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류재희(고려대학교) ; 남기춘(고려대학교) ; 김다희(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백연지(고려대학교) pp.1-24 https://doi.org/10.22172/cogbio.2016.28.1.0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이 영어 모국어화자와 유사한 방식으로 철자와 소리 간 규칙성 정보를 사용하여 영어단어를 재인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두 가지 읽기과제(단어 명명과제, 어휘판단과제)를 실시하였다. 영어단어 재인 시, 단어의 빈도와 규칙성 여부가 읽기의 속도와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이 과정에서 철자-소리 대응관계 규칙(grapheme-to-phoneme correspondence rule)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영어 모국어화자의 경우, 철자-소리 대응관계 규칙에 따라 규칙적인 단어(예: save)가 불규칙적인 단어(예: have)에 비해 더 빠르게 재인되고 오류율도 낮다. 이러한 현상을 단어 규칙성 효과(regularity effect)라고 하는데 이는 시각적 단어재인에서 이중경로모형(dual-route model)을 지지하는 근거로 사용된다. 따라서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도 영어단어의 철자-소리 대응규칙에 따른 규칙성 효과가 발생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험 1에서는 음독과정을 거치는 단어 명명과제(word naming task)를 사용하였고, 실험 2에서는 묵독과정을 거치는 어휘판단과제(lexical decision task)를 사용하였다. 실험 1의 결과, 단어 빈도와 규칙성 조건 간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으며, 단어 빈도 효과는 모든 조건에서 유의미했으나, 규칙성 효과는 저빈도 단어 조건에서만 유의미한 수준의 경향성을 보였다. 실험 2의 결과, 단어의 소리정보를 생성하지 않아도 되는 어휘판단과제에서는 단어 빈도 효과만 유의미하였고 규칙성 효과는 발생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 미루어 볼 때,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은 영어단어 재인 시, 철자-소리 대응규칙 정보를 사용할 수는 있으나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음운경로(간접경로)를 이용하기보다는 철자 유사성에 기초한 어휘경로(직접경로)를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examined whether Korean learners of English use grapheme-to-phoneme correspondence rule as in native English speakers during English word recognition. In visual word recognition, both word frequency and regularity play a major role in reading speed and reading accuracy. H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spelling-to-sound regularity and word frequency influence performance on explicit reading and silent reading tasks among English second language learners. Previous word recognition studies with English monolinguals have reported word regularity effect, in which regular words(e.g., save) are recognized faster with lower error rates compared to irregular words(e.g., have). Word regularity effect has been widely used as the supporting evidence for dual route model in visual word recognition. In Experiment 1, an explicit reading task(English word naming task) was used to examine the presence of word regularity effect during read-aloud process. In Experiment 2, a silent reading task(lexical decision task) was administer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irregularities in spelling and sound when participants were not required to generate sound information from spellings during English word recognition. Results from Experiment 1 demonstrated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word frequency and regularity, where word frequency effect was significant in all experimental conditions. On the other hand, word regularity effect showed marginal significance in low frequency word condition only. Results from Experiment 2 only revealed a significant word frequency main effect. Overal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Korean English L2 learners also seem to be able to use spelling-to-sound information during English word recognition similar to those of English monolinguals. However, rather than actively making use of this information via phonological(indirect) route, they have the tendency to use lexical(direct) route which is more sensitive to spelling information. The current study re-evaluated the English word regularity effect among Korean learners of English in terms of their use of spelling-to-sound information during English word recognition.

