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서동오(고려대학교) ; 이연경(고려대학교) ; 최준식(고려대학교) pp.1-19
초록보기
초록

공포는 인간이 지닌 정서 중에서도 가장 원초적인 정서이다. 공포로 인해 유기체는 위험한 자극을 감지하고 적절히 대처함으로써 생존할 확률을 높인다. 인간을 포함한 동물의 신경계는 경험을 통해 위협적인 자극이나 상황을 예상할 수 있도록 진화해 왔다. 파블로프 공포 조건화는 그 절차의 단순성 및 학습의 신속성으로 인하여 이러한 신경계의 구성과 기능 연구에 널리 이용되어 왔다. 본 개관에서는 최근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공포 조건화 관련 연구를 개괄하고 파블로프 공포조건화에 관여하는 뇌 회로의 해부학적, 생리학적 및 분자생물학적 측면을 논의하였다. 또한 조건화된 공포가 반복된 자극제시에 의해 감소되는 실험적 절차인 소거에 관해서도 최근 진행되는 연구들로부터 발견된 결과들을 요약하려 하였다. 공포 조건화의 연구는 정서의 신경생물학적 원리를 밝히는 것 뿐 아니라 신경과학의 근본적인 질문, 즉 학습에 수반되는 분자수준에서의 변화에 대한 궁극적인 해답을 추구하는 데 유용한 도구로 쓰일 것이다.

Abstract

Fear is a primary emotion. It serves the essential function that allows organisms to detect danger signals and react accordingly in the environment. Through evolution, most species in the animal kingdom including humans have developed an efficient learning system to predict potentially threatening stimuli or situation. A simple associative form of learning, called Pavlovian or classical conditioning has been the most popular paradigm to describe the process by which neutral stimulus gains a biological significance. Because Pavlovian fear conditioning is simple and fast, numerous research papers have employed this procedure to elucidate the brain mechanisms of fear learning. Here we review the history of modern fear conditioning studies and the latest development in understanding anatomical, physiological and molecular mechanisms of fear memory formation. In addition, we summarize findings on fear extinction, an experimental process by which learned fear response is suppressed. We hope to validate an argument that fear conditioning is a useful tool in answering the fundamental question in neuroscience, the molecular basis of learning and memory.

정봉교(영남대학교) ; 김지연(영남대학교) pp.21-3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공감과 관련된 정서적, 동기적 및 생리적 요인을 알아보려고 수행되었다. 연구 1은 자기보고식 측정에 의해 정서 및 동기 유형과 공감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상관 및 경로분석 결과, 긍정적 정서와 행동활성화는 높은 공감수준과 관련이 있는 반면에, 부정적 정서와 행동억제는 공감의 결손과 관련이 있었다. 연구 2는 정서 자극에 노출되는 동안 공감수준이 심장 반응성에 미치는 효과를 관찰하였다. 실험참가자는 공감검사를 통해서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구분되었으며, 휴식기 기저선, 정서자극인 중립, 슬픔 및 기쁨 동영상을 보는 동안 자신의 정서 상태를 보고하였고, 동시에 심장활동이 기록되었다. 그 결과, 공감수준이 높은 사람은 낮은 사람보다 정서자극 유형에 더 적절한 주관적 정서를 보고하였고, 정서 자극을 보는 동안 부교감 활동을 반영하는 호흡 공동 부정맥(RSA)에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여성은 남성보다 기저선 및 정서 자극에 대해 RSA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높은 공감능력은 긍정적 정서와 행동활성화를 바탕으로 하는 일반적인 긍정적 성격특질을 포함하고 있고, 또한 정서자극의 유인가에 따른 적절한 정서반응에 관여한다고 볼 수 있다. 공감 연구에 있어서 정서와 동기 유형 그리고 RSA의 중요성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wo studie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ffective, motivational and physiological correlates of empathy. In study 1, participants completed PANAS, BAS/BIS and empathy scales. the data were summarized through both correlational analysis and path analysis method. BA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empathy, but both NA and BIS were equally related to alexithymia. The capacity for empathy was inversely related alexithymia. In study 2, the effects of empathy, emotional stimuli and sex on heart rate variability(HRV) were examined.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either high empathy group or low empathy group based on empathy test score. During baseline and viewing the video clips, HRV was recorded by means of electrocardiograph. Participants who had higher empathy reported more relevant subjective feeling and exhibited more significant reduction of respiratory sinus arrhythmia(RSA) level during viewing emotional video clips than those who had lower empathy. Heart rate and low-frequency power spectral density(LF PSD) were unrelated to empathy. Women showed higher reduction of RSA level to the emotional video clips than men. These findings suggests that empathy is associated with global positive personality traits and high level of empathy is related with high degree of RSA reactivity to emotional stimuli. Implications for the study of affective and motivational style and RSA in empathy were discussed.

