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권소영(부산대학교 심리학과) ; 윤홍옥(제주대학교 영어영문학과) ; 이동훈(부산대학교 심리학과) pp.33-47 https://doi.org/10.22172/cogbio.2022.34.2.001
초록보기
초록

정서단어는 구체적인 정서 상태를 가리키는 정서명칭단어(예, 행복, 슬픔)와 정서 상태를 지칭하지는 않지만 정서와 연합되어 정서를 내포하는 정서내포단어(예, 성공, 실패)로 분류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두 유형의 정서단어가 어휘 정보처리 과정에서 다르게 처리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 1의 참가자는 정서명칭단어 및 정서내포단어로 구성된 단어와 비단어에 대하여 어휘판단과제를 수행하였고, 실험 2의 참가자는 실험 1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정서단어에 대하여 긍정 단어인지 부정단어인지 판단하는 정서가판단과제를 수행하였다. 실험 1, 2의 결과로 얻어진 반응시간 자료에 대해 R lme4 패키지를 사용하여 선형혼합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험 1, 2의 결과 모두 수렴적으로 단어 빈도, 구체성, 정서성 등을 통제한 후에도 정서명칭단어에 비해 정서내포단어가 느리게 처리됨을 보여주었다. 또한 정서단어유형과 상관없이 단어가 부정적일수록 반응시간이 느려지는 정서가의 주효과가 관찰되었다. 본 연구 결과에서 정서내포단어에 대한 느린 반응시간은 이 단어들의 정서가가 추가적인 정보 처리가 필요한 정서경험을 매개로 형성됨을 암시한다. 따라서 우리는 정서내포단어와 정서표현단어에 대한 정보처리가 단어의 구체성이나 정서가와 상관없이 질적으로 다를 수 있다고 주장한다.

Abstract

Emotion words are often categorized into emotion-label words which refer to specific emotional states (e.g., happy, sad) and emotion-laden words which do not directly mention but embed emotional states (e.g., success, fail).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emotion words belonging to different categories are processed differently. Participants performed a lexical decision task on emotion-label and emotion-laden words in Experiment 1 and a valence decision task on the same words in Experiment 2. A series of linear mixed-effect models were conducted on response latencies (RTs) while lexical frequency, concreteness and emotionality of words were controlled for. The model results yielded that emotion-laden words were processed slower than emotion-label words, and that positive emotion words were processed faster than negative emotion words regardless of word categories. The slower RTs to emotion-laden words imply that the valence of the words is constructed through emotional experience requiring addi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We insist that the informational processing of emotion-laden words is different from that of emotion-label words, independent of the concreteness and emotionality of emotional words.

곽세열(부산대학교 심리학과) ; 이다솜(서울대학교 심리학과) ; 조수연(서울대학교 심리학과) ; 최진영(서울대학교 심리학과) pp.49-66 https://doi.org/10.22172/cogbio.2022.34.2.002
초록보기
초록

특질 충동성은 아동·청소년기의 주의력 결핍, 품행장애, 물질사용 등과 같은 문제를 설명하는 심리적 구성개념으로 알려져 있다. 뇌 영상 기법을 활용하여 청소년기 충동적 행동과 관련된 뇌 구조와 기능에 대한 신경과학적 상관물이 밝혀져 왔으나, 자기보고식 척도를 통해 측정되는 특질 충동성이 어떤 신경생물학적 기반을 반영하는지 알려진 바가 적다. 본 연구에서는 63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다차원적 충동성 척도(UPPS-P)와 휴지기 자기공명영상(resting state fMRI) 자료가 수집되었다. 정준상관분석을 사용하여 각 요인별 문항 반응이 충동성 뇌 연결망과 어떤 다변량적 관계를 맺는지 탐색했다. 분석 결과, 부정 긴급성, 감각추구, 긍정 긴급성 요인 별로 뇌 연결성과의 정준상관이 유의미했다. 특히, UPPS-P의 응답 패턴은 뉴로신스의 메타분석에 기반하여 정의된 충동성-관련 뇌 연결성과 관련이 있었던 반면, 충동성-관련 영역이 아닌 뇌 연결성에서는 이러한 정준상관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UPPS-P의 특정 문항 조합은 충동성-관련 뇌 연결성의 조합에 기반하고 있음을 나타내며, 자기보고 방법으로 측정되는 특질 충동성 척도의 일부 문항이 청소년의 뇌 기능 개인차를 반영하는 도구임을 시사한다.

