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계적 편집자 모형에 따르면, 선택 반응 시간은 운동 프로그램의 구조, 불명확한 하위 운동 프로그램의 위치, 그리고 운동 연쇄의 길이에 의해서 결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두개의 손가락 운동 연쇄쌍 중에서 하나를 빠르게 선택하여 반응하는 상황에서 손과 손가락에 대한 정보기가 어떻게 결정되는 지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그 결과 불확실한 하위 운동 프로그램의 위치에 따라 반응 개시 시간이 달랐으며, 편집해야 하는 속성이 손가락에 대한 정보가일 조건에서가 손과 손가락에 대한 정보가를 모두 결정해야 하는 조건에서 보다 반응 개시 시간이 빠르게 나타났다. 그러나 손에 대한 정보가를 결정해야 하는 조건에서는 Rosenbaum 등(1984)의 실험 결과와 마찬가지로 손과 손가락을 모두 결정하는 조건보다 반응 개시 시간이 빠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손에 대한 정보가와 손가락에 대한 정보가를 구별하여 결정하며, 손에 대한 정보가가 손가락에 대한 정보가보다 먼저 결정됨을 의미한다. 한편 편집 속성이 반응간 시간에는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According to Hierarchical editor, or HED model, choice reaction time depends on structure of motor program, position of uncertain response, and length of movement sequence.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assignement processing of hand and finger parameters under the condition in which subjects performed one of two memorized finger sequence. The position of uncertain response affected on response initiating time(T1). However Rosenbaum, Inhoff, and Gordon (1984) claimed that the number of feature to be edited does not affect on chossing time, but in the present study, T1 was shorter when hand parameter had been set and finger parameter rad been uncertain than when hand and finger parameter had been uncertain. But T1 was not shorter when finger parameter had been set and hand parameter had been uncertain than when hand arid finger parameter had been uncertain. This result is consistent with Rosenbaum et. al. (1984)'s result. These results suggest that hand parameter is independently edited with finger parameter and is determined before finger parameter is. In other words, hand parameter decision is occured on higher element than finger parameter decision. On the one hand, to-be-edited feature did not affect on interresponse time. This result derived from the face to-be-edited feature did net change the number of element for subprogram.
선행연구에서 동물이 새로운 환경에 노출되면 날록손에 역전되지 않는 통각감소 현상이 발생하며, 이러한 신기성으로 유발된 통각감소(novelty-induced hypoalgesia)는 세로토닌(serotonin: 5-HT)이나 노어피네프린(norepinephrine: NE)등의 모노아민계에 의해서 매개된다. 본연구에서는 정서/인지적 반응과 항유해적반응을 매개하는 하나의 신경구조물로 알려져 있는 편도체중심핵이 이러한 통각감소를 전달하는 데에 책임있는 영역인지, 그리고 NE의 작용에 아편계가 관여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실험에서는, 먼저 모든 쥐에게 양측 편도체중심핵을 표적으로 안내관을 심는 시술을 실시했다. 1주일 후 이들 쥐를 크게 노출집단과 비노출집단의 2 집단으로 나눈 후 노출집단만 23℃의 열판에서 매일 5분씩 7일간을 노출시켰다. 8일째에 각 집단을 다시 요힘빈집단과 생리식염수집단(요힘빈-노출집단, 요힘빈-빈노출집단, 생리식염수-노출집단 및 생리식염수-비노출집단)으로 분류한 다음 편도체중심핵의 양측에 해당의 각 약물을 미세주입하고 모든 동물을 49℃의 열판에 노출시켜서 뒷발바닥핥기 잠재기를 측정하였다. 각 동물을 열판장치에서 꺼내자마자 동일한 부위에 다시 날록손을 주입하고 앞에서와 동일하게 잠재기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열판기구라는 신기성환경에 의해서 통각감소가 유발되었음은 물론, 알파-2 NE 수용기 길항제인 요힘빈에 의해서는 비노출조건에서만 통각감소가 증가하였으며, 날록손의 경우는 비노출조건의 요힘빈집단에서만 통각감소가 감소하였다. 이들의 결과는 동물이 신기성환경에 접하면 공포와 함께 통각이 감소한다는 사실을 알려줄 뿐만 아니라, 편도체중심핵내의 NE가 이러한 효과를 매개 및 상승시킴을 의미한다. 그리고, 편도체중심핵에서 비노출조건의 요힘빈하에서만 아편계가 관여한다는 사실은 신기성환경으로 유발된 통각감소에 아편계가 단독으로 개입할 가능성은 미소하며 이런 종류의 통각감소에서 아편계보다는 NE계의 역할이 큼을 시사한다.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that a novel environment renders animals hypoalgesic and this novelty-induced hypoalgesia(NIHA) is not reversed by naloxone-pretreatment; in fact, the NIHA seems to be mediated through the monoaminergic system such as serotoninergic- and noradrenergic substrate, according to the studies on the effects of i.p. injection of those receptor ligands on the NIHA. The present study is conducted to investigate not only whether the central amygdaloid nucleus(ACe), which is known as mediating anti-nociceptive response as well as emotional/cognitive ones including fear/anxiety response, is responsible for the NE-mediated NIHA, but also whether the opiate system modulates this kind of NE mediation. In the present experiment, all rats were first given bilateral cannulae-implantations into the ACe. 7 days later, after these rats were randomly assigned into two groups named 'exposure group(EXP)' and 'non-exposure group(NON)', only the EXP started to be exposed to the non-functional floor of the Hot-Plate Apparatus (at the temperature of 23℃) 5 minutes every day for 7 consecutive days. On the 8th day, after being divided into two subgroups such as yohimbine group and saline group and being supplied with bilaterally-microinjected yohimbine or saline equivalent to its condition into the ACe, each group received a hot-plate(49℃) test. The latency to lick a hind-paw was manually recorded. As soon as picked out of the Apparatus all the rats were re-provided with naloxone, one of opiate receptor antagonists, and were re-tested under the same conditions mentioned. The result is that the novelty rats produced more hypoalgesia than the adapted rats in the hindpaw-licking latency, and that the bilateral micro-injection of yohimbine, an a<sub>2</sub>-NE receptor antagonist increaing NE release in the brain-neuron synaptic cleft by blocking the presynaptic autoreceptors, potentiated the hypoalgesia, only in the novelty rats; which indicates that the novelty-induced hypoalgesia appears to be carried through the NE substrate and that the ACe is the chief forebrain site conducting the NE-potentiated novety-induced hypoalgesia. As far as the effect of naloxone injection under the influence of the preinjected yohimbine and saline is concerned, the hypoalgesia was reduced only under the condition of novelty yohimbine, neither under that of novelty saline nor under that of non-novelty yohimbine and saline; which implicates the opiate substrast may participate in the hypoalgesia necessarily as the NE-substrate-dependant pattern rather than by itself. Thus, the NE system may play more important role than opiate system in mediating the novelty-induced hypoalgesia.
