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이혜원(이화여자대학교) ; 최정선(이화여자대학교) ; 김연정(이화여자대학교) ; 김선경(이화여자대학교) pp.465-485 https://doi.org/10.22172/cogbio.2011.23.4.0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습득연령효과가 한국어 단어재인에서 나타나는지 그림명명과제, 단어명명과제, 어휘판단과제를 사용하여 검토하였다. 실험 1에서 Snodgrass와 Vanderwart(1980)의 그림자극을 기초로 그림명명과제와 단어명명과제를 실시한 결과, 습득연령효과는 그림명명시간에서만 나타나고 단어명명시간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 2에서 보다 광범위한 한글단어를 대상으로 습득연령과 단어빈도를 조작하여 단어명명과제를 실시한 결과, 단어명명시간에서 단어빈도효과는 나타났으나 실험 1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습득연령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 3에서 실험 2와 동일한 자극과 변인에 대해 어휘판단과제를 실시한 결과, 어휘판단시간에서는 습득연령효과와 빈도효과가 모두 관찰되었으며 습득연령에 의한 차이는 각 빈도조건에서 유사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임의적 대응가설로 설명할 수 있다.

Abstract

We examined the age of acquisition(AoA) effect in Korean word recognition using picture naming, word naming, and lexical decision tasks. In Experiment 1, we presented picture naming and word naming tasks composed of stimuli from Snodgrass and Vanderwart(1980).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AoA effects in the picture naming latency, but not in the word naming latency. In Experiment 2, we manipulated the age of acquisition and word frequency for expansive Korean words in the word naming task. We found the frequency effects but not the AoA effects in the word naming latency. In Experiment 3, we examined the effects of AoA and word frequency in the lexical decision task for the same stimuli from Experiment 2. Both AoA and word frequency effects were found in the lexical decision latency, and the size of the AoA effects was similar between the two frequency(high, low) conditions. Our results can be explained in terms of the arbitrary mapping hypothesis.

강해인(중앙대학교) ; 현주석(중앙대학교) pp.487-504 https://doi.org/10.22172/cogbio.2011.23.4.002
초록보기
초록

시각작업기억의 처리 과정에는 기억 표상이 형성되고 유지되는 과정 뿐 아니라 기억된 항목에 대한 재인과 관련된 비교 과정이 포함된다(Hyun, Woodman, Vogel et al., 2006). 본 연구에서는 시각작업기억 처리 단계에 따른 주의 자원의 활용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중심시야에 제시된 자극에 대한 작업기억 처리가 진행되는 가운데 주변시야에 시점을 달리하여 촉발된 감각적 변화에 대한 변화맹 현상 발생 여부를 조사하였다. 실험 1에서 피험자들은 시야의 중심에 제시된 네 개 항목들의 색상을 기억할 것을 요구받았다(중심과제). 기억항목들이 사라지고 약 1초 경과 후 사라진 기억항목들의 색상에 대한 재인을 요구하는 검사항목이 출현하였다. 피험자는 기억항목과 검사항목 간 색상 변화 유무를 보고하는 변화탐지과제를 수행하였다. 또한 개별 시행 내에서 피험자들은 중심과제를 수행하는 동시에, 시점을 달리하여 주변시야의 자극에 발생하는 색상 변화를 탐지하도록 요구 받았다(주변과제). 중심과제의 검사자극이 제시되면 피험자들은 중심과제와 주변과제에 대한 반응을 순차적으로 보고하였다. 실험 2는 4개의 숫자가 기억항목으로, 1개의 숫자가 검사항목으로 제시되는 변형된 Sternberg의 과제(1966)가 중심과제로 제시된 점을 제외하고는 실험 1과 동일하게 진행되었다. 실험 1과 2의 결과, 중심과제의 기억항목이 사라진 직후 또는 파지되고 있을 때에 비해 검사항목이 출현한 시점과 동시에 발생한 주변자극의 색상 변화에 대한 탐지 정확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기억항목에 대한 표상을 형성하거나 유지하는 과정에 비해 기억항목을 검사항목과 비교하는 과정은, 주의 자원의 배분에 의한 선별적 처리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지 않으며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처리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Abstract