조영철(경북대학교) ; 박형규(경북대학교) ; 장문선(경북대학교) ; 곽호완(경북대학교) pp.25-43 https://doi.org/10.22172/cogbio.2016.28.1.00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 경향집단이 스마트폰 관련 자극에 주의 편향을 보이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참가자에게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 척도(Smartphone Addiction Scale)를 실시하였고, 총 42명의 참가자를 통제집단과 중독 경향집단으로 분류하였다. 참가자들은 세 가지 그림자극 유형으로 구성된 비교맹시 과제를 실시하였다. 그림자극 유형은 ‘스마트폰 포함+스마트폰 변화’ 유형, ‘스마트폰 포함+중립 자극 변화’ 유형과 ‘스마트폰 미포함+중립 자극 변화’ 유형으로 구성했다. 스마트폰 관련 자극과 중립 자극의 변화 탐지에 대한 반응시간과 정반응률을 측정하고, 통제집단과 스마트폰 중독 경향집단 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독 경향집단은 세 가지 그림자극 유형 중 스마트폰의 변화에 반응시간이 가장 짧았다. 둘째, 중독 경향집단은 스마트폰이 변하는 그림자극 유형에서 통제집단보다 반응시간이 짧았으나 중립자극이 변하는 그림자극 유형(스마트폰 포함)에서 통제집단보다 반응시간이 길어졌다. 이 연구결과는 스마트폰 중독 경향집단이 스마트폰 관련 자극에 대한 주의 편향을 보이며, 통제집단과 구분되는 주의 특성을 가짐을 나타낸다.

Abstract

We examined whether attention is biased toward smartphone-relevant visual cues in smartphone addictive tendencies. Based on a survey of Smartphone Addiction Scale(NIA, 2011), participants (n=42) were categorized into either normal control or addiction tendency group. Participants of each group carried out comparison blindness task which consisted of three classes of different stimulus combinations(smartphone changed(SC), neutral changed(NC), & smartphone absent(SA) visual stimuli). Then, we measured response time and accuracy while accomplishing a comparison blindness task, and we compared performance (change detection) of participants between SC and NC condition. As results, the tendency-group showed significantly faster response time under SC condition than NC condition. Next, the tendency-group showed significantly faster response time than control-group under SC condition, and the tendency-group showed significantly slower response time than control-group under NC condition. Consistent with (Similar to) previous studies, relevant-stimuli give rise to attentional bias in smartphone addictive tendencies. Consequently, the results suggest that addiction characteristics are manifested in smartphone addictive tendencies.

이윤지(경북대학교) ; 김초복(경북대학교) pp.45-66 https://doi.org/10.22172/cogbio.2016.28.1.003
초록보기
초록

갈등적응효과는 스트룹 과제나 수반자극 과제 등에서 이전 시행 조건에 따라 현재 시행의 간섭의 크기가 달라지는 현상을 일컫는데, 인지적 통제 능력의 측정치로 사용되고 있다. 갈등적응효과의 발생 기제에 대한 설명은 매우 다양한데, 하향처리적 통제의 관점을 지닌 갈등 감시 이론과 기대에 기반한 설명이 있다. 두 이론은 각각 반응적 통제와 능동적 통제에 관련되어 있으며 갈등적응효과의 시간적 특성에 대해 다른 설명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능동적 통제의 관점에서 갈등적응효과에 시간적 조작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상대적으로 높은 난이도의 스트룹 과제를 사용하였다. 실험 1과 2는 다양한 길이의 자극 간 시간 간격을 무선적으로 제시하여 과제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처리 시간이 충분할 때 능동적 통제로 인한 갈등적응효과가 발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 3에서는 자극 출현에 대한 예측이 용이하도록 자극 간 시간 간격을 고정시켜 제시하였으며 기대효과로 인해 더 강화된 능동적 통제가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과제의 특성에 따라 능동적 통제로 인해 갈등적응효과가 발생할 수 있으며 능동적 통제는 처리시간이 충분하고 자극 출현에 대한 예측이 쉬운 상황에서 더 효율적으로 작동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In selective attention tasks such as the Stroop or flanker tasks, performance on the current trial is modulated by trial sequence. This is referred to as the conflict adaptation (CA) effect, which is used for a measurement of cognitive control. Various theoretical accounts have been proposed to explain the CA effect in a top-down or bottom-up manner. In a top-down attentional modulation view, the conflict monitoring theory suggests reactive control whereas a expectation-based account proposes proactive control. These have different assumption in the time-course of the CA effect. In the present study, we used a relatively difficult version of the Stroop task to investigate whether the CA effect is influenced by temporal operation in the light of proactive control. In the Experiment 1 and 2, diverse inter-stimulus intervals were randomly presented in the tasks. The result showed that the CA effect could occur proactively when the processing time was sufficient. In the Experiment 3, we manipulated the inter-stimulus intervals in the block design to facilitate participants' anticipation of the stimulus presentation time.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proactive control could be enhanced due to the expectation effect.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CA effect could occur through proactive control according to the nature of tasks. In addition, proactive control appears to operate more efficiently when processing time is enough and prediction of the stimulus onset is easy.