Abstract

Trait impulsivity is known as a psychological construct that explains behavioral problems, including lack of attention, personality disorders, and substance use disorder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hile neurobiological mechanisms of adolescents’ impulsivity measured with behavioral lab tasks have been revealed using functional brain imaging techniques, little has been known whether trait impulsivity measured with self-reporting scales reflects a relevant neurobiological entity. In this study, multi-dimensional trait impulsivity scale (UPPS-P) and resting-state fMRI were acquired from 63 typically developing adolescents. We used a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CCA) to examine whether trait impulsivity reflects the brain connectivities of impulsivity network by targeting the brain regions with the Neurosynth meta-analysis system. We found that the linear combination of UPPS-P item-level responses was associated with the linear combination of impulsivity-relevant brain connectivities in the factor items of negative urgency, sensation seeking, and positive urgency. On the contrary, the brain connectivities that were not based on the meta-analysis of impulsivity did not show a meaningful canonical correl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specific questionnaires that compose the trait impulsivity scale are reflective of individual differences of adolescents’ neural circuitry of impulsiveness.

김인용(전북대학교 심리학과) ; 박태원(전북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김호영(전북대학교 심리학과) pp.67-81 https://doi.org/10.22172/cogbio.2022.34.2.00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순행성 통제(proactive control)와 반응성 통제(reactive control)로 구분되는 기제를 통해 인지통제가 작동한다는 인지통제의 이중기제(Dual Mechanism of Control, DMC) 이론의 관점에서 성인 ADHD의 인지통제 결함의 특성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성인 ADHD 27명, 정상 대조군 성인 29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성인 ADHD에서 흔히 동반되는 우울이 인지통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ADHD가 아닌 우울한 성인 17명도 참여하였다. 인지통제 과제로 사용된 AX-CPT는 4가지 유형의 단서-탐색자극 쌍(AX, AY, BX, BY)으로 구성되며, AX에는 표적 반응을 나머지 자극 쌍에는 비표적 반응을 하게 하는 연속수행과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표적 반응에 대응하는 단서-탐색자극 쌍인 AX의 비율(AX-40 vs. AX-70)로 순행성 통제의 요구도를, 탐색자극 대신에 반응을 억제해야 하는 nogo 자극이 제시되는 nogo 시행을 이용(기저 vs. nogo 조건)하여 반응성 통제의 요구도를 조작하였다. AX-비율 조건은 역균형화하였으며, AX-비율 조건 내에서 기저 조건, nogo 조건 순으로 실시되었다. 성인 ADHD 집단은 단서를 이용하여 반응을 사전에 준비하는 순행성 통제과정이 전반적으로 저하된 데 비해, 우울 집단은 강력히 편향된 반응을 순행적으로 억제해야 조건(AX-70의 BX)에서만 낮은 수행을 보였다. 또한 반응성 통제에 대한 요구도가 높은 nogo 시행에서는 ADHD 집단과 우울 집단 모두 정상 집단에 비해 낮은 수행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성인 ADHD가 순행성 통제와 반응성 통제를 포함한 전반적인 인지통제의 결함을 가짐을 시사하며, 반응성 통제 결함은 이차적 우울의 영향도 혼재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cognitive control deficits in adult ADHD from the perspective of Dual Mechanism of Control (DMC), which posits that cognitive control operates via two distinct dimensions, i.e., proactive and reactive control. AX-CPT, including nogo trials, was utilized to tap cognitive control processes in a sample of 27 adults with ADHD, 17 adults with depression, and 29 healthy adults. The performance of adults with ADHD was compared to that of adults with depression as well as healthy adult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epression, which is a common comorbid condition in adult ADHD. AX-CPT is a continuous performance test consisting of four types of cue-probe pairs (AX, AY, BX, BY) and requires participants to respond to a probe based on a preceding cue. AX pairs are target pairs matched with a target response, and other pairs are non-target pairs matched with a non-target response. The proactive control demands were manipulated with the proportion of AX trials(AX-40 vs. AX-70) and the reactive control demands were manipulated with nogo trials(base vs. nogo). The order of the two AX-proportion conditions were counterbalanced, and the base condition and the nogo condition were implemented in order within each AX-proportion condition. The adult ADHD group showed lower accuracy than the depression group and the healthy control group in the performance of BX trials that require proactive inhibitory control. Both the ADHD group and the depression group performed lower than the healthy control group in nogo trials that require reactive inhibitory control. These results suggest that adults with ADHD have a deficit in overall cognitive control, including proactive and reactive control, and the reactive control deficit of adult ADHD may be associated with comorbid depression as well as ADHD itself.