단폭 및 장폭 가현운동 과정간의 상호 의존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단폭과정의 처리 결과에 의존하는 장폭운동과 장폭-단폭과정간의 상대운동 양상을 조사하였다. 가현운동을 Braddick의 기준에 따라 단폭과 장폭의 범주로 분류할 수 있도록 무선점 시네마토그램과 윤곽이 있는 자극을 사용하였으며 자극간 시간간격을 변화시켰다. 한쌍의 무선점 도형을 국소적으로 단폭운동시켰을 때 나타나는 자극도형을 장폭운동의 범주에 속하는 자극간 시간간격 (ISI)과 이동거리를 두고 번갈아 명멸시킨 결과 장폭운동이 지각되지 않았다. 상대운동에서는 표적자극과 그것을 포함하고 있는 틀이 다른 범주의 운동을 할 때보다 같은 범주의 운동을 할 때 틀의 운동방향을 참조하여 표적의 운동방향을 상대적으로 해석하여 지각하는 경향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단폭 및 장폭의 두 가현운동 처리 기제간에 상호의존성이나 위계성이 존재할 가능성이 적으며 두 기제가 독립적인 채널로 구성되어 있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암시한다.
The aspects of relative motion and the 2nd-order long-range motion were examined to investigate the interdependency between the two different processes of short-range and long-range apparent motion. Random-dot cinematograms and contoured stimuli were used to help classifying an observed motion into the two different categories of apparent motion following the Braddick's criterion, In the relative mention, the tendency of perceiving the motion direction of a target stimulus relative to that of the frame was greater when the processes involved in the target and frame motion were in the same category than when they were in different categories. This result was interpreted as an indication of the independence of the short-range and the long-range processes, In the 2nd-order long-range motion which was defined as the long-range apparent motion of a stimulus patch dipicted by a pair of random-dot cinematograms, no evidence was found that the output of the short-range process is hierachically fed into the long-range process as an input stimulus for the further processing.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suggest that there be neither processing dependency nor hierach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mechanisms of short-range and long-range apparnet motion.
본 연구는 고전적 공포조건화에 관여하는 장소로 알려진 편도체의 기저 외측핵에 장기상승작용(Long-Term Potentiation: LTP)의 생성을 차단하는 약물인 MNDA (N-methyl-D-aspartate)길항제 AP5를 미세주입함으로써 시각적 조건자극(CS)을 사용한 경우에, 상승된 경악 반응의 습득이 차단되는지를 보고자 하였다. 동물은 AP5-AP5, AP5-식염수, 식염수-AP5, 식염수-식염수 집단으로 나누어서 CS-US 배쌍직전에 AP5나 식염수를 주입한 후 훈련시켰다고 다시 검사직전에 AP5 혹은 식염수를 주입하였다. AP5-AP5집단과 AP5-식염수집단은 상승된 경악반응을 보이지 않았고, 식염수-AP5, 식염수-식염수 집단은 상승된 경악반응을 보였다. CS-US배쌍 직전에 주입한 AP5는 상승된 경악반응을 차단하였고, 검사직전에 주입한 AP5는 상승된 경악반응을 차단하지 않은 결과는 AP5가 습득을 차단했으되 그 표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해석된다. 그리고 AP5-AP5, AP5-식염수 집단이 상승률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므로, 상승된 경악반응의 차단이 상태의존적 인출 실패에 기인한 것이 아니고, AP5 자체의 약효때문임을 알 수 있다.
It has been known that the amygadala is the neural substrate for conditioned fear as well as unconditioned fear. Among the substructures of amygdala, the basolateral nucleus where CS and US inputs converge and LTP occurs, contains high densities of NMDA receptors and so seems to have a critical role in synaptiplasticity. NMDA antagonist, AP5 prevent induction of Long-term potentiation, but not expression of LTP. LTP is an activity dependent enhancement of synaptic efficacy and is regarded the psysiological mechanisms that might underlie learning and memory. So this experiment was done to investigate what effect AP5 injection to the basolateral amygdala on the acquisition and expression of the fear conditioning, using the fear potentiated Startle paradigm. Animals were allocated to AP5-AP5, AP5-saline, saline-AP5, saline-saline groups. AP5 or saline was injected just before conditioning and testing. The re sult is that AP5-AP5, AP5-saline group didn`t show the potentiated startle, comparative to the saline-AP5, saline-saline group, and AP5-AP5 group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AP5-saline. So we conclude that AP5 blocked the acquisition but not expression of conditio-ned fear-potentiated startle and convince that the blocking is not due to state-dependent retrieval failure.
한글글자처리과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발견하기 위하여 세 개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1과 실험2에서는 음독과제를 사용하였다. 실험1에서는 고빈도글자의 음독시간이 저빈도글자의 음독시간 보다 짧았으나, 받침유무에 따른 음독시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2에서는 글자빈도와 글자핵빈도를 비교한 결과 두 요인의 효과가 모두 유의미하였다. 고빈도글자의 음독시간은 저빈도글자의 음독시간 보다 짧았으며, 글자핵빈도가 높은 글자의 음독시간은 글자핵빈도가 낮은 글자의 음독시간보다 짧았다. 글자쌍 동일여부 판단과제를 사용한 실험3의 결과는 받침의 유무와 모음자의 유형이 글자유형 비교에 관여하는 요인임을 시사하였다. 논의에서는, 글자빈도 효과와 글자핵빈도 효과와 글자처리모형의 관계에 대해 검토하였다.
Thre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find some factors which influence the processing of Kulca, the Hangul orthographic unit which corresponds to Korean syllable. In Experiment 1 and 2 pronunciation task was used. In Experiment 1, subjects took longer to pronounce the high frequency Kulcas than the low frequency Kulcas, whereas equivalent pronunciation latencies were obtained for Kulcas with Patchim (final consonant letter) and Kulcas without it. In Experiment 2, although the significant frequency effect of Kulca was replicated, the Kulcas containing very frequent nuclei (initial. consonant letter plus vowel letter) were pronounced faster than the Kulcas containing rarer nucle, This result .shows that Kulca nucleus plus Patchim units are used in pronouncing kulcas. In experiment 3 using same-different matching task, the psychological reality of the six types of Kulcas in their combination of consonant letters and a vowel letter was tested. The result suggests that both the presence of Patchim and the type of vowel letter are significant variables in the processing of Kulca type. Implications for possible models of Kulca processing a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콜린성 중격해마체계에 속하는 내측 중격핵의 손상이 공간학습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하는 것이다. 공간학습과제로는 Morris 수중미로가 사용되었다. 실험 1에서 colchicine 또는 kainic acid을 주입한 내측 중격핵의 손상은 표준적인 Morris 수중미로의 학습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자유수영검사에서는 kainic acid 손상집단이 파지의 장애를 보였다. 실험 2에서도 실험 1과 동일한 공간과제를 사용하였는데, 국소마취제인 lidocaine의 훈련전 주입에 의한 손상은 공간학습을 방해하였다. 손상이 되지 않은 채로 실시된 자유수영검사에서는 집단들간의 차이가 없었다. 실험 3에서는 작업기억 검증용 Morris 수중미로를 사용하였는데, colchicine을 주입한 내측 중격핵의 손상은 그 과제에서 결손을 초래하였다. 결과적으로 공간 준거기억 기능을 검증하는 표준적인 Morris 수중미로과제에서는, 내측 중격핵의 손상효과가 일관성이 적다는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확인하였고, 수정된 공간 작업기억 검증과제에서는 내측중격핵 손상이 작업기억의 결손을 초래하였다. 따라서 해마에 대한 내측중격핵의 입력이 공간 작업기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medial septal lesions on the spatial learning in rats. A standard Morris water maze task was used in both Experiment 1 and 2. In Experiment 3, a modified spatial working memory version of the Morris water maze task was used. In Experiment 1, colchicine or kainic acid(KA) lesions of the medial septal area were made in rats. Both colchicine and KA rats learned to find the hidden platform as quickly as sham-operated rats in the water maze, but KA rats spent somewhat less time in the training quadrant than did sham-operated rats in a probe trial. In Experiment 2, rats with pretraining infusion of lidocaine into medial septum showed impairment on acquision of the water maze, but they could retain place information as much as sham-operated rats in a probe trial. In Experiment 3, Animals were trained to swim directly to a visible platform in one of four quadrant and subsequently probed a hidden platform in the same location. Each day the platform was placed in a different quadrant. In the task, rats with colchicine-induced lesions to medial septum were significantly impaired relative to control animals. In summary, medial septal lesions did not consistently interfered with the acquisition of the standard Morris water maze task, but impaired the performance in a spatial working memory version of the water maze task.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amage to the medial septum disrupts spatial working memory more than it disrupts cognitive mapping ability.