김상희(성신여자대학교) ; 김명선(성신여자대학교) pp.67-97 https://doi.org/10.22172/cogbio.2016.28.1.00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조현병 환자에서 관찰되는 정서인식의 장애가 조현형 성격 성향을 가진 대학생들에서도 관찰되는지를 사건관련전위를 사용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정서인식 과정이 얼굴의 구조적 부호화에 뒤이어 이루어진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얼굴 인식과 얼굴 정서인식을 각각 얼굴-건물 판별과제와 얼굴정서 인식과제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조현형 성격질문지에 근거하여 조현형 성격 성향군(n = 20)과 통제군(n = 20)을 선정하였다. 그 결과, 얼굴-건물 판별과제에서는 두 집단이 반응 시간과 반응 정확률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얼굴의 구조적 부호화를 반영하는 N170 진폭에서도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반면 얼굴정서 인식과제에서는 조현형 성격 성향군이 통제군에 비해 부정적 정서자극에서 더 낮은 정확률을 보였고, 통제군은 중립적 자극에 비해 정서 자극에서 더 큰 N250 진폭을 보인 반면, 조현형 성격 성향군에서는 중립적 자극과 정서 자극 간 N250 진폭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정서인식의 결함이 조현병을 포함하는 조현병 스펙트럼 장애의 특성 지표일 가능성과 얼굴 정서인식 과정과 얼굴의 구조적 부호화 과정이 서로 독립적으로 존재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deficits of facial affect recognition in college students with schizotypal traits using event-related potentials (ERPs). Based on the scores of Schizotypal Personality Questionnaire (SPQ), control (n=20) and schizotypal-trait groups (n=20) were selected. The ability of face identification was evaluated with a face-building discrimination test, in which participants were required to distinguish the pictures of human face and building. A facial affect recognition task, in which participants were required to distinguish faces exhibiting positive, negative or neutral emotion, was used for the measurement emotional recognition ability. The results of face-building discrimination task showed that the control and schizotypal-trait group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in terms of response time and accuracy rate. In addition, the two groups did not differ in N170 amplitude that reflects the structural encoding of face. However, schizotypal-trait group exhibited more errors for negative valence than did the control group, and the two groups showed different ERP patterns in the facial affect recognition task. The control group showed significantly larger N250 amplitudes in response to emotional stimuli than to the neutral ones, whereas schizotypal-trait group exhibit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N250 amplitudes between emotional and neutral fac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dividuals with schizotypal traits have difficulties in facial affect recognition, which could be served as a trait marker for schizospectrum disorders.

김소연(덕성여자대학교) pp.99-122 https://doi.org/10.22172/cogbio.2016.28.1.005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Attentional functions are revealed to be impaired in individuals with schizophrenia. However, as attention is a multi-dimensional function, various studies have investigated different types of attentional deficits among patients with schizophrenia. The purpose of this review is to take a comprehensive look at evidence on distinctive aspects of attentional impairments in schizophrenia. Three different domains of attention are of interest in this review: Response inhibition, Selective attention and Conflict resolution, and Attentional shifts and Alerting networks. A number of studies with schizophrenia suggest that the selective attention and conflict resolution are most affected in those patients. The disengagement and attentional reorienting system also seems to be impaired in the patients. In this review, findings from behavior, neuroimaging, and electrophysiological studies are discussed to understand fundamental attentional deficits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The future direction of studies aiming to elucidate and treat those patients’ attentional mechanism is also discussed.