The comparison between supra-threshold visual working memory (VWM) representations and sensory inputs was reported to be rapid and automatic (Hyun et al., 2009). In the present study, we examined if engaging attention to a central memory task can impair detection of a peripheral pop-out change during VWM consolidation, maintenance, and recognition. In Experiment 1, the central memory task was a change detection task where subjects remembered colors of four boxes (sample array) and were asked to report presence or absence of a color change when another set of boxes (test array) showed up. They were also asked to detect a pop-out color change among a set of colored boxes displayed at periphery while the central task was being performed. The pop-out change among the peripheral boxes was manipulated to occur immediately after the sample array of the central task disappeared or during the middle of blank duration, or at the same time as when the test array appeared. In Experiment 2, we replaced the central memory task with a short-term recognition task in which a set of four numbers was presented simultaneously as a sample, and subjects were asked to determine whether the test number was in the sample array or not. The peripheral task was the same as in Experiment 1. Results of these experiments showed that detection of a peripheral change was impaired both when the change occurred immediately after the sample array offset, and when it occurred during the middle of the blank interval. However, this impairment was not observed when the change in the peripheral task occurred simultaneously as the test array appeared. The results indicate that consolidating and maintaining memory items in VWM are resource-demanding process and thus lacking extra capacity for automatic detection of a peripheral pop-out whereas the recognition of memory items is relatively free of such capacity-limitation

김혜영(연세대학교) ; 신연순(연세대학교) ; 한상훈(연세대학교) pp.505-531 https://doi.org/10.22172/cogbio.2011.23.4.003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Intertemporal choices are decisions between alternatives with outcomes that occur at different time points. An example would be smaller-but-sooner versus larger-but-later rewards. Recent evidence suggests an effect of future prospection on intertemporal choices. A number of neuroimaging studies have demonstrated the functional overlapping of perspective-taking and prospection. In the present study, a shared neural network involved in perspective-taking and future thinking was identified. Specifically, the lateral prefrontal cortex (LPFC), temporal pole, and parahippocampal regions were found to be those that reflect the interindividual variability in the delayed discounting rate (the k value). The perspective-taking capability was also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effectiveness of future thinking on regulating the discounting rate in the subsequent intertemporal choices. The emotional regulatory effect on intertemporal choice was also examined.

정봉교(영남대학교) pp.533-548 https://doi.org/10.22172/cogbio.2011.23.4.00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감각추구가 안정기와 정서자극 동안에 전두 EEG 비대칭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실험참가자들은 감각추구검사를 통해서 높은 감각추구 집단과 낮은 감각추구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기저선 EEG 측정을 하기 전에 참가자들의 정서특질이 PANA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안정기 기저선 그리고 중립, 모험, 쾌락 및 관계 동영상에 노출되는 동안 기록된 EEG 자료를 이용하여 알파 파에 기초한 비대칭성이 중전두, 외측 전두, 하두정 및 후측두 부위에서 계산되었다. 참가자들은 각 동영상 자극들에 노출된 직후에 정서각성을 평정하였다. 높은 감각추구자와 낮은 감각추구자는 기저선 측정에서 피질 비대칭성들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높은 감각추구자는 낮은 감각추구자에 비해 높은 긍정적 정서를 보였다. 중전두 피질 비대칭성은 긍정적 정서와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모험과 쾌락 동영상 자극에 노출되는 동안 높은 감각추구집단은 낮은 감각추구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좌측 중전두 활성화와 낮은 정서 각성을 나타내었다. 높은 감각추구자가 모험을 내포한 감각추구 활동들을 함으로써 최적 수준으로 각성을 증가시키고 이에 따라 쾌락적 안녕감을 유지시킬 가능성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sensation-seeking on the pattern of frontal EEG asymmetry during resting baseline and viewing emotional stimuli. Experimental participants were separated into high sensation seekers and low sensation seekers by sensation seeking scale(Zukerman, 1994). Participants also completed PANAS before baseline measurement. Mean alpha power density asymmetries were extracted in midfrontal, lateral frontal, inferior parietal and posterior temporal sites during resting baseline and viewing 4 emotional clips inducing neutral, adventure, pleasure and relationship emotions. At baseline, FBA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high sensation seeking and low sensation seeking, but high sensation seekers showed higher positive affect(PA) than low sensation seeker did. During viewing both adventure and pleasure clips, high sensation seeking group displayed higher left midfrontal activation and lower arousal feelings than low sensation seeking group did. The current findings implicates that high sensation seekers have a strategy to enhance hedonic well-being through increasing arousal from engaging in sensation seeking activities.