한글 단어 재인에 관여하는 정신 부호의 특징을 구명하기 위해 두개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1에서는 자극물의 글자수와 의미성이 자극물 명명시간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의미가 없는 비단어 명명시간이 단어 명명시간 보다 길었다. 글자수의 증가에 따른 명명시간은 단어와 비단어 모두에서 증가하였으나, 증가율은 단어보다 비단어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2에서는 실험 1에서와 동일한 자극물을 이용하여 어휘판단 시간을 측정하였다. 단어에 대한 반응시간이 비단어에 대한 반응시간보다 짧았다. 단어의 경우에는 글자수가 증가하여도 반응시간에는 변화가 없었지만 비단어의 경우에는, 글자수가 두개 이상일 때에 한하여, 글자수와 함께 반응시간이 길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결과를 기초로, 한글 단어의 재인은 제시된 단어의 시각적 표상과 어휘록의 철자표상간의 직접적 결합으로 이루어진다고 결론지었다.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roles of phonological and orthographic codes involved in Hangul word recognition. Experiment 1 examined naming latencies for words and nonword as a function of the number of charaters (syllables) in the visually presented stimulus items, Words were named faster than nonwords. Latencies increased with the number of characters for both words and nonwords, However, the increasing rate for nonwords was much higher that that, for word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words and nonwords are named through different processes, Experiment 2 measured lexical decision times for the same items used in Experiment 1, Mean response time (RT) for words was shorter than that for nonwords. Mean RT for nonwords with mare than two characters increased with the number of charaters in the items; however, mean RT for words did not, suggesting that words arid nonwords were differentially processed. It was concluded that, enven though Hangul is a phonologically shallow orthography, phonological code does not assume critical roles in Hangul ward recognition.
본 연구는 토끼의 고전적 순막 조건화에서의 해마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특별히 자극(조건자극:CS) 처리 단계와 연합의 단계를 구분할 수 있는 잠재적 억제 절차를 이용하였다. 그리고 해마가 CS처리에 관여하는 바를 알아보고자 CS가 소뇌로 전달되기 직전 CS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교핵을 기록부위로 정하였다. 실험결과, 해마를 손상한 동물들과 정상동물들은 사전노출단계 동안 교핵의 다단위 신경반응에 있어서 차이를 나타내었다. 즉, 해마손상 동물들은 정상동물에 비해 반복 제시되는 CS에 지속적으로 더 많은 신경반응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해마가 자극을 처리하고 해석하는데 관여한다는 사실을 간접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해마손상동물이 잠재적 억제 과제에서 학습 지체를 보이지 않는 것은 이들이 부적절한 자극에 대해서도 과다한 반응을 보이기 때문이라고 여겨진다. 해마에서 일어나는 계산적 과정이 과연 주의와 관련되는지의 여부는 본 연구로써 언급하기 어렵다. 그러나 해마손상동물과 정상동물이 잠재적 억제에서 보여주는 차이는 바로 이러한 해마의 CS 처리 관련 기능에 기인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고전적 조건화에서의 해마의 역할이란 연합 그 자체에 대한 것이라기 보다, 자극의 처리에 더욱 관련된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ole of hippocampus in nictitating membrane response in rabbits. Especially, the latent inhibition procedure was used to differenciate between the stage of stimulus(conditioned stimulus:CS) processing and that of association. As the pontine nuclei was the recording sites, it was possible to observe the effects of hippocampus on conditioned stimulus before the information of the CS enters cerebellum. The result was that the multi-unit neural activity in pontine necleus was influenced by hippocampal damage. That is, compared to the normal animals, the hippocampal lesion anmals consistently kept up more neural responses to the repeated CS. However, they showed no difference in the manner in which the multi-unit activity progresses during the course of time. These results indicate indirectly that hippocampus is related to processing and interpreting incoming stimuli. It is considered that hippocampal lesion animals show no retardation of learning in latent inhibition because they response redundantly to irrelavant stimuli. This study is insufficient to conclude that the computational procedure in hippocampus is concerned with attention. Yet, it is reasonable to attribute the cause which the hippocampal lesion animals differ from normal animals in latent inhibition to CS-related function of hippocampus. Therefore the role of hippocampus in classical conditioning is related to CS processing rather than association itself.
단어지각 또는 재인의 초기에 심성부호의 형성에 기여하는 주의의 역할을 밝히기 위해 어휘판단 반응을 요구하는 과제를 사용하되 무파악역에서 차폐되어 그 정체를 알기 힘든 점화자극에 대해 다양한 보고를 요구하는 일곱 실험들을 수행하였다. 차폐된 점화자극에 대한 보고의 유형에 따라 어휘판단 반응시간 상 연상촉진효과 또는 정적반복효과가 관찰되었고, 점화자극이나 탐사자극의 위치를 이동시킬 때 연상억제효과가 일관되게 관찰되었다. 일곱 실험들의 결과들은 수렴해서 차폐된 점화자극에 주의가 선택적으로 주어져서 시각부호 또는 의미부호가 형성되며, 이 부호들은 주의에 의한 위치부호와 긴밀한 관계에 있음이 드러났다. 또한 본 연구 결과들은 수렴해서 소위 무의식적 지각 현상에는 반드시 위치 한정적인 주의가 필요하며, 이런 점에서 Carr와 Dagenbach(1990)의 결과들과 일치하지만, 본 연구에서 얻어진 연상억제효과는 이들이 발견한 억제효과와 그 배후 기제가 다른 것으로 밝혀졌다.
Seven experiments were designed to examine the role of attention in the development of mental codes regarding pattern-masked word inputs presented at various identification thresholds. Depending upon type of report required about pattern-masked prime words, either a positive repetition or an associative facilitation effect has been obtained in a lexical decision task. Most notably, associative inhibition effects were also obtained when either a prime or a probe word was slightly moved from its original position. The pattern of results indicates that visual and semantic codes are developed by focused attention to pattern-masked prime words and that these mental codes are locationally specific. Comparison of our results with Carr and Dagenbach's (1990) suggests that associative inhibition effects in our study are qualita-tively different from the effects they have found.