김남균(계명대학교) ; 이호원(경북대학교) ; 박상범(계명대학교) pp.123-142 https://doi.org/10.22172/cogbio.2016.28.1.00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움직이는 물체를 추적하기 위해서 실시하는 수평안구운동이 파킨슨병환자들의 자세 유지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시도하였다. 물체는 좌우 6°의 범위 내에서 교대로 1분간 움직였으며, 움직이는 동안 형태가 주기적으로 변화하였다. 참가자들은 화면에서 1m 떨어진 위치에서 편안히 선 자세로 움직이는 물체를 추적하면서 변화하는 형태의 수를 센 뒤 시행이 종료되었을 때 그 시행에서 나타난 물체의 수를 보고하는 과제를 수행하였다. 참가자들이 이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참가자들의 머리, 몸통 및 허리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기록하였으며, 이 기록을 이용하여 각 부위의 전후 및 좌우 움직임의 평균값, 표준편차, 및 범위를 추출하였으며, 그 결과를 정상노인집단의 수치와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상대조군들은 주파수로 조절한 과제의 난이도에 전혀 영향을 받지 않은 반면, 파킨슨병환자들은 주파수의 영향을 받아 신체가 정상노인집단에 비해 큰 폭으로 불규칙하게 움직였을 뿐 아니라, 신체 부위들 또한 비동기화되어 불안정한 자세가 유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자세 유지 기능의 점진적 손상이 지각과 운동의 기능적 결합을 단절시킴으로서 자세 유지 기능이 지각과제의 부하를 더 이상 적응적으로 대처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불안정한 자세로 인해 낙상의 위험에 취약한 파킨슨병환자들이 고려해야할 또 다른 요소가 된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compared the effect of eye movements on postural control in 13 Parkinson’s disease (PD) patients (Hoehn-Yahr stage 2-3) and 13 age-matched healthy adults. Participants viewed, from a distance of 1 m, a computer display of an oscillating object that continuously changed shape and reported the number of times the shape changed over each 60 s trial. Four oscillation rates (0, 0.5, 0.8, and 1.2Hz) were presented. Postural sway data (mean position, standard deviation, and range of the excursions in the anterior-posterior and medio-lateral directions) were obtained using a wireless motion tracking system via sensors attached to each participant’s head, neck, and cervical spine. The effect of eye movement frequency on postural sway was minimal in the healthy adults, consistent with the view that postural control and suprapostural task (eye movement control) are functionally integrated to facilitate the performance of suprapostural control tasks. By contrast, PD patients’ showed greater and more variable postural sway, particularly in the anterior-posterior direction. It appears that PD patients’ impaired postural control systems are no longer integrated functionally with their eye movement control. This result suggests an additional factor to consider in PD patients who are susceptible to falls due to postural instability.

조용상(고려대학교) ; 최준식(고려대학교) pp.143-155 https://doi.org/10.22172/cogbio.2016.28.1.007
초록보기
초록

강화학습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진 중뇌의 도파민 뉴런들이 전기충격과 같은 혐오자극을 이용한 학습에도 기여한다고 보고되었다. 특히 도파민 뉴런들은 혐오자극과 연합된 자극이 제시되었을 때 억제되거나 활성화되는 상이한 반응을 보인다고 알려졌다. 유전자 조작을 통해 이 두 가지 도파민 반응 중에서 혐오연합자극에 대한 활성화 반응만 선택적으로 저하시킨 동물들을 공포스러운 경험에 노출시키면, 이후 일반화된 불안행동이 유발된다고 보고되었다. 따라서 역으로 혐오연합자극을 제시하는 동안 다수의 도파민 뉴런들을 인위적으로 활성화시켜 현저성 표상을 높이면 변별 공포조건화의 학습을 향상시킬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가설을 검증해 보기위해서 특정 조건자극(CS+)과 전기충격을 연합시키고 다른 자극(CS-)과는 연합시키지 않는 공포학습을 진행하는 동안 두 CS중 하나의 CS를 선택하여 해당 CS를 제시할 때 광유전학적으로 도파민 뉴런들을 활성화시켰다. 이후, CS+와 CS-만을 번갈아 제시하는 기억검사를 실시하면서 공포반응을 측정하였다. 도파민 뉴런들을 활성화시키지 않았던 통제집단은 두 CS에 동등한 수준의 동결반응을 보였으나, 도파민을 활성화시켰던 동물들은 CS-에 비해 CS+에 유의미하게 높은 공포반응을 보였다. 이러한 변별력 향상은 도파민 뉴런들이 공포 조건화 과제동안 자극 일반화에 기여함을 시사한다.

