cz에서 측정한 오반응-관련 ERN과 정반응-관련 CRN(Correct response negativity)의 정점진폭을 분석한 결과, ERN이 CRN에 비해 더 부적인 진폭을 보였고, ERN에서 고완벽주의집단이 저완벽주의집단보다 더 부적인 진폭을 보였지만 신경증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CRN에서는 아무런 성격특성 효과도 관찰되지 않았다. 한편, Cz에서 측정한 오반응-관련 Pe와 정반응-관련 Pc(Correct response positivity)의 정점진폭을 분석한 결과, Pe가 Pc에 비해 더 정적인 진폭을 보였고, Pe에서 완벽주의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지만 완벽주의 수준이 낮은 참가자들 가운데 고신경증집단이 저신경증집단보다 덜 정적인 진폭을 보였는데, 이러한 신경증 효과는 완벽주의 수준이 높은 참가자들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Pc에서는 아무런 성격특성 효과도 관찰되지 않았다. 결국, 완벽주의 특성은 신경증 수준과 관계없이 ERN 파형에 영향을 미친 반면, 신경증 특성은 완벽주의 수준이 낮은 경우에 한해 Pe 파형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오류처리 초반에는 자기지향 완벽주의가 오류 탐지나 갈등 모니터링과 관련된 ERN에 영향을 미치는데, 자기 기준이 엄격하며 목표를 완벽하게 달성하고자 하는 동기가 클수록 더 큰 ERN이 유발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한편, 오류처리 후반에는 신경증이 오류의 의식적 자각과 관련된 Pe에 영향을 미치는데, 불안과 주의통제 어려움이 클수록 오류에 대한 의식적 자각이 감소하여 더 작은 Pe가 유발되지만, Pe에 대한 신경증의 효과는 자기지향 완벽주의 수준이 낮은 경우에만 나타나고 높은 경우에는 나타나지 않음(자기지향 완벽주의의 조절효과)을 시사한다.

Abstrac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neuroticism on error processing, we examined the ERN(Error-related negativity) and Pe(Error positivity). Participants were pre-screened to be either high or low scorers on SOP(self-oriented perfectionism) scale and neuroticism scale: high-SOP with high-Neuroticism, low-SOP with high-Neuroticism, high-SOP with low-Neuroticism, low-SOP with low-Neuroticism. When participants performed the Eriksen flanker task, EEG was recorded and analyzed for correct and error responses. Behavioral data showed that error responses were faster than correct responses, and low-Neuroticism participants were faster than high-Neuroticism participants. Analysis of peak amplitudes of ERN and CRN(Correct response negativity) showed that ERN had enhanced negative deflections relative to CRN, and high-SOP participants had enhanced negative deflections on ERN relative to low-SOP participants, but no effect of neuroticism was found. Analysis of peak amplitudes of Pe and Pc(Correct response positivity) showed that Pe had enhanced positive deflections relative to Pc, and no effect of perfectionism was found. But, among low-SOP participants, high-Neuroticism participants had attenuated positive deflections on Pe relative to low-Neuroticism participants. Also, the analysis of amplitude difference between peak amplitudes of error response and those of correct response is in line with the analysis of peak amplitudes. Thus, we found perfectionism effect on ERN which was not modulated by neuroticism, and found neuroticism effect on Pe which was modulated by perfectionism. These results suggest that, at the early stage of error processing, ERN is affected by self-oriented perfectionism, so enhanced negative deflections of ERN could be elicited by exacting standards for oneself and a salient motivation for attaining perfection. Whereas, at the later stage of error awareness, Pe is affected by neuroticism, so decreased positive deflections of Pe could be elicited by negative emotion and attention-control difficulties. But the effect of neuroticism on Pe could be eliminated by high level of self-oriented perfectionism.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