토끼의 고전적 순막 조건화에서 소뇌 중간핵과 소뇌 피질 단소엽은 결정적인 신경가소성을 확립하는 부위로 여겨진다. 본 실험에서는 소뇌 중간핵의 다단위 활동을 기록하면서 순막 조건화 훈련을 실시한 후 소뇌 피질 단소엽을 손상하여, 이러한 손상이 이미 확립되어 있는 조건반응의 파지 및 재습득에 미치는 영향과 소뇌중간핵에서 형성되어 있는 행동반응에 대한 신경모델에 미치는 영향을 검사하였다. 4일간의 조건화 훈련을 받은 토끼들은 확고한 행동적 조건반응과 전형적인 소뇌 중간핵의 신경반응을 나타내었다. 그런데 소뇌피질 단소엽을 손상시키자 행동적 조건반응이 폐지되었을 뿐만 아니라 결정적인 가소성 형성 부위로서 기억 흔적이라 여겨지던 조건 자극 동안의 중간핵 신경반응 증가 또한 사라졌다. 무조건 반응과, 무조건 자극 동안의 중간핵 신경반응은 영향 받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정상적인 조건화에 있어서 단소엽에서 중간핵으로의 입력이 조건반응의 파지와 중간핵 신경가소성의 유지에 직접적으로 관여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따라서 소뇌 중간핵은 조건반응에 대한 결정적인 기억 흔적을 저장하고 있는 유일한 부위라기보다는 소뇌피질과 함께 조건반응을 표상하고 있는 신경회로상의 한 구조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손상후 훈련이 거듭됨에 따라 조건반응은 그 크기는 상당히 저하 되었으나 재습득 되었으며 중간핵의 신경반응도 다시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소뇌피질 단소엽이 정상적으로는 조건화에 관여하지만 단소엽을 포함하지 않는 회로에 의해서도 조건반응이 형성됨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effects of lesions of the cerebellar cortical lobule VI (HVI) on the rabbit's conditioned nictitating membrane responses and the neural activity of the cerebellar interpositus nucleus (INT). Rabbits implanted with a recording electrode in INT were trained with a tone conditioned stimulus(CS) and an air puff unconditioned stimulus(US) for 4 days. They showed robust behavioral conditioned responses(CR) and time-amplitude neural model of learned responses in INT. Unilateral electrolytic lesions of lobule HVI were then made through 4 electrodes implanted before the training. The complete lesions of lobule HVI abolished not only the behavoiral CR but also the conditioned increase in neural activity of INT in the CS period that is considered as an essential neuronal plasiticity for the CR. Unconditioned responses(UR) and neural activities in the US period were not affected by the les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input from HVI to INT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retention of the CR and the conditioned-related neural activity in INT. The INT thus seems not to be the only site that represents the learned response but to consist an element of the neural circuit that forms the memory trace for generating the CR. As the animals with lesions of HVI further retrained, they reacquisited the CR, though the CR amplitude and the learning rate were profoundly reduced. The neural modeling in INT was also slightly recovered. It indicates that HVI is ordinarily involved in the retention of the CR and the neural modeling in INT and that the classical conditioning is possible through the neural circuit even not including HVI.
날록손과 열자극을 배쌍지어 제시하면 통증에 대한 민감성이 감소한다. 날록손으로 유발된 통각감소는 날록손이 사전에 처치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발생되었다는 점에서 특성상 비아편계가 매개하는 통각감소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날록손과 열자극의 배쌍에 의해 유발된 비아편계 통각감소에 책임이 있는 뇌영역이 어디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장치로서는 열판 장치를 사용하였고 열자극은 53±0.5℃로 하였다. 통증에 대한 민감성 지표로서는 뒷발을 핥기까지의 잠재기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모의시술집단은 훈련시에 발생된 통각감소율이 검사시에도 계속 유지된 반면 중뇌수도 주변 회백질 배측부분이 손상된 실험집단은 훈련시 발생된 통각감소율이 훈련전의 기저선 수준으로 환원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중뇌수도 주변 회백질 배측부분이 날록손과 열자극의 배쌍으로 유발된 비아편계 통각감소에 책임이 있는 뇌 부위임을 시사해준다고 하겠다.
Animals exposed to the naloxone-heat pairings reduced their sensitivity to the pain. Naloxone-induced analgesia may be, in nature, non-opioid in that was found in the rat pretreated with naloxone.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area which is the responsible for the analesia induced by naloxone-heat pairings. Hot-plate apparatus which was thermoregulated automatically at 53±0.5℃ was used for heat stimulus. The latencies for hind-paw lick was recorded as an index of pain sensitivity. The result of present experiment was as follows. Sham operated rats were maintained analgesia which developed in the training phase but, analgesia developed in the rats which belongs to the experimental group in the training phase was reduced to the baseline level after dorsal periaqueductal lesion. This result suggest that dorsal-periaqueductal gray is responsible for the analgesia induced by naloxone.
기억검사에 주의를 집중하게 하거나 분할하게 함으로써 의식적인 통제처리와 자동처리가 파지에 미치는 효과를 재인과 단어완성검사상에서 검증하였다. 실험1에서는 선택적 주의절차를 이용하여 주의받지 않고 무시된 단어의 파지가능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재인과 단어완성 모두 집중주의인출조건에서와는 달리 분할주의인출조건에서는 파지증거가 관찰되었다. 실험2에서는 분할주의절차를 이용하여 단어학습에 배분된 처리용량의 크기가 파지량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재인판단은 인출시 주의의 분할여부에 관계없이 처리용량이 작을 때 파지량이 감소하였지만 단어완성은 처리용량의 영향을 별로 받지 않았다. 실험3에서는 인출시 주의의 분할이 처리수준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처리수준효과가 재인에서는 집중주의인출조건보다 분할주의인출조건에서 더 작았지만 단어완성에서는 두 인출조건 모두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재인에는 자료주도적 처리와 개념주도적 처리가 함께 기여하지만 단어완성에는 자료주도적 처리가 주로 기여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아울러 인출시 주의의 불할조작효과가 암묵/외현해리를 이해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By manipulating divided- and undivided-attention at retrieval stag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onscious controlled processing and automatic processing upon retention of recognition test and word fragment completion test. Experiment 1 examined the retention of unattended words by selective attention procedure. Evidence for retention of unattended words was found when attention was divided at retrieval but was not found when undivided on both test. Experiment 2 examined the effects of processing capacity allocated to word learning. At both retrieval conditions, recognition judgement was dependent on processing capacity but word fragment completion was not. Experiment 3 examined level of processing(LOP) effects when attention was divided or undivided at retrieval. On recognition test, LOP effects were found and the effects were smaller at divided than undivided attention. But on word fragment completion test, LOP effects were not found both at divided and undivided attention. These findings support the notion that recogniton relies an both data- and conceptually-driven processing and word fragment completion relies primarily on data-driven processing.