Abstract

Midbrain dopamine neurons exhibit diverse responses to aversive stimuli, such as foot and tail shocks. Specifically one group of dopamine cells is phasically inhibited by the stimuli, whereas the other group is excited. A previous report indicated that mice whose dopamine neurons were genetically modified to disrupt the excited, but not inhibited, response to a shock exhibited generalized anxiety behavior after experiencing fearful events. Thus, it was hypothesized that an increase in dopaminergic excitation improved discriminatory fear learning. To test this idea, mice were trained in a discriminatory fear conditioning paradigm where one auditory conditioned stimulus (CS+) was paired with aversive footshock and the other tone (CS-) was not paired. Dopamine neurons in the ventral tegmental area were optogenetically stimulated during the presentation of one of the two CSs. The intensity of the footshock was strong enough for control mice to show generalized fear responses to both CSs. However, dopamine-stimulated mice was able to discriminate between two CSs, so that they freezed more time in response to CS+ than to CS-. These results suggest that dopamine neurons contribute to fear discrimination.

김혜성(연세대학교) ; 김민식(연세대학교) pp.157-175 https://doi.org/10.22172/cogbio.2016.28.1.008
초록보기
초록

갈등 과제(conflict tasks)에서 이전 시행이 불일치 조건일 때 현재 시행의 일치 효과가 줄어드는 현상을 갈등순응이라고 한다(Gratton, Coles, & Donchin, 1992). 본 연구에서는 한 시행 내의 두 갈등의 처리에서 갈등순응이 일어나는지, 그리고 시행 내의 갈등 양상이 다음 시행에도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았다. 참가자들은 시행 내의 두 개의 스트룹 자극 중 하나의 의미 정보와 다른 하나의 잉크색 정보가 같은지 다른지를 판단하는 스트룹 비교과제를 수행하였다. 실험 1에서는 과제 관련 정보가 상이한 두 스트룹 자극을 시행 내에서 순차적으로 제시하고, 첫 번째 자극의 일치 여부에 따른 두 번째 자극에 의한 일치 효과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첫 번째 스트룹 자극이 불일치 조건일 때 두 번째 스트룹 자극의 일치 효과가 감소하는 갈등순응이 나타났다. 실험 2에서는 두 개의 스트룹 자극을 동시에 제시하는 스트룹 비교과제를 실시하고 시행 간의 갈등순응을 관찰하였다. 시행 내의 두 스트룹 자극에 의한 갈등 양상은 각 자극의 잉크색과 의미의 관계에 따라 일치-일치, 일치-불일치, 불일치-일치, 불일치-불일치 조건 중에 하나에 해당되었다. 실험 결과, 이전 시행과 현재 시행의 갈등 양상이 동일한 경우에 현재 시행에서 반응시간이 감소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갈등순응효과가 두 개의 자극을 순차적으로 처리하여 반응해야하는 단일 시행 내에서도 일어나며, 시행 내의 복잡한 갈등 양상이 후속하는 시행의 갈등 순응에도 영향을 주고 있음을 새롭게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bstract

Conflict adaptation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the congruency effect decreases in an incompatible trial followed by the same incongruent trial in conflict tasks(Gratton & Donchin, 1992). This study measured whether conflict adaptation occurs upon the process of two conflicting stimuli within a trial, and whether a certain pattern of conflicts within a trial affects the performance in the next trial. The participants performed a Stroop comparison task, whrere they compared the meaning of one of the two presented Stroop words with the color of the other word. In Experiment 1, two Stroop words with distinctive task-relevant information were presented in sequence. The congruency effects of the second stimulus were analyzed as contingent on congruency of the previous stimuli.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nflict adaptation effects which the second Stroop stimuli yielded reduced the congruency effect when the first Stroop word was incongruent. In Experiment 2, conflict adaptation between trials was observed when two Stroop words were shown simultaneously. The pattern of conflicts within a trial was one of four conditions determined by the relation with each stimulus’ congruency; congruent-congruent, congruent- incongruent, incongruent-congruent, and incongruent-incongruen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T on current trials decreased when the pattern of conflicts in the current trial was identical to the previous trial. The complex pattern of conflicts generated by the previous trial affected the performance for the next trial. In conclusion, this study newly found the conflict adaptation within a single trial, which was sequentially processed and responded to two stimuli, and the effects of the complex pattern of the conflicts within a trial on the conflict adaptation in the following trial.