이재호(계명대학교) pp.39-56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이정모와 이재호(2004)에서 관찰된 성별표지와 언급순서의 상호작용 효과가 다른 실험 과제와 실험 조건에도 반영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험 1에서는 선행어가 고유명사이며 성별단서가 애매한 조건에서 명명과제를 적용하였다. 두 변인의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실험 2에서는 선행어가 역할명사이며 역시 성별단서가 애매한 조건에서 명명과제를 적용하였다. 언급순서의 효과만 관찰되었다. 실험 3에서는 두 변인의 효과를 선행어가 고유명사이며 성별단서가 명료한 조건에서 문장읽기과제와 탐사재인과제를 적용하여 살펴보았다. 성별표지의 효과가 읽기시간에만 반영되었다. 세 실험의 결과는 대명사의 성별표지와 언급순서가 참조해결에 작용하는 제약들의 만족에 따라 역동적으로 상호작용할 가능성을 보였다.

Abstract

Thre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xplore the interactive effect of antecedent's gender marker and mention order on pronoun referential resolution. In Experiment 1, using proper name for antecedents, Participants were read the sentences by RSVP and naming to antecedent words. The results showed that any variable did not sensitive to naming time. In Experiment 2, Participants were read the sentences by RSVP and name to antecedent word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ffect of mention order was found. The first mentioned antecedent faster than the second mentioned condition for naming time. In Experiment 3, using proper name for antecedents, Participants were read the sentences by self-paced and probe recognition to antecedent words in unambiguous gender cue and subject-subject condition. The results showed that main effects of antecedent's gender marker in self-paced reading time. The female marker condition slower than the male condition. using role name for antecedents,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from a point of view of dynamically interactive models for pronoun resolution.

이나경(이화여자대학교) ; 이영애(이화여자대학교) pp.57-69
초록보기
초록

정신물리적 무감각(psychophysical numbing)은 위험에 처한 전체 생명의 수(준거집단의 크기)가 증가하면서 사람들이 지각하는 생명의 가치가 감소하는 현상을 말한다. 실험 1은 선행연구와는 다른 절차로 정신물리적 무감각 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재검증하였다. 의사결정자가 대안들을 경제적 관점에서 평가하도록 하였을 때 정신물리적 무감각 반응이 증가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실험 2는 대안을 두 가지 제시 양식, 즉 개별적으로 제시하는 조건 대 합동하여 제시하는 조건에서 정신물리적 무감각 반응을 비교하였다. 감정 추단법(affect heuristic)과 평가 가설(evaluability hypothesis)의 주장과는 반대로 대안들을 비교할 수 있는 합동조건에서 정신물리적 무감각 반응이 증가하였다. 정신물리적 무감각 반응을 설명하는 이론들의 문제점과 대안 이론을 논의하였다.

Abstract

Psychophysical numbing refers a phenomenon in which the perceived value of saving a fixed number of lives decreases as the total number of lives at risk (“reference group size”) increases. The first experiment replicated factors affecting psychophysical numbing in a different experimental procedure than previous researches. The results showed that psychophysical numbing responding increased, when decision makers evaluated the options in the economic-focus. The second experiment examined the psychophysical numbing in two different presentation mode, namely separate versus joint presentation. In contrast to affect heuristic and evaluability hypothesis, psychophysical numbing increased in joint presentation, in which two options could be compared and analysed. The problems of present theories explaining psychophysical numbing and alternative theories were discussed.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