본 연구의 목적은 benzodiazepine 수용기에 대해 효능제로 작용하는 diazepam(DZP)과 역전 효능제로 작용하는 β-CCM의 장기투여가 조건 공포반응의 지표인 행동동결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하고자 하는 것이다. 실험 1에서 DZP의 훈련전 단기투여는 조건 행동동결을 감소시켰으나, 훈련전 장기투여는, 조건 행동동결을 감소시키지 못하였으므로, 내성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 2에서 β-CCM의 투여는 조건 행동동결을 증가시켰고, 단기투여와 장기투여의 효과차이는 없었다. 효능제와 역전 효능제의 효과가 반대라는 결과는 흰쥐의 종특유의 방어반응인 조건행동동결이 benzodiazepine 수용기를 중개로 하여 학습되는 반응임을 입증해 주는 것이다. 아울러 효능제의 경우에는 장기투여에 의해 내성효과를 일으킴을 시사해 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hronic injection of benzodiazepine agonist, diazepam(2mg/kg) and inverse agonist, β-CCM(1mg/kg) on the conditioned freezing in Sparague-Dawley male rats, using 2-trial conditioned fear test. Each animal in chronic treatment groups was injected twice a day for 5 days. Each animal in acute treatment groups was injected only once before training. On the first training day, each rat was placed in the observation chamber, and 3 min later it recieved three shock (0.75s, 1mA) at a 20-s intershock interval. During the second testing day, the animal's behavior was observed according to a time-sampling procedure in the same preshocked chamber. Results showed that the conditioned freezing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animals treated with single injection of diazepam, administered before the 1st training trial, but not in those treated with repeated injections of diazepam(exp 1). In constrast, both single and repeated injections of β-CCM caused an increasing in the conditioned freezing response(exp 2). The finding that the acute treatment of diazepam given before training attenuate the conditioned freezing was consistent with our previous study. It was also founded that the repeated administrations of diazepam induced tolerance effect and the effects of agonist and inverse agonist ligands of benzodiazepine receptor on conditioned freezing were contrary to each other. It is suggested that benzodiazepine receptors are involved in the control of the rat's species-specific defensive response.
행동 약물학(Behavioral Pharmachology)은 잘 통제된 동물 모델을 토대로 항정신성 약물(antipsychotic drug)과 관련된 신경마비제(neuroleptics)의 급작성 복용효과(subcataleptic dose effect) 연구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이 연구들은 주로 D<sub>1</sub>, D<sub>2</sub>, 또는 혼합된 D<sub>1</sub>/D<sub>2</sub>의 길항제 [Antagonists: SCH23390 (D<sub>1</sub>), Raclopride (D<sub>2</sub>), Pimozide (D<sub>2</sub>), Sulpiride (D<sub>2</sub>), Haloperidol (D<sub>1</sub>/D<sub>2</sub>), Thioridazine (D<sub>1</sub>/D<sub>2</sub>) etc.]들을 사용한 고전적 신경마비제(classical neuroleptics) 연구로부터 도출된 결과들을 토대로 하여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기된 신경마비제의 효과에 대한 세 가설을 설명하고자 한다. 첫째로 엔헤도니아 가설(anhedonia hypothesis)은 신경마비제가 유기체에게 유인가/동기적 가치(incentive/moti-vational value)를 지니게 됨으로써 이 헤도닉 강화물(hedonic reinforcement)은 신경전달 물질을 매개로 하여 중변연 도파민 기제(mesolimbic dopamine system)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둘째는 운동효과 가설(motor effect hypotheses)로, 신경마비제가 특정 운동기제(specific motor system)에 손상을 야기함으로써 생리적, 기능적으로 부작용(side effect)을 나타낸다는 것이며, 마지막 가설은 연합효과 가설(associative effect hypothesis)로서 항정신제가 기억과 학습에 중요한 중추기관으로 생각되는 중변연(mesolimbic)과 중피질(mesocortical)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이 세 가설을 종합해 볼 때, D<sub>1</sub>과 D<sub>2</sub> 길항제와 각 수용기의 기능적 역할들과 관련하여 제기된 문제들을 명확히 하는 데 일조할 것으로 사료된다.
Behavioral Pharmachology has provided more refined animal models for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subcataleptic doses of neuroleptics on operant behavior since the early day of behavioral pharmachology. Based mainly on findings obtained from classical neuroleptics that are either D<sub>1</sub>/D<sub>2</sub> mixed antagonists or D<sub>2</sub> antagonists, some theories connected this neuroleptic-induced phenomena to anhedonia (incentive/motivational) changes, whereas others used motor impairments, and associative deficits as explanatory concepts. First, the anhedonia hypothesis assumes that reinforcers have hedonic value for the organism, and this hedonic impact is mediated through dopaminergic neurotransmission as case that mesolimbic DA system is the neuronal circuitry involved in reward/motivational processes. Second, the motor effects hypotheses focused on identification of motor side effects of neuroleptics drugs, in addition to the findings of the behavioral studies, likehood of neuroleptic-induced motor impairment is also suggested by the fact that among the anatomical regions where DA antagonists bind is the striatum which is a part of the extrapyramidal motor system and claimed to be involved in control of motor activity. Third, possible effects of neuroleptics on processes other than motor activities were suggested by the fact that antipsychotics target the mesolimbic and mesocortical DA system, which are believed to be important in memory and learning process. Taken together, re-evaluation of three major hypotheses may helpful to clarity some of the issues related to D<sub>1</sub> and D<sub>2</sub> antagonists and functional roles of respective receptors.
단어의 외현/암묵기억이 그 단어에 대한 주의수준에 의존하는지를 밝히기 위해 일련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1의 학습국면에서는 단어쌍들을 하나씩 제시해 주고서 각 단어쌍내에서 위치단서가 표시된 한 단어(단서단어)는 읽고 표시 안된 다른단어(비단서단어)는 무시하도록 요구하였는데, 단어쌍의 노출기간을 250, 500, 또는 1000msec으로 하였다. 검사국면에서는 단서단어와 비단서단어에 대하여 재인, 지각대비, 또는 지각식별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단서단어의 경우 노출기간에 관계없이 모든 기억검사들에서 각각 일정한 크기만큼의 파지증거가 관찰되었지만, 비단서단어의 경우 기억검사에 따라 파지가능한 최소노출기간이 다음과 같이 상이하였다. 재인검사에서는 1000msec, 지각식별검사에서는 500msec이 파지가능한 최소노출기간이었으며, 지각대비검사에서는 250msec에서도 검사의 초기에는 파지증거가 관찰되었다. 실험2의 학습국면에서는 기억세트로서 한 개 또는 두 개 숫자를 먼저 제시한 뒤 한 단어를 네 개 숫자들과 함께 제시하였는데, 이때 숫자탐색만을 하도록 요구하되 기억세트의 크기가 한 개이거나(비주의조건), 숫자탐색과 동시에 단어를 기억하도록 요구하되 기억세트의 크기가 한 개(저난이도조건) 또는 두 개였다(고난이도조건). 학습국면 이전에 미리 기억세트의 크기에 따른 숫자탐색과제의 주의요구량을 측정한 결과, 기억세트의 크기가 한 개(비주의조건과 저난이도조건)인 경우보다 두 개(고난이도조건)인 경우 숫자탐색에 더 많은 주의용량이 요구되었다. 검사국면에서는 학습국면에서 제시된 단어와 제시되지 않은 단어에 대해 실험2에서와 동일한 기억검사들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기억검사에 따라 파지가능한 조건이 상이하였다. 재인검사의 경우 저난이도 조건에서만, 지각식별검사의 경우 저난이도와 고난이도조건에서만 파지증거가 관찰되었지만, 지각대비검사의 경우 비주의조건을 포함한 모든 조건에서 파지증거가 관찰되었으며 파지량 또한 일정하였다. 실험1와 2의 결과 특히 지각대비검사상의 결과는, 암묵기억이 주의수준에 의존하지 않으며 낮은 주의수준하에서도 자극의 파지가 가능함을 시사해준다.