엄지(충북대학교) ; 정우현(충북대학교) pp.177-204 https://doi.org/10.22172/cogbio.2016.28.1.009
초록보기
초록

순간제시 얼굴의 왜곡 현상(Flashed Face Distortion Effect; FFD 현상)이란 연속해서 얼굴 자극들이 주변시에 순간적으로 제시되었을 때 그 얼굴의 특징들이 심하게 부각되어 보이거나 심지어 괴물처럼 보이는 착시이다. FFD 현상은 발견된 이래로 많은 관심을 받아왔으나 이 착시에서 얼굴이 지각되는 일반적인 양상이나 이 착시의 발생 원인을 실험적으로 검증한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에서는 FFD 현상이 나타나기 위한 기본적인 조건과 발생 기제를 살펴보기 위해 세 개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1에서는 얼굴 자극의 제시 개수와 제시 시간 그리고 총 제시시간이 FFD 현상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실험 2에서는 반복 제시와 얼굴들의 구성요소 간 간격의 차이가 FFD 현상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실험 3에서는 얼굴 구성요소의 위치 변화, 세부특징 모양 변화, 그리고 윤곽의 동일 여부에 따른 착시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실험 결과 FFD 현상에 대한 제시 개수와 제시 시간의 영향은 자극의 총 제시시간에 따라 변화하였다. 반면 구성요소 간 간격과 반복 제시는 착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얼굴의 외부 윤곽이 동일하다면 구성요소들의 간격이 좁을 때가 구성요소들의 간격이 넓을 때보다 착시가 더 강하게 지각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FFD 현상의 발생 기제가 밀집 효과(crowding effect)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Abstract

The Flashed Face Distortion Effect (FFDE) refers to the face images look grotesque and distorted when they are presented quickly and continuously in the periphery of visual field (Tangen, Murphy, & Thompson, 2011). While Tangen et al. (2011) suggested that the relative encoding of facial components is responsible for the FFDE, this was not empirically tested. To test this, we conducted three experiments to investigate the conditions evoking FFDE. In Experiment 1,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presentation duration, presentation number, and total time on the FFDE. In Experiment 2, we examined the effects of the spatial distance among internal features and repeated presentation on FFDE. In Experiment 3,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hange of the spatial distance among internal feature, the change of the shape of internal features, and whether the external features on FFDE are the same or differen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ffects of presentation duration and number were affected by the total time. The spatial distance among internal features and repeated presentation did not affect the illusion, However, we found the illusion was stronger in the condition that the spatial distance among internal features was smaller than the condition that the spatial distance among internal features was lager when the external feature was sam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FFDE is connected with crowding effect rather than relative encoding among faces.

홍락균(한림대학교 심리학과) ; 최훈(한림대학교) pp.205-212 https://doi.org/10.22172/cogbio.2016.28.1.010
초록보기
초록