김태훈(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이도준(연세대학교 심리학과) pp.83-98 https://doi.org/10.22172/cogbio.2022.34.2.004
초록보기
초록

재활성화된 기억은 일시적으로 불안정해지고 새로 경험된 내용을 반영하여 변하기 쉬운 상태가 된다. 최근 연구들은 이러한 기억갱신이 시작되려면 기억이 불완전하게 인출되어 예측오류가 유발되어야 한다는 증거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기억갱신과 예측오류의 관계는 아직 분명하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3일간의 물체 학습 절차를 통해 예측오류 크기에 따른 기억갱신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참가자들은 첫째 날에 물체 목록을 학습하고, 둘째 날에 새로운 목록을 학습하였다. 실험집단은 두 번째 목록을 학습하기 전에 이전 학습에 관한 단서를 제시받았다. 이때, 하위목록마다 서로 다른 크기의 예측오류가 발생하도록 단서의 양을 조작하였다. 그 결과, 셋째 날의 출처기억 검사에서 실험집단은 두 번째 목록을 첫째 날에 학습했다고 오귀인하는 실수를 자주 범했으며, 그 정도는 예측오류 크기가 중간 수준일 때 가장 두드러졌다. 그에 비해, 첫 번째 목록에 관한 기억은 예측 오류 크기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또한, 두 번째 목록 학습 후 리마인더를 제공받은 통제집단에서도 재응고의 증거를 찾을 수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예측오류가 적정한 수준일 때에만 기억갱신이 일어나고, 예측오류가 클 때는 기억이 수정되기보다 새로운 기억이 형성된다는 것을 뜻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예측오류가 기억갱신의 필요조건이지만 충분조건은 아니라는 점을 시사한다.

Abstract

The reactivation of memories can transiently render them vulnerable to and updated with newly learned information. Recent evidence implicates prediction error as necessary to trigger such reconsolidation processes. However, it is unknown how the prediction error level relates to memory updating. Using a 3-day object learning paradigm, we tested the updating of memories as a function of prediction error during reactivation. On Day 1, participants learned the first list of objects divided into a few subsets. On Day 2, the experimental group was reminded of the first list and then learned the second list while the control group went through reverse order. Notably, when the memories of the first list were reactivated, different levels of prediction error occurred for the subsets. On Day 3, the experimental group was more likely to misattribute the source of objects from the second list as being from the first list, the extent of which was prominent with a moderate level of prediction error. No such pattern was observed for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only a moderate prediction error is required for memory updating and that a new memory may be formed when there is too much prediction error. The current study suggests that prediction error is a necessary but not sufficient condition for memory updating.

