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박선희(전남대학교) ; 박태진(전남대학교) pp.1-18 https://doi.org/10.22172/cogbio.2012.24.1.001
초록보기
초록

유도된 기분의 정서가와 각성수준이 전역/국지처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기분 유도 후 전역/국지처리 과제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기분 유도를 위해 음악을 들려주면서 문장을 제시하고 제시된 문장의 상황을 상상하게 하는 혼합 기분유도방법을 사용하였는데, 기쁨, 평온, 공포, 분노, 슬픔의 다섯 가지 기분을 유도하고서 특정 기분이 적절하게 유도되었는지 평가하였다(실험1). 정서가(긍정/부정)와 각성수준(고각성/저각성)을 고려하여 기쁨, 평온, 분노, 슬픔의 네 가지 기분을 유도하였고, 전역/국지처리 과제에서 국지자극의 조밀도를 변화시켜 고밀도와 저밀도를 조작하였다(실험 2). 그 결과, 고밀도조건에서는 모든 기분조건에서 전역처리가 우세하였는데, 특히 각성수준이 높은 경우(기쁨, 분노)에 비해 각성수준이 낮은 경우(평온, 슬픔)에 불일치 국지형태에 의한 간섭정도가 작았다. 저밀도조건에서는 기분의 유형에 따라 전역/국지처리 우세성 양상이 상이했는데, 다른 기분조건에서는 전역/국지처리 우세성이 차이가 없었고 분노조건에서만 국지처리 우세성이 관찰되었다. 결국, 부정적 기분이면서 각성수준이 높은 경우(분노)에만 국지처리가 우세하였는데, 이 결과는 전역/국지처리 우세성이 기분의 정서가뿐만 아니라 각성수준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시사한다.

Abstract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induced mood during a global/local processing task. Participants were asked to listen to a piece of music, and imagined themselves in situations described by guided imagery vignettes. In Experiment 1, we examined the mood rating scale after each of the five mood inductions(happy, serenity, fear, anger, sad). Results of Experiment 1 confirmed that the mood induction procedures (MIPs) was successful. In Experiment 2, we examined the influence of emotional valence and arousal following MIPs on global/local processing task. To manipulate valence(positive versus negative) and arousal(low versus high) of mood, we used happy, serenity, anger, sad MIPs. Following MIPs, we presented hierarchical stimuli with a global letter composed of a smaller, local letter. The sparsity of each stimulus was varied by having each global aspect comprise either many or few local ones. The results of Experiment 2 showed that global and local processing dominance depends on mood and sparsity. High sparsity stimuli elicited global dominance on all mood conditions, but low sparsity stimuli elicited local dominance only on high arousal negative mood(anger) condi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global/local dominance is influenced by emotional valence and arousal.

조수현(중앙대학교) pp.19-39 https://doi.org/10.22172/cogbio.2012.24.1.002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Maintenance and manipulation of representations in working memory (WM) is the foundation for all cognitive processing. This paper will review neuroimaging studies focusing on the maintenance process of WM. In the first section, brain regions that increase activity during maintenance in WM are examined separately for each domain of information. Next, the controversy on the principle of functional organization of the prefrontal cortex, namely the hypotheses of domain-specificity vs. process-specificity. In the second section, the cognitive nature of the sustained prefrontal activity associated with WM will be examined. The differential functions of the dorsolateral and ventrolateral prefrontal cortex will be discussed in relation to mnemonic and extra-mnemonic processes. In the third section, the overlap between the mechanism of long-term and WM will be reviewed along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component process approach to cognitive neuroscience.