일련의 자극들이 연달아 빠르게 제시되는 신속순차제시에서 두 표적을 식별해내려고 할 때, 첫 번째 표적 제시 후 0.2초에서 0.5초 이내에 제시되는 두 번째 표적의 식별에 어려움을 겪는 현상을 주의 깜박임이라고 한다. 최근 연구는 식별성이 증가된 두 번째 표적을 사용한 ‘돋음색 훈련’이라고 하는 훈련과정을 통해서 주의 깜박임이 제거됨을 보고하였다. 돋음색 훈련이 우리의 주의통제 능력을 강화시킨다는 기존의 주장에 반해, 훈련 회기 동안의 반복적인 자극 노출이 야기하는 시지각 학습이 그 주된 이유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본 연구는 돋음색 훈련 효과에 대한 시지각 학습 가설을 검증하고자, 사전 검사 1회기 - 돋음색 훈련 2회기 - 사후 검사 1회기로 구성된 실험을 수행하였다. 전체 4회기의 실험 내내 숫자가 표적으로 영어 알파벳 문자가 방해자극으로 사용되었다. 표적으로 사용된 숫자는 총 여덟 개 였는데, 이 중 무선적으로 선택된 절반인 네 개만이 돋음색 훈련에 사용되었고, 사전, 사후 검사를 통해 훈련 회기에서 사용되지 않았던 다른 네 개의 숫자를 표적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훈련 효과가 발생하여 주의 깜박임이 제거되는지를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훈련 회기에서 사용되지 않았던 숫자에 대해서도 훈련 효과가 전이되어 주의 깜박임이 제거되었으며, 이는 돋음색 훈련의 효과가 단지 훈련 기간 동안 표적이 반복적으로 노출되는 것에 따른 지각 능력의 향상이 아닌, 주의 능력이 향상된 결과로서 표적을 탐지하고 방해자극을 억제하는 주의 통제 기제에 영향을 미친다는 기존의 가설을 지지하였다.

Abstract

When participants are asked to identify two targets embedded in a rapid serial visual presentation (RSVP), they hardly identify the second target that is presented within 200-500ms after the first target. This is called an attentional blink (AB). A recent study reported that AB can be removed by the color-salient training in which the second target within 200-500ms is presented in a salient color. The study suggested that the training effect is caused by an improvement of our attentional control mechanism, which is responsible for both target selection and distractor inhibition. Alternatively, however, the training effect might be understood as a result of visual perceptual learning evoked by repetitive exposure to stimuli during the training. The current study tested these two hypotheses through an experiment that consisted of four sessions: a pre-test session, two color-salient training sessions, and a post-test session, in that order. All sessions employed number targets and alphabet letter distractors in RSVP. During the training, only half of eight numbers (from 2 to 9) were randomly selected as targets. Our results showed that even when untrained numbers, which were not used in the training, were employed as targets in the post-test, the training effects occurred, resulting in removal of AB. It supported the hypothesis that the color-salient training effect occurs not as a result of the visual perceptual learning but as a result of improvement in our attentional capacity.

감기택(강원대학교) pp.213-220 https://doi.org/10.22172/cogbio.2016.28.1.01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3D 영상 시청 시 발생되는 시각적 불편감의 여러 원인들 중 개인 변인들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고려된 변인으로 나이, 멀미 민감성, 동공간 거리, 입체 시력이 포함되었고 실험 참가자들의 멀미 감수성과 동공간 거리, 그리고 입체 시력이 개인별로 측정되었다. 80분 동안 입체 영상을 본 후에 시각적 불편감을 어지러움, 눈통증, 신체 통증, 시청중단욕구, 상흐림의 요인별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연령의 경우 20대 참가자들이 30대나 40대 참가자들보다 상흐림과 시청중단 요구요인에서 불편감을 더 크게 지각하였고, 멀미 감수성의 경우에서도 20대에서는 멀미 감수성이 높을수록 시각적 불편감을 더 크게 지각하였지만 40대 이후에서는 멀미감수성에 따른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동공간 거리와 입체시력의 차이에 따라서는 시각적 불편감에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하지 못했다. 나이와 운동 멀미 감수성에 따른 시각적 불편감의 차이를 3D 영상 제시 환경이 가지고 있는 수렴-조절 불일치의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whether visual discomfort was influenced by various individual differences, such as age, motion sickness susceptibility, interpupilary distance, and stereo acuity. The last three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individually. After watching 3D television programs for 80 minutes, participants answered the visual discomfort questionnaire, consisting of 5 different factors such as dizziness, eye pain, body ache, blurring vision. The university students and young adults had more discomfort than the participants in their 30s, 40s, or older. For the participants in their 20s, observers with higher scores in motion sickness susceptibility had more discomfort, but this tendency was weakened and disappeared as observers' age increased. With regard to interpupilary distance and stereo acuity, there was no difference in visual discomfort.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the context of convergence-accommodation conflict in 3D environment.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