Two experiments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that memory for words is dependent on levels of attention of those words, In a study phase of Experiment 1, subjects first viewed pairs of words and were required to name one cued word and ignore other uncued word in each pair. The exposure duration of each pair was 250, 500, or I000msec. Recognition, perceptual contrast, or perceptual identification test was administered in a test phase, For cued words, irrespective of exposure duration, same amount of retention was observed in each of the memory tests. But for uncued words, the results were different among memory tests, Memory on recognition and perceptual identification was observed only at longer exposure duration, but memory on perceptual contrast was observed even at shorter exposure duration. In a study phase of Experiment 2, subjects first viewed one or two digits as a memory set and then four digits with a word. Subjecas were required to do digit-search only(non-attention condition) or see a word concurrently. More processing capacity was required when memory set size was two (high-difficulty condition) than one(tow-difficulty condition). Memory on recognition was observed only at low-difficulty condition and memory on perceptual identification was observed at low- and high-difficulty condition but not observed at non-attention condition. But Memory on perceptual contrast was observed even at non-attention condition, These findings, especially at perceptual contrast test, suggest that implicit memory is not dependent on levels of attention of words in the study phase.
단단위 활동(single unit activity: SUA) 및 다단위 활동(multiple unit activity: MUA)을 기록할 수 있는 증폭기를 소개한다. 증폭기는 최첨단 증폭기와 후단 증폭기로 분리되어 있으며 두 부분 모두에서 높은 동상신호 제거비를 얻기 위해 차동증폭회로가 사용되었다. 높은 입력임피던스를 얻기 위해 접합형 전계효과 트랜지스터가 사용되었다. 후단 증폭기에는 또한 여파기와 완충증폭기를 삽입하여 원하는 주파수대의 뉴런활동을 선별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증폭기는 고입력 임피던스, 저잡음, 광대역 증폭 특성을 지닌 기기로서, 금속 전극을 사용한 다단위 기록과 미세유리관 전극을 사용한 단단위 기록에서 만족한 성능을 보였다.
An amplifier was designed for extracellular recording of unit activity. It consists of a head stage amplifier and a postamplifier. The head stage amplifier and the postamplifier have differential input circuits. The amplifier had a high common mode rejection ratio(CMRR), well-defined gains, a low noise character, and a wide dynamic range. Multiple unit activity(MUA) and single unit activity(SUA) could be recorded satisfactorily in animals with the chronically implanted metal electrode and with the acute micropipette electrode in the brain.
본 연구에서는 속성판단과제를 사용하여 그림과 단어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실험1과 2에서는 그림과 단어간에 고빈도 속성과 저빈도 속성의 활성화 차이를 검사하였으며 그 결과 저빈도 속성을 판단하는 데 결리는 시간은 그림이 단어보다 빨랐으나 고빈도 속성을 판단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그림과 단어간에 차이가 없었다. 실험2에서는 정교화 효과를 검사한 결과, 단어에 속성들을 추가해준 조건이 단순히 단어만 제시해준 조건보다 속성판단시간이 빨랐다. 실험3에서는 그림과 단어에 고빈도 속성과 저빈도 속성을 추가해서 정교화 효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단어의 경우 저빈도 속성을 추가해준 조건이 단순히 단어만을 제시해 준 조건에 비해 속성판단시간이 빨랐다. 그림의 경우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고빈도속성들은 그림과 단어 모두에서 활성화되나 저빈도 속성들은 그림에서는 활성화되지만 단어에서는 활성화되지 못하기 때문에 이러한 활성화차이가 그림과 단어간에 차이를 일으킨다고 하겠다.
The present research examined picture-word differences in attribute decision task. Experiment 1 and 2 tested the difference of activation between the attributes of high-frequency and low-frequency in pictures and words. It was found that the pictures were decided significantly faster than words on the low-frequency attributes. Experiment 2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laboration effect, It was found that the condition of word-plus-attributes was decideded significantly faster than that of words. Experiment 3 compared decision times among the conditions of ward, word-plus-low frequency attributes, word-plus-high frequency attributes, picture, picture-plus-low frequency attributes and picture-plus-high frequency attribute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ndition of word-plus-high frequency attributes and word-plus-how frequency attributes, but not in others, In conclusion, the high-frequency attributes were activated both in pictures and words, but low-frequency attributes were activated in pictures, not in words, The picture-word differences were due to the difference of activation between pictures and words.
본 연구는 도식이론(schema theory)이 복잡한 장면의 이해와 기억표상을 설명하는데 적용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도식이론은 세상 정보의 표상과 정보초리시 표상된 지식의 사용에 관한 이론이다. 장면 도식의 표상은 항목정보의 전형성과 그들 간의 공간적 조직성이 중요한 변인으로 볼 수 있었다. 이해자가 장면을 이해하는 동안에 이러한 변인들이 항목 정보의 활성화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서 네개의 실험이 수행되었다. 실험 1에서는 장면의 항목전형성과 조직성이 항목확인과제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장면점화를 통해서 살펴보았다. 전형 항목이 비전형 항목에 비해서 반응시간이 빠름을 보였다. 그러나 공간적 조직성은 반응시간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실험 2에서는 장면점화시간을 달리하여(1000msec) 항목확인과제를 실시하였다. 전형성과 조직성의 주효과는 실험 1과 동일하였다. 그러나 여기서 전형성과 조직성의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조직조건의 비전형 항목이 상호작용을 초래하게 하였다. 실험 3에서는 장면을 점화 자극으로 사용하여 항목명명과제를 실시하였다. 결과는 실험 1과 동일하였다. 실험 4에서는 항목 그림을 점화로 사용하여 장면명명과제가 수행되었다. 결과는 전형성과 조직성의 효과가 나타났다. 네개의 실험을 통해서 얻어진 결과는 장면의 이해과정에 장면의 도식이 강력하게 작용한다는 사실을 보인 것이다. 특히 장면의 항목 전형성은 과제의 유형에 관계없이 일관적으로 항목의 활성화 수준에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장면의 공간적 조직성은 개별 항목의 활성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지만, 전체장면을 활성화하는데는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Schema theories are theories about the representation and use of knowledge for given information,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scene comprehension and memory representation, and implication of schema theory to complex scene information, Therefore, Four experiments are conducted, In experiment 1, picture verification task was conducted by scene material, The result have shown that typical inventory was faster than atypical one, But there are no effects of organization and presence. In experiment 2, scene priming time was controlled and picture verification task was conducted by scene material. The result have shown that typical inventory was faster than atypical one, And there are no effects of organization and presence, But we gained interaction by typicality and organization, the source of interaction was atypical inventory in organization condition, In experiment 3, scene theme priming and picture naming task was conducted. The result was same as experiment 1, In experiment 4, scene naming was conducted. The result have shown that the effects of typicality and organization were significant, All these resluts support scene schema theory But spatial organization was complex and indirect effects on scene comprehension rather than typicality of inventory.
