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도경수(부산대학교 심리학과) pp.1-15
초록보기
초록

한글 글자의 지각적 처리과정을 알아보기 위해 두 개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1에서는 자음과 모음을 다 고려해야 하는 통합목표조건의 탐지시간의 기울기가 하나의 자소에서 비목표자극이 목표자극과 구분되어지는 자소목표조건의 기울기의 합과 거의 같아서, 자소의 통합으로 글자의 지각이 일어남을 보여주었다. 실험 2에서는 통합목표자극과 자음은 같으나 모음이 다른 글자가 통합목표자극과 모음은 같으나 자음이 다른 글자보다 목표자극의 탐지시간에 더 많은 영향을 미쳤다. 이 결과는 글자의 처리에서 자음이 우선적으로 처리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Abstract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Korean letter perception. Slopes of letter detection latency in the conjunction condition, in which both the consonant and the vowel of letters had to be checked, matched the sum of slopes in the consonant target condition and the vowel target condition, in which either the consonant or the vowel, but not both, was needed to be checked. The result of Experiment 1 supported that Korean letters are perceived after integrating consonants and vowels that comprise each letter. To compare between the consonant precedence hypothesis and the vowel precedence hypothesis, number of letters that share the consonant with the target and number of letters that do not share the consonant with the target is manipulated in Experiment 2. Slopes of detection latency due to the number of letters that share the consonant were larger than that of letters that do not share the consonant. The result of Experiment 2 was interpreted to support the consonant precedence hypothesis.

정수영(서울대학교 심리학과) ; 이춘길(서울대학교 심리학과) pp.7-13
초록보기
초록

스텝 모터를 제어하여 미세 전극을 구동하는 저렴한 시스템을 소개하였다. 스텝 모터의 회전이 직진형 마이크로미터 머리에서 직선 운동으로 변환되었다. 모터의 회전은 비틀림 탄성계수가 큰 피아노용 강선에 의해 전달됨으로써 두 회전축의 편심과 편각이 간단히 흡수되었다. 스텝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와 스텝 모터의 누적 회전량, 즉 전극의 진행 거리를 표시하는 회로가 설계, 제작되었다. 회로의 핵심은 IC 칩으로 쵸퍼 구동을 저렴하게 수행하는 것이다. 개발된 미세 전극 이동 시스템의 정밀도는 1.25㎛이었다. 시스템의 시험은 약 1년 동안 네 마리의 고양이에서 유리로 절연된 텅스텐 전극으로 이루어졌다. 뇌간 구조나 대뇌 피질 구조를 목표로 70회 이상 전극의 진행이 있었다. 이 실험들을 통해서 개발된 미세 전극 구동 시스템의 기계적, 전기/전자적 성능들은 상업적으로 비슷하게 제작된 것들에 비교하여 떨어지지 않았다.

Abstract

A design of an inexpensive micropositioner using a step motor controller is described. The rotation of the motor is translated into linear movement by a micrometer head. The rotation is transmitted through a piano wire with a high torsional stiffness conveniently absorbing the eccentricity and deviation angle of the two rotating axes common mechanical problems which can be expensive to correct. Two circuits were developed to control the step motor and to display cumulative rotation, i.e. linear movement. The control circuit was designed around a hybrid IC chip for an inexpensive chopper drive. The resolution of the micropositioning system, thus developed was 1.25㎛. More than 70 penetrations of tungsten-in-glass micro electrodes into deep and shallow brain structures, such as the superior colliculus or the visual cortex, were made in 4 cats, using the developed micropositioner. From these experiments the system was found to be reliable and satisfactory.

손진훈(충남대학교 심리학과) ; 오애령(충남대학교 심리학과) pp.14-21
초록보기
초록

고속핵에 대한 전기적, 화학적 자극은 열에 의해 유발되는 통각을 억제 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고속핵 자극에 의한 통각억제에 중뇌 이상의 뇌구조가 관련이 있는지, 그리고 통각억제와 이의 하행성 통로로 중요한 구조인 연수의 거대 봉선핵이 관련되어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수컷 Sprague-Dawley종을 사용하였으며, "꼬리 튀기기" 방법을 사용하여 통각 예민성을 측정하였다. 고속핵과 중뇌사이를 관상절단 하였을 때, 고속핵 자극에 의한 통각억제의 역치는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자극역치가 거의 두배로 증가하거나, 운동효과(예컨데, 꼬리 움직임)의 부작용이 나타나는 경우는 더 이상 높은 전기자극을 하지 않았다. 중뇌의 문측을 관상절단 하였을 때는 고속핵 통각억제의 자극역치에 변화가 없었다. 거대 봉선핵 자극은 고속핵자극보다 낮은역치에서 통각억제를 유발하였으며, 거대 봉선핵 손상은 통각억제를 위한 고속핵의 자극역치를 유의미하게 증가시켰다.