고범준(전북대학교 심리학과) ; 박창호(전북대학교 심리학과) pp.99-108 https://doi.org/10.22172/cogbio.2022.34.2.005
초록보기
초록

타당한 단서는 표적의 탐지 시간을 줄이는 효과가 있는데 이를 단서 효과라고 한다. 본 연구는 중추 단서와 말초 단서의 타당도의 수준을 25%, 40%, 55%, 70%, 85%, 및 100%로 변화시켰을 때 표적 탐지의 반응시간을 측정하고, 단서 효과가 타당도 수준에 따라 변화하는 추세를 관찰하였다. 두 단서 조건 모두에서 단서 타당도가 증가할 때 전반적인 반응 시간은 비선형적으로 감소하였으며, 타당도 수준으로 예측되는 것보다 대체로 더 긴 경향이 있었다. 타당도 수준이 증가할 때 타당 시행의 반응시간도 비선형적인 감소 패턴을 보인 반면, 단서 효과는 선형적으로 증가하였다. 추가 분석에서 여섯 개의 타당도 수준은 25%와 40% 구간, 55%에서 85%까지의 구간, 그리고 100% 수준 등 세 개의 타당도 범위로 구별될 수 있는 것처럼 보인다. 종합하여 보았을 때, 타당 시행에서 표적 탐지 수행은 전반적으로 단서 타당도 수준의 변화에 민감하게 대응하지 않으며, 단서 타당도 정보의 활용에는 전략적인 요인이 개입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Valid cues have an effect of reducing detection time of targets, which is called cueing effect. This study manipulated validity of central and peripheral cues between 25%, 40%, 55%, 70%, 85%, 100% and measured target detection time. In both of cue conditions overall response time (RT) decreased non-linearly when cue validity increased, and tended to be longer than expected linearly at corresponding validity level. As cue validity increased valid trials also showed similar nonlinear decreasing pattern of RTs, but cueing effect increased linearly. Further analysis indicates that 6 levels of validity could be grouped into three sections: 25% and 40% section, 55% to 85% section, and 100% level. In summary, RTs of valid trials did not match levels of cue validity sensitively, and there might be more strategic factors involved in utilizing cue validity information.

김민희(덕성여자대학교 심리학과) ; 김제중(덕성여자대학교 심리학과) pp.109-120 https://doi.org/10.22172/cogbio.2022.34.2.006
초록보기
초록

정서 재인에 있어서 맥락의 효과는 다양한 맥락자극을 사용한 연구들에서 입증되어 왔다. 그러나, 정서에 관한 대부분의 연구는 얼굴표정에 초점을 두고 수행되었다. 얼굴표정이 정서적 상호작용에서 매우 중요한 단서임은 틀림없으나, 신체표현 역시 정서 정보의 중요한 출처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신체표현의 정서정보 처리에 작용하는 맥락의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신체표현은 얼굴표정과 분리해서 생각하기 어려운 만큼, 얼굴표정의 정서 정보가 신체표현에 미치는 맥락적 영향을 정서 점화 과제를 통해 알아보았다. 신체 움직임을 나타내는 자극으로는 점광생물형운동(BM)자극을 사용하였다. 첫 번째 과제에서는 분노, 중립 또는 행복정서를 나타내는 얼굴표정이 점화자극으로 짧게 주어진 후 정서중립 BM자극이 표적으로 제시되었고, 참가자들은 BM자극이 어떤 정서가를 가지는 것으로 보이는지를 판단하였다. 또한, 선행연구들이 얼굴표정의 처리에 초점을 맞추어 온 점을 고려하여, 동일한 과제에서 중립얼굴을 표적자극으로 사용한 과제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정서가를 가진 BM에 대한 정서 평정 과제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첫 번째 과제와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정서를 가진 얼굴 점화자극은 얼굴 표적자극뿐만 아니라, BM자극의 정서가 판단에도 점화자극의 정서와 일치하는 방향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 효과는 분노 및 행복정서 모두 BM자극에서 얼굴 자극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BM자극에 정서적 얼굴표정이 미치는 효과를 확인한 것과, 얼굴자극과의 비교를 통해 BM자극이 전달하는 정서가의 특성을 밝힌 점에서 의의가 있다.