작업기억과 통사처리과정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우선 문장이해과정에 관한 여러 접근방식과 한국어 통사처리에 관한 연구들을 개관하였다. 그리고 작업기억내에서의 생략어 포함 대등절 문장의 처리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 I에서는 네가지 유형의 대등 연결문을 마지막 단어 읽기과제를 통해 비교하였다. 특히 해독과정에 관한 설명으로 제시되는 근접성 가설, 작업 기억 가설, 최근필러이용 가설의 상대적 설명의 효율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는, 주어가 공통논항인, 표준어순의 연결문이 다른 세 유형의 연결문보다 이해 시간이 빨랐다. 실험 II에서는 작업기억 가설의 예측을 반복 검증하기 위해 중의적인 연결문을 사용하고 이에 대한 질문의 정확반응을 알아보았다. 실험 결과는 작업기억 가설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왔다. 그러나 두 실험의 결과는 어느 한 가설만으로는 설명될 수 없으며, 대안적인 설명으로, 작업기억내에서 이용 가능한 여러 정보와 작업기억의 기본 처리기제가 서로 상호작용하여 이루어짐을 논의했다. 아울러, 한국어와 영어의 구조적 차이에 따른 실험 결과와 이론적 설명의 차이도 논의했다.
To investigate relationship between syntactic parsing processes and working memory processes, first, we reviewed various approaches on sentence processing and basic experimental results about Korean syntactic processing. Then, two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examine processing characteristics of conjoined coordinative sentence parsing in working memory. In Experiment I, four different types of the conjoined sentence were compared by using the speeded comprehension task. Especially, we tried to decide relative explanatory power of three hypotheses such as the accessibility hypothesis, the working memory hypothesis, and the recent filler strategy. The standard type of conjoined sentence that has a subject as a coreferent showed the fastest comprehension time, In Experiment II,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working memory hypothesis, two kinds of ambiguous conjoined sentence were compared by asking an ambiguous coreferent word. It was found that the results of the two experiment could not be handled by any one hypothesis. They should be explained by considering all syntactic cues of the sentence and the processing characteristic of working memory, Different parsing processes between Korean arid English were also discussed.
선행 글의 맥락과 대명사의 통사적 단서가 즉각적인 대명사 참조해결과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서 세 개의 실험이 실시되었다. 실험 1에서는 문장읽기과제를 사용하였는데 성변단서가 명료한 조건에 비해서 애매한 조건의 읽기 시간이 빨랐다. 그리고 대명사와 선행어 간의 격이 일치하는 조건이 불일치하는 조건에 비해서 읽기시간이 빨랐다. 실험 2는 실험설계만 변경하여 실험 1의 결과를 반복하고자 하였다. 역시 성별단서가 명료한 조건이 애매한 조건에 비해서 읽기시간이 빨랐고, 대명사와 선행어 간의 격이 일치하는 조건이 불일치하는 조건에 비해서 읽기시간이 빨랐다. 실험 3은 그것의 효과가 대명사를 읽는 시점에서 즉각적으로 작용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서 마디읽기과제를 실시하였다. 대명사를 읽는 시점에서는 두 변인이 읽기시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지만 대명사의 성별단서와 대명사 격의 이월효과가 관찰되었다. 모든 실험에서 나타난 결과를 종합하면 대명사의 통사적 단서가 우선적으로 참조해결에 작용할 가능성과 글의 맥락적 제약은 통사적 단서에 비해서는 비교적 후발적으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대명사의 참조해결은 문장을 이해하면서 점진적인 방식으로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on-line comprehension processsing in terms of the referential resolution of pronoun. The important question of on-line processing is the immediacy of processing. The immediacy of processing is conceptualized not funtion of time course, but the satisfaction of multiple constraints. These constraints include gender cue of pronoun, antecedent case and pronoun case, In experiment 1, using sentence reading task, The main effect of gender cue and case constancy, the interaction of pronoun case and case constancy were obtained, In experiment 2, The replication of Experiment 1 was conducted and the same results was obtained, In experiment 3, using phrase reading task, There are no readig time differences when the phrase of pronoun was reading. But the spill-over effect of pronoun reading time to gender cue and pronoun case was significant. All experimental results ware suggested gender cue was powerful constraints to resolution, but always sentence topic and case constancy were satisfied. The immediacy of referencial resolution processing is not all-or-none, but incremental characteristic.
Sanford 등(1979)은 대용어 이전의 맥락을 조작하고 범주단어와 실례단어를 대용어로 하는 문장의 읽기시간을 비교함으로서 대용어 이전 맥락에 의해 예화과정이 유도될수 있음을 보이고자 하였으나 실패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의 실패가 맥락조작 상의 오루때문임을 밝히고 맥락에 의해 촉진되는 범주어의 예화표상이 일어날 수 있음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어휘판단 과제를 사용한 실험 1, 2를 통하여 Sanford 등의 실험에서 맥락조작이 서로 다른 상황모형을 형성하게한 맥락조작의 부적절성에 기인했었음을 입증하였다. 실험3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상황모형의 차이효과를 배제하여 맥락효과에 의한 예화과정을 보였으며, 실험4에서는 맥락일치성이 예화과정에 미치는 촉진효과를 검증하였다.
Sanford, Garrod & Bell(1979) varied the context biases prior to the anaphora sentences and compared the reading time for the general-term anaphora sentences with that for the instance-anaphora sentences. The hypothesis predicts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context biases and the types of anaphoras, but the results failed to confirm this prediction.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test whether their results had been due to some insufficiences in producing relevant context biases. In this study it was predicted that with relevant and sufficient context biasing instantiation of general-term can be obtained. In experiment 1 and 2, using Lexical Decision Task, an interaction between context biases and types of anaphoras was obtained. This result suggests that Sanford et al's results were due to the difference in situation models generated by the context in the sentences prior to the target sentences with anaphoric subjects. In experiment 3, when the difference due to these situational models was controlled out,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contexts and the types of anaphora was obtained, which supports the instantiation hypotheses, In experiment 4, it was found that the consistency between the context bias prior to the anaphora sentences and in the anaphora sentences facilitates the processing of instantiation.
본 연구은 사전문장과 문단나누기가 설명글의 기억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 보았다. 본 실험에는 대학생들이 참여하였으며 그들은 다음과 같은 4개의 집단에 무선적으로 배정되었다; 사전문장과 문단나누기 모두 있는 집단; 사전문장만 있고 문단나누기는 없는 집단; 사전문장은 있고 문단나누기는 없는 집단; 사전문장과 문단나누기 모두 없는 집단. 실험을 실시한 결과, 설명글의 기억에 사전문장과 문단나누기가 미치는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피험자들의 학습능력을 고려했을 때, 유의한 상호작용효과가 관찰되었다. 학습능력이 높은 피험자들은 글의 문단나누기 여부에 관계없이 기억이 좋았으며, 학습능력이 낮은 피험자들은 문단나누기가 없는 조건에서 보다 문단나누기가 있는 조건에서 더 기억이 좋았다. 본 연구에서는 또한 이러한 결과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 졌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review sentences and paragraphing in expository text on subjects' recall of the text.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four text version groups : the no preview sentences and no paragraphing group, the no preview sentences and paragraphing group, the preview sentences and no paragraphing group, and the preview sentences and paragraphing group. The result showed no significant effects of preview sentences and paragraphing. However, students' learning ability being considered,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were found. Although subjects with high teaming ability recalled well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passage was paragraphed, subjects with low teaming ability recalled mare in paragraphing condition than no paragraphing condition. The implication of these results is discussed.