이고은(이화여자대학교) ; 이혜원(이화여자대학교) pp.549-564 https://doi.org/10.22172/cogbio.2011.23.4.005
초록보기
초록

언어는 다른 인지기능에 비해 상대적으로 노화의 영향을 덜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는 주로 어휘력이나 의미처리에 대한 제언들로써, 음운이나 철자 처리에서 노화의 영향은 상대적으로 덜 알려져 있다. 전달 손실 가설(Transmission Deficit hypothesis)은 의미에 비해 음운이나 철자 기제가 노화의 영향에 민감할 것으로 제안하고 있다. 본 연구는 받아쓰기 과제를 사용하여 한국어 단어의 철자 정보 산출에서 노화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실험에서 두 변인이 조작되었다. 첫 번째 변인은 연령 조건으로, 참가자는 청년과 노인 집단으로 구성되었다. 두 번째 변인은 음운변화 조건으로, 자극은 음운변화가 일어나는 단어와 음운변화가 일어나지 않는 단어로 구성되었다. 과제는 청각적으로 제시되는 단어 자극을 듣고 그에 해당하는 단어를 한글로 받아쓰는 것이었다.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에 비해 노인의 받아쓰기 정확도가 감소하였다. 둘째, 음운변화가 없는 단어에 비해 음운변화가 있는 단어의 받아쓰기 정확도가 감소하였다. 셋째, 음운변화 단어에서 정확도가 감소되는 정도는 청년보다 노인에게서 더 컸다. 본 결과는 한국어 단어의 철자 정보 산출에서 노화로 인한 어려움이 발생하며, 이러한 어려움은 특히 음운변화로 인해 단어의 소리와 표기가 불일치하게 될 때 더 커짐을 시사한다.

Abstract

Previous research has shown that language function is relatively robust against aging. However, this suggestion is mainly about vocabulary and semantic processes, and the aging effect on subsystems in language such as phonology and orthography is less known. Transmission Deficit hypothesis predicted that phonology and orthography are more sensitive to aging compared to semantics. In this study we studied the aging effect on the retrieval of orthographic knowledge in Korean using the spelling task. Two variables were manipulated: participants were younger or older adults, and stimuli were the words with phonological change or not. Participants heard recorded words over headphones and were instructed to spell each word in Hangul as accurately as possible.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older adults exhibited lower accuracy than young adults in the retrieval of orthographic knowledge. Second, the accuracy decreased for the words with phonological change than for the words without phonological change. Third, there were larger age differences for the words with phonological change than for the words without phonological change. This result indicates that aging causes difficulty in the retrieval of orthographic knowledge in Korean, and this difficulty increases when words involve phonological change and as a result, sound and spelling of words are not matched.

박주용(서울대학교) ; 배제성(세종대학교) pp.565-581 https://doi.org/10.22172/cogbio.2011.23.4.006
초록보기
초록

기억 과정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실제 학습 장면에 적용하려는 시도가 최근 활발해지고 있다. 이 시도 중의 하나는 인출 유도를 통한 학습(learning via retrieval)이다. 인출 유도를 통한 학습에서는, 예를 들어, 비단어와 숫자 쌍을 외우도록 하는 과제에서, 이들을 일정한 시간동안 동시에 제시하는 단순 학습 조건과는 달리 그 일정한 시간의 반 동안에는 비단어만을 먼저 제시하여 인출을 유도한 다음 나머지 반 동안에는 비단어와 숫자쌍을 함께 제시하는 절차를 사용한다. 이 절차를 사용하면 인출 유도 조건에서의 기억 수행이 단순 학습 조건에 비해 더 우수하다. 인출 유도 조건에서 기억이 향상되는 이유로 인출 시 학습자가 답을 스스로 산출하도록 하고 이어지는 학습 기회를 통해 오류를 수정하기 때문이라는 설명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오류 수정 외에, 인출 유도에 이어지는 재학습의 중요성을 알아보기 위해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5개의 실험이 수행되었다. 선행 연구를 반복 검증하는 실험 1에 이어, 먼저 인출을 유도한 다음 재학습의 용이성을 두 가지 다른 방식으로 조작하였다. 실험 2에서는 비단어만을 먼저 제시한 다음 숫자만을 제시한 조건과 비단어와 숫자를 함께 제시한 조건을 비교하였다. 실험 3에서는 비단어를 먼저 제시한 다음 비단어와 숫자가 함께 제시되는 시간을 길게 한 조건과 짧게 한 조건을 비교하였다. 두 실험 모두에서 재학습이 용이한 조건에서의 수행이 더 향상됨을 발견하였다. 실험 4에서는 인출 유도 시간은 다르지만 재학습시간이 동일할 때에는 수행에 차이가 사라지는 결과를, 실험 5에서는 재학습 시간이 짧을 경우 인출 유도가 이루어져도 학습만 이루어진 조건보다 오히려 수행이 저하되는 결과를 얻었다. 이상의 결과는 쌍대연합학습에서는 인출 유도 외에 충분한 재학습이 기억 수행을 높여주는 중요한 요인임을 보여준다.