Abstract

Contextual effects on emotion recognition have been well evidenced on various contextual stimuli. However, previous studies mostly focused on facial expressions. Although the facial expressions are important cue in emotional communication, bodily expressions are also one of the fundamental sources of emotional information especially when faces are hard to recognize. The present study examined contextual effects on emotional processing of the bodily expression. Given that the bodily expressions are inseparable from the facial expression, we aimed to examine contextual effects of faces on bodily expression. For bodily expression, we used point-light biological motion(BM) that depicts human movement and convey emotional information. In the affective priming paradigm, emotionally neutral BMs were presented as targets following the prime which was either happy, angry, or neutral face. To compare with the emotional processing of faces, the same experiment but with neutral face target was additionally conducted. Participants were told to rate emotional valence of the targets.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the BM and face targets were affected by priming effects. Notably, the effects were much greater on BM than the face targets, indicating that BM was more influenced by contextual emotion. These suggest that BM perception may need greater integration of the emotional contextual information possibly due to insufficient its own emotional information compared to faces. To summarize, the present study newly revealed the affective contextual effect of facial expression on BM, and identified distinct property of emotional valence convey by BM compared with facial expressions.

김인익(전북대학교 심리학과) ; 장준혁(전북대학교 심리학과) ; 김현중(전북대학교 심리학과) ; 김종완(전북대학교 심리학과) pp.121-133 https://doi.org/10.22172/cogbio.2022.34.2.007
초록보기
초록

최근 인지신경과학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참가자 간 상관분석은(intersubject correlation; ISC) 참가자들의 개인차를 고려하는데 적합하고 기존의 일반선형모델 분석(예: 변량분석)의 한계를 보상하는 분석으로 알려져 있다(Hasson et al., 2004; Nastase et al., 2019). 본 연구에서는 정서적으로 구별되는 ASMR 자극들에 대해 참가자들의 정서 반응 일관성을 측정하고 정서 유형 및 감각 양상의 조건 별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Kim과 Kim(2020)의 청각적 ASMR 자극과 의미적으로 부합하는 시청각적 ASMR 자극을 사용하였다. 정서 평정 측정을 위해 10개의 정서 형용사 문항 5점 리커트 척도로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모든 자극들 쌍을 조합하여 참가자 간 상관 분석한 결과, 참가자들의 자극에 대한 정서 반응 일관성을 ISC 행렬을 통해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주로, 정서적 혹은 감각 양상으로 유사한 자극들끼리 참가자 간 상관이 더 높은 모습을 보였다. 통계적 검증을 위해, 이 행렬의 요소 값들을 추출하여 동일 자극 쌍, 상이 자극 쌍 정서 내, 상이 자극 쌍 정서 간 데이터셋을 구성했다. 이들을 반복측정 변량분석한 결과, 정서 유형 및 감각 양상 조건 별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가 관찰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참가자들의 정서 평정 일관성이 ASMR이 긍정적일수록 혹은 ASMR이 시각적 장면과 제시될 때, 유사해짐을 나타낸다. 그러나 참가자들의 부정적 ASMR 자극에 대한 ISC는 시각적 장면의 제시 유무와 관련이 없었다. 부정적 ASMR의 시각적 장면이 부정적 AMSR의 청각적 요소와 의미적으로 부합할지라도, 참가자들 간 유사한 정서 경험을 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부정적 AMSR이 참가자 간 정서 경험에 갖는 특수한 영향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Abstract

