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손원영(서울대학교) pp.57-71 https://doi.org/10.22172/cogbio.2009.21.2.001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wo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examine attentional suppression in transparently moving dot fields. One of the dot groups were moving coherently in a single direction (effector) and the other were moving randomly (contender). A proportion of the random dot group occasionally moved coherently in the orthogonal direction to the effector during motion adaptation period. In ‘passive’ condition, observers viewed the stimulus without performing any task. In ‘attentive’ condition, they were asked to attend to the occasional coherent motion in the contender by reporting the motion direction. The motion aftereffect for the effector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attentive condition compared to that in passive condition. This reduction was present even when the proportion of coherent dots in the contender was zero. The similar results were observed when the occasional coherent motion in the contender was 30 deg apart from the effector, which is well within the range of motion integration. These results show that attention to one component of bivectorial motion results in strong suppression of the unattended component as well as enhancement of the attended one. Such suppression in the small angle difference implies that attention to one of the superimposed motion components encourages segregation between different directions rather than integration.

김남균(계명대학교) pp.73-90 https://doi.org/10.22172/cogbio.2009.21.2.00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인간시각체계가 회전하면서 다가오는 비원형물체의 접촉시간을 탐지할 수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Gray와 Regan(2000)은 인간시각체계가 단안정보에 입각하여 회전하며 접근하는 비원형물체의 접촉시간을 탐지할 능력이 결여되었다고 주장하였다. 하지만 그들의 연구에 사용된 물체는 타원체였으며, 그 물체는 각 시행에서 90도만을 회전하였다. 따라서 물체는 조건에 따라 원형에서 타원형으로 혹은 타원형에서 원형으로 형태가 변화하였다. 즉 Gray와 Regan은 회전하는 비원형물체가 야기할 수 있는 무한한 형태 중에서 단지 두 가지 유형에 근거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아울러 Gray와 Regan은 내부의 결 조직이 제거된 물체들을 자극으로 사용하였으며, 그 물체들은 윤곽만 묘사되었다. 그에 반해 본 연구에서는 보다 일반적인 상황을 묘사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다양한 결 무늬를 입힌 물체들을 사용하였다. 또한 두 종류의 비원형물체가 사용되었으며, 통제물체로 원형물체가 사용되었다. 물체의 접근속도, 접촉시간, 회전방향도 함께 통제하였다. 그리고 정보가 저하된 상황 하에 다른 정보를 보완할 가능성도 함께 검증하기 위해서 지면의 결과 물체의 그림자도 함께 조작하였다. 이러한 변인들을 상대판단과제(실험 1)와 절대판단과제(실험 2)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참가자들의 접촉시간 지각능력이 기존의 접촉시간 연구에서 보고한 결과들과 비교하였을 때 비슷하거나 더 우수하였다. 또한 접근속도와 물체의 크기에도 영향을 받음으로써 본 연구에서 관찰된 능력이 접촉시간 지각과정에서 발견된 일반적인 반응양상과 거의 다르지 않다는 사실 또한 발견되었다. 요약하면, 본 연구에서 Gray와 Regan이 내린 결론과는 상반되는 결과, 즉 인간시각체계가 회전하는 비원형물체의 접촉시간을 정확하게 지각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Abstract

Are human observers incapable of estimating the time-to-contact (TTC) of a tumbling rugby ball while watching it with a single eye, as Gray and Regan (2000) contend? Everyday experiences suggest otherwise. In Gray and Regan’s study, the oval object rotated only 90 deg so that, for a given trial, its projected shape changed either from circle to ellipse or from ellipse to circle depending on the initial orientation of the object. Thus, despite the fact that an infinite variety of optical patterns can be engendered by rotating non-spherical objects, only two types of deformation were depicted in Gray and Regan’s study. For that reason, additional studies are clearly warranted.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directed at perceptual capacity for estimating the TTC of rotating non-spherical objects. Two different response measures, a relative (Experiment 1) and an absolute (Experiment 2) judgment task, in conjunction with three types of objects, a sphere, a rugby ball shaped object, and a disk shaped object, were employed for this purpose. The objects were depicted as texture-mapped images. Even with the surface texture of the objects, the texture elements projected to the observation point were displaced or even disappeared and were replaced by the texture elements hidden behind due to rotation. Nevertheless, performance was accurate across all conditions of object type. That is to say, participants were as accurate in judging TTC of the two non-spherical objects as they were with the spherical object. Moreover, the effects of velocity and size were also observed, consistent with similar effects reported in other TTC studies. Taken together, the results contradicted Gray and Regan's contention and demonstrated that the human visual system is capable of perceiving TTC of rotating non-spherical objects using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surface texture of the objects.