Abstract

Recently, there have been several attempts to apply the results of theoretical research on memory processes in actual learning settings. One such attempt is the promotion of learning via retrieval or testing. Learning via retrieval occurs when one is forced to retrieve memorized information. For example, in a task where participants are asked to memorize cue-target pairs, learning is enhanced when only the cues are displayed during half of the learning session, inducing retrieval, and then the cue-target pairs are shown together, rather than when the cue-target pairs are displayed together throughout the session. One explanation for the memory enhancement effect of retrieval is that memory retrieval forces the learner to produce the answers and modify one's errors. The current study sought to examine such error modification processes as well as the importance of re-learning after retrieval induction by carrying out five experiments with college students. Experiment 1 was performed to replicate the findings of previous research. Then retrieval was induced and the conditions for re-learning was manipulated in two different ways. In Experiment 2, only the cue was displayed first, and then only the target was displayed in the experimental condition and the cue-target pairs were displayed together in the control. In Experiment 3, the cue was displayed first, and two conditions were compared: one in which the cue-target pairs were displayed longer and one in which the pairs were displayed for a shorter amount of time. In both experiments, performance increased when the conditions were better for re-learning. In Experiment 4, we foun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performance when the retrieval induction time was different but the re-learning time was the same. In Experiment 5, when the re-learning time was short, the performance of retrieval induction condition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ndition where learning took place without retrieval indu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pair association learning tasks, not only retrieval induction but sufficient re-learning is an important factor in promoting memory performance.

박태진(전남대학교) ; 김정희(전남대학교) pp.583-603 https://doi.org/10.22172/cogbio.2011.23.4.007
초록보기
초록

정서처리의 자동성 및 정서와 주의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 지각부담이 정서처리에 미치는 효과를 ERP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정서적 그림자극 위에 6개 글자들을 함께 제시하고서 표적글자에 대한 지각판단(go/no-go 탐지과제) 그리고 그림자극에 대한 정서판단(정서변별과제)을 순차적으로 요구하였다(분할주의패러다임). 이때 표적글자는 다른 방해글자들과 시각적 특성상 유사하거나(고부담) 상이하였으며(저부담), 정서적 그림은 부정적이거나 중립적이었다. 표적자극이 제시되지 않은 no-go시행의 ERP 자료만을 분석했는데, 그림자극의 개시 후 초기(90-140ms)와 후기(700-1000ms)의 평균진폭을 분석한 결과, 부정그림과 중립그림 간 차이(정서가효과)가 초기와 후기 양자에서 관찰되었다. 특히 정서가와 지각부담의 상호작용효과가 초기에는 관찰되지 않았고 후기에만 관찰되었는데, 고부담조건에서는 정서가효과가 관찰되지 않은 반면 저부담조건에서는 부정그림이 중립그림보다 더 큰 정적 진폭을 유발하였다. 이는 정서처리가 초기에는 지각부담과 관련된 주의자원의 영향을 받지 않고 비교적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며 후기에는 지각부담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시사한다.

Abstract

We examined how the emotional processing is influenced by attentional modulation such as the level of perceptual load using event-related potentials method. On each trial, six letters were presented with a picture of IAPS in the background. Perceptual load was manipulated by varying the number of distractors that were similar to the target (no similar distractor in low load condition, five or six similar distractors in high load condition), and the valence of each picture was unpleasant or neutral. In low and high load conditions, participants first performed the letter detection go/no-go task and then performed the emotional discrimination task about a previous picture (divided attention paradigm). Only ERP data of non-target no-go trial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Participants responded more quickly and more accurately at low-load condition than at high-load condition, regardless of emotional valence of a background picture. ERP results showed emotion effect both in early (90-140ms) and late (700-1000ms) windows, but showed interaction effect of emotion and perceptual load only in late window.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erceptual load affect the late emotional processing, not the early emotional processing.