In recent years of neuroscience area, intersubject correlation (ISC) has been regarded as a suitable method for considering individuals' differences. In this study, we measured the individual's affective responses on the distinctive ASMR stimuli and investigated if there are differences of intersubject correlation values between the experimental conditions. We used Kim and Kim (2020)'s data of the participants' affective responses to ASMR stimuli. We were able to find the consistency of affective responses across subjects by computing the ISC matrix. The participants tended to respond similarly when they watched emotionally similar stimuli. For follow-up analyses, the elements of the matrix were processed to make three different data sets, which consist of the same stimulus pairs set, different stimulus pairs within same emotion sets, and different stimulus pairs between emotion sets. Those data were analyzed using two-way repeated measures ANOVA to test the effects of affective valence and sensory modalities on ISCs. Results showed that when ASMR was positive or audiovisual, the participants tended to respond more similarly to the stimulus. The subjects did not respond similarly in audiovisual condition when they watched negative ASMR stimuli. Although the negative scenes were semantically corresponded to the negative auditory stimuli, the subjects reponses were not consistent.

양현보(부산대학교 심리학과) ; 이정수(부산대학교 심리학과) ; 이동훈(부산대학교) pp.135-148 https://doi.org/10.22172/cogbio.2022.34.2.008
초록보기
초록

한 사람의 얼굴표정 이전에 제시되는 정서단어나 다른 사람의 얼굴표정은 그 사람의 정서를 파악하는 맥락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정신물리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사전에 제시한 정서단어와 얼굴표정이 표적 얼굴표정의 정서판단에 미치는 맥락조절효과를 비교하였다. 실험 참가자들은 맥락으로 정서단어(“기쁨”, “분노”) 또는 그에 대응하는 얼굴표정(전형적 기쁨 표정, 분노 표정)을 본 후, 뒤따르는 분노-기쁨 6단계 표적 얼굴표정의 정서범주를 판단하는 2안 강제선택과제(2 AFC; two alternative forced choice task)를 수행하였다. 맥락 제시시간을 달리하여 두 번의 실험을 진행한 결과(실험 1: 200ms, 실험 2: 1500ms), 정서단어 맥락은 제시시간과 상관없이 맥락 정서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정서판단 역치를 이동시키는 동화성 맥락조절효과를 유발하였다. 이에 반해 얼굴표정 맥락은 맥락 정서와 반대 방향으로 판단 역치를 이동시키는 대조성 맥락조절효과를 유발하였다. 이때, 기쁨 표정 및 분노 표정의 맥락조절효과는 제시시간의 영향을 받았다. 맥락 제시시간이 짧은 경우에는(실험 1: 200ms) 기쁨 표정의 대조성 맥락조절효과만 관찰된 반면, 맥락 제시시간이 충분히 긴 경우에는(실험 2: 1500ms) 기쁨 표정과 분노 표정의 대조성 맥락조절효과가 모두 관찰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정서판단 맥락으로서 정서단어는 정서개념을 활성화하는 반면 얼굴표정은 구조적 정보를 활성화함에 따라 뒤따르는 얼굴표정 정서지각에 상이한 맥락효과를 초래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Emotion words or emotional faces presented before a person's facial expressions can be used as contextual information to identify that person's emotion. Using a psychophysical method, we compared the context modulation effects of emotional words and faces on emotion judgment of the target faces. We presented emotion words (“happiness”, “anger”) or emotional faces (typical happy and angry face) as context, and then participants performed a two alternative forced choice task (2-AFC) to determine the emotion of the target face of which emotion was gradually morphed from happiness to anger. As a result of two experiments with different context presentation times (Experiment 1: 200 ms, Experiment 2: 1500 ms), the emotional word context induced an assimilation context modulation effect that shifts the emotion judgment threshold in a direction consistent with the context emotion regardless of the presentation time. On the other hand, the facial expression context induced a contrasting context-regulating effect that shifted the judgment threshol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contextual emotion. At this time, the context modulation effect of happy expression and anger expression was affected by the presentation time. When the context duration was short (200ms), only contrastive effect of happy face was observed, whereas when the context duration was long enough (1500ms), both contrastive effect of the happy and angry face were observed.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emotional words as context activate emotional concepts, whereas facial expressions activate structural information, which can lead to different contextual effects on the emotional perception of subsequent facial expression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