이윤형(대구가톨릭대학교) pp.91-110 https://doi.org/10.22172/cogbio.2009.21.2.003
초록보기
초록

본 논문에서는 안구운동의 측정치들이 문장이해 과정에 관여하는 다양한 정보처리 기제를 어떻게 반영하는지를 살펴보고 영어 문장이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서 제안된 다양한 안구운동의 측정치들이 한글 문장 이해 과정을 설명하는데도 잘 적용될 수 있을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한글과 영어 문장읽기시 안구운동을 측정한 자료를 살펴보았는데 한글 문장 읽기시 안구운동을 측정한 자료를 다양한 안구운동의 측정치들을 이용해 분석한 결과는 다양한 안구운동의 측정치들이 한글 문장읽기시의 여러 정보처리 과정을 살펴보는데도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문장의 수준에 따른 정보처리 양상의 차이를 살펴본 영어 안구운동 자료 분석의 결과는 하나의 인지정보처리과정이 다양한 여러 안구운동의 측정치들에 반영될 수 있으며 여러 인지정보처리 과정들이 하나의 안구운동 측정치에 반영될 수도 있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안구운동의 측정을 이용하여 각 실험 처치 조건에 따른 실시간 인지정보처리 과정의 차이를 살펴보는 방식의 실험 연구를 할 때에도 다양한 처치조건에 따른 처리 양상의 차이를 분명하게 살펴보려면 다양한 안구운동의 측정치를 개별적으로 고려하기보다는 종합적으로 살펴보는 것이 중요 하다는 것을 보여 주는 것이다.

Abstract

Experiments using eye movement to study various aspects of language processes implicitly assume tight links between eye movements and cognitive processes. Based on this assumption, the variability in the measures can be interpreted as reflecting different on-line processes and eye movement measures can be used to infer moment-to-moment cognitive processes. Therefore, most of the recent studies in sentence processing using eye movements have employed various measurements to better understand human sentence processing mechanisms. The different measurements offered by eye movement analysis are valuable for distinguishing the time course of various psycholinguistic processes such as early lexical processes, later structure building processes, and sentence integration processes. Howe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clearly show that certain eye movement measures do not always represent certain cognitive process. Instead, a single cognitive process may be reflected in many eye movement measures, while a group of other cognitive processes may be reflected in only a single eye movement measure. To find various on-line sentence processing patterns or strategies during reading, it is very important to incorporate various eye movement measures into several groups. However it is more important to inspect various eye movement measures individually while considering results from other measures comprehensively. With doing so, we can get better idea about our on-line sentence processing mechanism, which might be impossible to catch otherwise. Also, this approach fit better with the nature of highly cross-related eye movement measures.

배문정(서울대학교) ; 김정오(서울대학교) pp.111-128 https://doi.org/10.22172/cogbio.2009.21.2.004
초록보기
초록