박영신(가톨릭대학교) ; 김채연(고려대학교) pp.605-621 https://doi.org/10.22172/cogbio.2011.23.4.00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DRM 패러다임에서 목록의 정서가와 인지적노력 수준이 실제기억과 오기억에 미치는 효과를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참가자들은 DRM 과제를 통해 정서 목록과 중성 목록으로 구성된 의미적 연합 목록을 제시받고, 나중에 재인과제를 수행하였다. 실험 1에서는 처리수준을 통해 인지적 노력 정도를 조작하였다. 참가자들은 목록에 대해 호오도 평정을 하거나 채색된 색깔에 대해 판단해야 했다. 실험 2에서는 산출처리를 통해 인지적 노력 정도를 조작하였다. 참가자들은 목록에 대해 자음과 모음을 스스로 결합하여 단어를 완성하여 소리내서 읽거나, 거꾸로 뒤집혀 제시되는 단어를 소리내서 읽어야 했다. 실험 결과, 두 실험 모두에서 상대적으로 인지적 노력이 강한 조건인 경우 정서 오기억 감소 효과가 나타났다. DRM 패러다임 내에서 정서 오기억 감소 효과는 더 큰 인지적 노력 조건에서 관찰되었으며, 정서는 오기억을 감소시킬 것이라는 가능성이 다시 한 번 확인되었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how emotional valence and the extend of cognitive effort as a semantic processing had influence on true and false memories in DRM paradigm. for two experiments. Both emotional lists and neutral lists were presented and standard recognition test was administerd by participants. In experiment 1, the level of processing was used to manipulate cognitive efforts. Participants were asked to rate the pleasantness of each words or to judge the color of word items. In experiment 2, the generative processing was manipulated for cognitive efforts. Participants were asked to make a word by combining consonants and vowels, or to read the upside-down mirror image of each words. The results showed that false memory rates with emotional lists were lower than neutral lists in both experiments. Moreover, the reduction of false memory in emotional lists was observed in the more cognitive effort condition. The results of two experiments indicated that emotion had an effect on the decline of false memory and confirmed the possibility that emotion could bring the benefit effect on memory performance.

손영준(경북대학교) ; 곽호완(경북대학교) pp.623-637 https://doi.org/10.22172/cogbio.2011.23.4.009
초록보기
초록

움직임 감지 입력 기기인 키넥트(Kinect)의 시공간 해상력을 알아보고자 사이먼 효과 검증과 뮐러-라이어 착시 판단과제에서 정량적 행동측정을 하였다. 실험 1에서는 사이먼 효과를 통하여 키넥트의 시간해상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 2에서는 뮐러-라이어 착시 판단에서 실험 참가자의 착시선분 측정행동을 깊이 센서로 촬영하고 실시간으로 골격을 구성하여 정량적 행동측정 자료를 얻고, 측정된 자료를 통해 키넥트의 공간해상도를 알아보고자 하였고, 착시의 지각된 반응과 비교하였다. 실험 1의 결과는 사이먼 효과에서 키넥트를 이용하여 실험 참가자의 행동을 반응키로 하였을 때도 키보드 반응을 사용한 기존 사이먼 효과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실험 2의 결과, 착시 선분의 길이에 따라 비교적 안정적으로 변화하는 운동 반응이 얻어져서 키넥트 공간해상도가 비교적 안정적이었다. 보다 중요하게, 지각반응에서 유의한 착시량이 얻어진 반면, 키넥트 반응에서는 유의한 착시량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는 지각반응과 행동반응의 괴리를 드러내는 결과로서, 특정 실험상황에서 키넥트의 사용이 중요한 방법적 도구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기존 실험 참가자의 행동측정 방법의 문제점을 키넥트와 비교해 보고 향후 발전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We examined the temporal and spatial resolution of Kinect which is a motion sensing input device manufactured by Microsoft. Specifically,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verify Simon effect and Muller-Lyer illusion by measuring quantitative behavior using Kinect. The purpose of experimental 1 was to evaluate the temporal resolution of Kinect in a Simon effect task. Simon effects were observed in both of the keyboard condition and the Kinect condition. In experimental 2, participants were asked to judge the length of the Mueller-Lyer test line compared to the comparison line either by perception or hand action. In the Kinect condition, hand-action judgement of the line increased with the line length linearly. More importantly, the hand-action condition did not show significant illusions while the perception condition showed significant illusions. This result suggests that Kinect could be a useful tool to explore a possible gap between perception and action. Finally, several methodological problems and future developments of the Kinect system were discussed.