주미정(부산대학교) ; 신현정(부산대학교) ; 이재식(부산대학교) pp.41-63 https://doi.org/10.22172/cogbio.2012.24.1.00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동일 문화권에서의 문화성향(개인주의-집단주의 차원과 수평-수직 차원)이 전역/국소 처리(전역선행성 효과)에 미치는 상대적인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Singelis 등(1995)의 문화성향 질문지(INDCOL)에 기초하여 실험참가자들을 분류한 후, 각 문화유형에 따라 자극 유형(화살표로 구성된 복합도형 또는 영문 대문자로 구성된 복합문자)과 자극-자극 속성 일치 여부(복합자극의 전역 속성과 국소 속성의 일치 또는 불일치 조건)가 체계적으로 조작된 실험조건에서 전역선행성 효과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전반적으로 복합문자에 비해 복합도형에 반응하는 경우, 그리고 자극-자극 속성 일치 조건에 비해 불일치 조건에서 전역선행성 효과가 더 컸으나, 개인주의-집단주의 차원이나 수평-수직 차원 각각에 따른 전역선행성 효과의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2) 전역선행성 효과에 대한 개인주의-집단주의 차원과 수평-수직 차원 사이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지 않아 두 차원이 서로 독립적임을 확인하였다. (3) 개인주의-집단주의 차원과 자극-자극 속성 일치 여부 조건 사이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던 반면, 수평-수직 차원과 자극-자극 속성 일치 여부 조건 사이에서는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동일문화권 내에서는 개인주의-집단주의 차원보다 수평-수직 차원이 전역선행성 효과 차이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tial effects of individualism-collectivism dimension (IC) and horizontal- vertical dimension (HV) in cultural orientation of individuals in the same cultural background on global precedence. The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to IC and HVD groups, and asked to respond to compound stimuli which were varied by stimuli types (figure/letter) and stimulus-stimulus (S-S) congruence. Differences in global precedence were compared. The results showed the followings. First, although global precedence was larger in the compound figure than in the compound letter, and larger in the S-S incongruent condition than the congruent condition, none of cultural orientation dimensions made any difference. Second, IC and HV affected global precedence independently. Third,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HV and S-S congruence was found, but there was no interaction between IC and S-S congruence. These results indicated HVD rather than IC can be a more valid dimension to compare the effect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cultural orientation on global precedence.

김은주(University of Washington) ; 김진석(University of Washington) pp.65-88 https://doi.org/10.22172/cogbio.2012.24.1.004
초록보기
초록

현대인은 일상생활 속에서 끊임없이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살아가고 있다. 적절한 스트레스 반응은 인간이 변화하는 환경에 대처하고 자기 자신을 보존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된 적응적 내부기제이지만, 통제 불가능한 스트레스는 유기체의 행동양상과 인지적 과정에 손상을 가져오며, 불안장애와 같은 여러 가지 정신질환을 일으킨다. 특히, 많은 연구들이 밝혀왔듯이, 통제할 수 없는 스트레스는 대뇌 측두엽의 구조물인 해마의 기능과 인지적 능력의 손상을 야기한다. 본 논문에서는 스트레스 시 작용하는 3가지 심리학적 구성개념(흥분성/각성, 혐오감, 통제력의 부재)과 이러한 각각의 요인을 관장하는 신경생물학적 기질(스트레스 호르몬, 편도체, 전전두피질)을 기초로 하는 시스템 수준의 스트레스 모델에 대하여 조명할 것이다. 또한, 이 모델을 토대로 하여, 스트레스가 해마에 미치는 영향, 특히 공간기억과 장소세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체계화하고 증진시킬 수 있는 개념적 기반에 대하여 논의할 것이다.

Abstract

In modern and hectic society, we constantly encounter stressful events in daily life. Although stress response serves a fundamental, protective role in our lives, uncontrollable stress has been shown to cause behavioral and cognitive impairments that can contribute to various psychiatric conditions such as anxiety disorders. In particular, considerable evidence indicates that uncontrollable stress has detrimental effects on the hippocampus, a medial temporal lobe structure crucial for memory. This review will highlight a systems-level model of stress based on three psychological constructs (excitability, aversiveness, and uncontrollability) and underlying biological substrates (stress hormones, amygdala, and medial prefrontal cortex), and how it may provide a conceptual scaffold to structure and further our understanding of stress effects on the hippocampus, namely by focusing on spatial memory and place cell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