한국인 22 명과 한국에 거주하는 일본인 12 명을 대상으로 영어 초성에 대한 지각을 조사하고, 두 언어민들이 영어 자음을 범주화하는 심리적 구조를 비교하였다. 통제 비교를 위해, 영어민 4 인의 지각 혼동을 함께 조사, 분석하였다. 음성 자극은 영어 19 개 자음이 ‘a’ 모음과 함께 발음된 개음절이었다. 실험에서 음성 자극은 백색 소음에 중첩되어 제시되거나 소음 없이 정상적으로 제시되었다. 청취자들이 음성 자극을 판단한 반응 결과는 자음들 간의 혼동 행렬로 구성되었으며, 이 행렬에 대해 가산군집분석, 개별차이척도법 및 정보전달율을 계산하였다. 가산군집분석 결과, 한국인이 가장 많이 혼동하는 영어 자음쌍은 /ʤ/-/z/, /s/-/ɵ/, /b/-/v/, /d/-/ð/로 조음 위치가 같은 폐쇄음과 마찰음 쌍이었으며, 일본인은 /l/-/r/, /s/-/ɵ/, /z/-/ð/, /f/-/ɵ/로 조음 방법은 같으나 조음위치가 다른 소리 쌍이었다. 소음 조건의 혼동 결과에 개별차이척도법을 적용하고, 각 언어민에서 4 개의 유의한 기저 차원을 추출하였다. 이 차원 구조를 영어민 자료와 비교한 결과, 영어민의 경우, 차원 구조에서 음운적 부류가 뚜렷하게 드러나는 반면, 한국인과 일본인의 차원 구조는 분산적이고 경계가 모호하였다. 이는 모국어와 외국어 음운 지각의 차이를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소음 조건에서 한국인과 일본인의 심적 차원 구조는 거의 유사하였다. 구체적인 음운 자질들의 심리적 사용을 조사하기 위해, SPE(Sound Pattern of English) 자질들(Chomsky & Halle, 1968)의 정보 전달율을 분석하였다. 한국인과 일본인, 영어민의 비교에서 특이한 점만을 열거하면, 첫째, 한국인 자료에서는 조음 방법의 자질들인 지속성(continuant)과 방출 지연(delayed release)의 정보전달율이 상당히 낮았다. 둘째, 일본인들은 다른 언어민에 비해, /l/의 변별 자질인 설측성(lateral)의 전달율이 낮았고, 조음위치를 전방성(anterior) 자질을 중심으로 판단하였다. 셋째, 영어민 자료에서 특기할만한 점은 유성성(voiced) 자질의 정보전달율이 낮게 나타난 것이다. 이는 현대 영어에서 /ð/-/ɵ/의 음운적 대립이 약해진 것을 반영하는 듯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인과 일본인은 모두 영어 음운을 지각할 때 큰 어려움을 겪지만, 그 구체적인 양상은 다르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는 외국어 음운을 지각할 때, 모국어의 음운 구조가 큰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외국어 음운 학습을 위한 전략은 학습자의 모국어 음운 구조에 따라 달라져야 함을 시사한다.

Abstract

Twenty two Koreans and twelve Japanese living in South Korea have been examined for their perceptual identification of an initial consonant in English syllables with or without white noise. A confusion matrix was then subject to analyses of additive clustering, individual difference scaling, and the probability of transmitted information, the results of which were compared to those of four English speakers living in South Korea. Koreans were confused with sounds which have the same place of articulation but the different manner of articulation (closure and continuant) like /ʤ/-/z/, /s/-/ɵ/, /b/-/v/, /d/-/ð/ pairs. Japanese were confused with the sounds which have the same manner of articulation but the different place of articulation like /l/-/r/, /s/-/ɵ/, /z/-/ð/, and /f/-/ɵ/ pairs. The overall results showed that Korean and Japanese who were assumed to have the same difficulties in perceiving English consonants actually have the quite different error patterns with English consonants. These difference might be caused by their perceptual structure with mother language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method for acquisition of English phonology should be modified depending on learner's phonology of mother language.

이현규(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Beckman Institute) ; 김민식(연세대학교) pp.129-145 https://doi.org/10.22172/cogbio.2009.21.2.005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Studies of attention and working memory address that working memory contents guide attention to the memory-matching object in the scene.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whether familiarity of working memory contents modulates the memory-based attention allocation. We measured the attention allocation by comparing response times (RT) for memory-matching or non-matching probes while maintaining either novel or familiar object in working memory. When a novel object was maintained in working memory, probe RTs at the memory-match object were significantly faster than those on non-match object (Experiment 1). However, when participants maintained a familiar or highly learned object in working memory, there was no probe RT advantage for the memory-match object (Experiments 2, 3, and 4).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working memory does not automatically bias attention towards the memory-matching item; instead, the bias was present only for novel working memory contents. Thus, the guidance of attention by working memory contents could be due to a top-down strategy where participants re-sample the memory item in the visual array in order to reduce the cognitive complexity of working memory maintenance.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