이광오(영남대학교) pp.639-651 https://doi.org/10.22172/cogbio.2011.23.4.010
초록보기
초록

Coltheart, Davelaar, Jonasson 및 Besner(1977)은 길이가 동일하고 철자만 하나 다른 영어 단어들을 이웃(neighbor)이라 정의하고 이웃의 크기나 빈도가 단어 재인에 영향을 미친다는 주장을 하였다. 본 연구는 한글 표기 단어의 재인에서 이웃 단어를 어떻게 정의해야 하는지 결정하기 위하여, 점진적 탈차폐법(progressive demasking)을 이용하여 2음절 단어를 제시하고, 오반응을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Coltheart 등(1977)이 주장하는 바와 매우 달랐다. 우선, 한글 단어에서는 자모뿐만 아니라 글자 유형이 매우 중요한 요소일 가능성이 드러났다. 또한 초성 자모가 다른 자모들보다 더 중요함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의미적 요인의 효과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단어 재인의 초기 단계에서 표기 처리의 중요성을 시사하는 Coltheart 등을 지지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이웃을 정의하는 특성을 단 하나의 자모에 한정하고 있는 Coltheart 등과 달리, 철자 이웃의 특성이 여러 위치와 단위에 분산되어 있음을 시사하고 있으며, 이는 단어의 ‘이웃성’의 정도가 언어에 따라서 서로 다를 수 있음에 주의할 것을 요구한다.

Abstract

Coltheart, Davelaar, Jonasson, & Besner (1977) insisted that word recognition can be regulated by the number and frequency of neighbors, which are defined as words that have the same length as a word in question and have only one different letter. The present study adopted the progressive demasking method to collect error responses that could reveal competing neighbors of a stimulus word. The collected errors were analysed to find clues to how to define neighborhood in the processing of Korean bisyllabic words. The results obtained were different from what was assumed by Coltheart et al. First, Kulja type as well as letter was found to be critical in activating neighbors. Initial letter was more important than middle and final letters in a syllable. However, semantic effects were not significant implying that orthographic factors prevails in the initial stage of word recognition, which is consistent with Coltheart et al. In sum, the results suggest that orthographic neighbors in Korean word recognition should be defined in multiple dimensions using strokes, letters, Kuljas, Kulja types, and so forth.

이상일(경북대학교) ; 손영준(경북대학교) ; 곽호완(경북대학교) ; 장영민(경북대학교) ; 이민호(경북대학교) pp.653-663 https://doi.org/10.22172/cogbio.2011.23.4.011
초록보기
초록

최근 개발된 모델 KSL-240 안구운동 추적기의 기기타당도를 Tobii 1750을 사용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실험참가자는 표적화면에 있는 적색 원으로 눈을 옮기거나 마우스 커서를 움직이도록 요구받았다. 이들은 세 가지 실험조건(KSL-240/Tobii 1750/Mouse Tracking)에 할당되었다. 그 결과 1) 마우스 트래킹 조건의 정반응률은 100%였고, 2) KSL-240의 정반응률(92%)는 Tobii 1750의 정반응률(79%)보다 높았으며, 3) KSL-240의 평균반응시간(598ms)은 Tobii 1750의 반응시간(466ms) 보다는 다소 느렸고 마우스 트랙킹 조건의 반응시간(808ms) 보다는 빨랐다. 결론적으로 새로 개발된 KSL-240 안구추적기는 고가의 상업용 장비를 대체할 수 있는 성능을 지닌 기기임을 시사한다.

Abstract

We tried to verify a low-cost eye tracking device(Model KSL-240) designed in our Lab, using a commercialized eye tracker device(Tobii 1750). Participants were asked either to move eyes or to move mouse cursors to the location of a red circle presented in the target display, and they were assigned to three experimental conditions(KSL-240/Tobii 1750/Mouse Tracking). As results, 1) accuracy of the Mouse Tracking condition was 100%, 2) accuracy of the KSL-240(92%) eye tracking condition showed better performance over the Tobii 1750(79%) condition, 3) mean response time of the eye movements in the KSL-240(598ms) condition was somewhat slower than that of the Tobii 1750(466ms) condition, and the Mouse Tracking (808ms) condition was the slowest. In conclusion, it was suggested that the model KSL-240 eye-tracker could be used as a device which might be able to substitute more expensive, commercialized device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