이 연구는 기존의 범주화 모형들이 제안한 가정들과 그 문제점들을 개관하고, 그에 대한 대안으로서 절충적 범주화 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계획되었다. 특히 범주학습에 미치는 자극왜곡의 효과를 중심으로 요약정보를 정의하는 기존의 방식이 적절한지 그리고 사례빈도와 범주크기간의 상호작용이 절충적 범주화 모형을 지지하는 증거로 볼 수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실험 1과 실험 2에서는 범주사례들이 원형으로부터 왜곡된 정도에 의해 범주를 고왜곡 범주와 저왜곡 범주로 구분한 후 두 범주에서 경험적 원형과 객관적 원형에 대한 범주판단의 정확성이 범주크기가 증가함에 따라서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에 따르면 고왜곡 범주에서는 범주의 크기가 커질수록 요약정보에 의존하여 범주화하려는 경향이 증가하였으나 저왜곡 범주에서는 범주의 크기가 적더라도 범주원형과 유사한 사례들이 더 정확하게 범주화되었다. 실험 3에서는 범주에 대한 경험이 적을 경우에는 사례정보가 범주화를 결정하는데 비해 범주에 대한 경험이 증가하면 요약정보가 범주화를 결정한다는 절충적 범주화 모형의 가정을 범주사례들이 원형으로부터 왜곡된 정도를 조작하여 다시 검토하였다. 그 결과 고왜곡 범주에서 사례빈도의 효과는 학습시행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점차 감소하여 기존 절충적 모형의 가정을 지지하는 결과를 얻었으나 저왜곡 범주에서는 학습시행수가 작을 경우에도 사례빈도의 효과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범주화 과정이 원형추출과정이나 사례인출과정만으로는 설명되기 어려우며 학습조건에 따라 수행을 최적화시키는 역동적인 과정으로 보는 것이 더 적절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planned to survey assumptions and problems of existing categorization models and to test the relative plausibility of an hybrid categorization approach based on mixed representation. Specially, we explored whether we could regard empirically defined prototypes as proper summary representations of a category and two-way interaction between exemplar frequencies and learning trials as a reasonable evidence for an hybrid categorization model. In experiment 1 and experiment 2, we distorted exemplars from category protptype and investigated change patterns of category judgment, accuracy with category size. Results showed that category learning strategies weren't fixed but adjusted by learning conditions ceaselessly, In experiment 3, we distorted exemplars from category prototypes and examined an existing hybrid model's assumption that, categorization depends on exemplar information primarily and summary information later, In consequence, we found same results as Homa, Dunbar, & Nohre (1991)'s study in the highly distorted category but couldn't find out two-way interaction between exemplar frequencies and leaning trials in low distorted category In conclusion, these result implicated that categorization processes are not prototype abstraction processes nor exemplar retrieval processes but dynamic learning processes optimizing performance according to learning conditions.
정의곤란범주 사례의 유목화와 재인성과를 예언하는데 있어서 다차원척도기법에 근거한 일반화본보기모형(GCM)과 원형추상화모형을 정량적으로 대비시키기 위해 두개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1과 2 모두 전형적인 학습 전이단계 패러다임에서 사례들의 유목화와 재인데이타를 수집하였다. 실험 1에서는 Posner와 Keele(1968, 1970)의 기념비적 연구 이후 정의곤란범주 연구에서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무선점패턴을 범주사례로 사용하고 범주 크기를 18개까지 늘려 원형추상화의 가능성을 확장시켰다. 원형모형과 본보기모형의 예언력을 대비시킨 결과 범주사례의 유목화와 재인에 원형정보가 사용된다는 증거를 찾을 수가 없었다. 이것은 무선점패턴 범주의 경우에 범주크기가 원형추상화에 별 공헌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실험 2에서는 의미성이 비교적 크다고 할 수 있는 Reed(1972)의 도식적 얼굴을 범주사례로 사용하였다. 그 결과 의미성있는 사례들을 범주학습하는 경우에는 추상화된 원형정보가 사례들의 유목화와 재인에 상당한 공헌을 한다는 증거를 찾을 수 있었다. 범주의 표상, 사례간의 유사성 측정의 문제, 그리고 유목화/범주화과정에 대한 대안적 모형들이 논의되었다.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contrast quantitatively the MDS-based exemplar model (GCM) and the prototype abstraction model in predicting classification and old-new recognition performance of ill-defined category instances. Both models employed the typical learning-transfer phase paradigm to collect classification and recognition data. Experiment 1 used random dot patterns as instances and increased the category size. (up to 18 instances/ category) to extend the possibility of prototype abstraction. The MDS-based GCM and Prototype model were fitted to the data. The overall results of model-based theoretical analyses showed no indication of prototype abstraction. The results were interpreted that category size makes no contribution to prototype abstaction in the case of random dot patterns. Experiment 2 used Reed's(1972) schematic faces as category instances that are more meaningful compared to the random dot patterns. The results of theoretical analyses showed that abstracted prototype can contribute to the classification of schematic faces into categories. Category representation, the problem of similarity measurement, and alternative models for classification process were discussed.
김수연과 이영애 (1991)는 선교사-야만인 문제를 해결할 때 구조적 하위목표를 제시한 경우와 무선적 하위목표를 제시한 경우 전자에서만 이와 구조적으로 비슷한 질투심 많은 남편 문제로 해결 상 전이가 있음을 밝혔다. 이러한 전이효과가 하위 목표들 간의 사영 때문인지, 방략변경에 기인하는지, 또는 문제를 해결할 때 필요한 제약학습 때문인지를 두 실험을 통해 검토한 결과, 구조가 같거나 유사한 문제들의 해결 간의 전이는 두 문제 표상들 간의 사영에 바탕을 두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S. Kim and Y. Lee (1991) demonstrated a significant transfer effect in solutions from a missionary-cannibal to a jealous husband-wife problem by presenting structurally mapped subgoals. Two experiments of the present study further examined which hypothesis is correct in explaining such a symmetric transfer effect, subgoal mapping, changes in processing strategies, or degree of constraints learning. The pattern of results supports the subgoal mapping hypothesis.
본 연구에서는 구체적 대상인 40개의 그림과 그 그림의 명칭인 40개의 단어에 대한 항목내 속성의 빈도를 조사하였다. 항목내 속성의 빈도를 분석한 결과 그림과 단어간에 차이가 나는 속성은 제시된 그림의 구체성에 기인한 것들이 많았다. 이 연구는 그림이나 단어를 사용하여 인간의 기억을 연구하는 사람들이나 속성들의 집합으로 지식의 표상체계를 설명하는 연구자에게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requency of within-item attributes on forty pictures and words. The differences of within-item attributes between pictures and words were due to the concreteness of pictures. The present paper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studying representation of concept and memory with pictures and 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