Abstract

Electrical stimulation of the nucleus tractus solitarius(NTS) produces opioid-mediated antinociception. The NTS has extensive reciprocal connections with higher brain structures. Notable among these are connections with nucleus raphe magnus (NRM). This study sought to determine whether NTS stimulation-produced antinociception (SPA) relies on cennections with higher brain structures and/or the NRM. Male Sparague-Dawley rats were anestheuized with pentobarbital (55mg/kg) and mounted stereotaxic apparatus. Pain sensitivity was masureed using the tail-flick test. In the experiment 1, a stimulating electrode was positioned in the NTS and holes were drilled so that a guide cannular could be lowered into the hole Through this cannula a wire was inserted allowing coronal brain section to be made. Thresholds for SPA were determined before and after coronal sections. Sections were made rostral to the midbrain and between the NTS and midbrain. In the experiment 2, similar procedures were followed except selective electrolytic lesion (1mA, DC, 20 sec) of the NRM were made. Transections between the NTS and midbrain significantly increased the threshold for SPA in the NTS. Cuts made rostral to the midbrain had no effect on SPA threshold, NRM lesions also increased SPA threshold. In this experiment, baseline tail-flick latencies were always increased for approximately 2 to 5 minutes after the lesion.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stimulation of the NTS produces antinociception via not any brain nuclei rostral to midbrain but a descending system arising in the NRM at least.

김미현(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이만영(고려대학교 심리학과) pp.16-2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한글 글자를 지각하는데 있어서 인식의 초기 단계에 사람들이 글자의 유형을 처리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글자인식의 초기 단계에서 유형 분류를 한다는 것은 이미 인공시각 연구자들에 의해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된 바 있으나, 그것이 심리학적으로 실재성을 가지는지에 대한 검토는 없었으므로 본 연구를 실시하게 된 것이다. 먼저 예비실험을 통해 본 실험에서 쓸 자극제시시간을 구했으며, 실험은 한글 글자 중 낱자 수가 두개인 유형 1,2의 글자를 자극으로 쓰는 경우와, 낱자 수가 세개인 유형 3, 4, 5의 글자를 자극으로 쓰는 경우를 나누어서 실시하였다. 실험 1과 실험 2의 결과는 모두 가설을 강력히 지지하는 것으로 나왔다. 즉 자극제시시간을 역치이하로 했을 경우 글자의 정답율과 유형의 정답율을 비교해 보았을 때 유형의 정답율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이는 아직 글자의 세부속성처리가 일어나기 전인 인식의 초기 단계에서 이미 글자의 유형에 대한 처리가 일어났음을 시사해 주는 것이다.

Abstract

Many of the system modeles for pattern identification of hangul character have adopted a separate subsystem of global character type classification as an initial part. The subsystems umanimously classify hangul characters into six types. The present study determined psychological realities of the subsystems. Thirty six subsystems were asked to identify or guess the presented characters individually through T-scop for short duration. The presentation time was varied into three levels, which were determined through preliminary experiment. The shortest duration was determined to ensure abiout 10% of correct chracter identification in average rate, while the longest duration to ensure about 85% of correct identification. The results of two Experiments strongly support the hyphothesis of this study. That is, when the stimulations are presented is under threshold, the rate of correct subsystem identification is high but, to the rate of correct chracter identification is low. This suggests that the process of the subsystem be taken before that of the chracter is, at the early stage of the perception.

현성용(대구대학교 심리학과) pp.22-3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측핵의 dopamine성 입력이 먹이와 같은 자연적 강화자의 강화효과를 매개하는 신경화학적 실체인가를 규명하기 위하여 실험 1에서는 측핵의 dopamine성 신경종말을 6-OHDA로 손상시켰으며, 실험 2와 실험 3에서는 dopamine성 수용기를 차단하는 약물인 haloperidol을 측핵에 주입하였다. 그리고 행동적으로 강화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조건화된 장소선호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는 측핵의 dopamine성 신경종말이 파괴되거나 또는 측핵의 dopamine성 수용기가 차단되면 조건화된 장소선호에 결함이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이러한 실험처치들이 동물이 섭취한 먹이의 양이나 왕복상자에서의 이동회수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측핵의 dopamine성 입력이 차단된 동물에게서 나타난 조건화된 장소선호의 결함이 동기적인 요인이나 운동결함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 강화자의 강화적 속성이 차단되었기 때문이라 해석할 수 있었다. 또한 실험 3의 haloperidol+haloperidol 집단에서도 조건화된 장소선호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보아 본 연구의 결과가 상태의존적 학습 때문이 아니라고 할 수 있었다. 나아가 실험 3의 식염수+haloperidol 집단에서도 조건화된 장소선호가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측핵의 dopamine성 전도가 조건강화자의 강화효과를 매개하는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들을 종합하면 뇌 자기자극이나 보상적 약물들의 강화적 효과에 관한 기존의 연구결과들과 일치하는 것으로써, 측핵으로 들어오는 피개선조로 dopamine이 강화자의 강화적 속성을 매개하는 신경화학적 실체임을 시사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ole of dopaminergic input to the nucleus accumbens in the reinforcing effects of natural rewards using the place preference paradigm. In experiment 1, 22 male albino ra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ree groups. One group had received 6-hydroxydopamine(6-OHDA) lesions of the nucleus accumbens. The other two groups were used as sham operated or no food control group, 6-OHDA lesion group did not show the conditioned place preference and it was similar to no food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the three groups in the amount of food intake and number of crossing. Experiment 2 was conducted to see whether dopaminergic receptors in the nucleus accumbens were involved in the food reinforcing process. Haloperidol(0.5㎕, 1.0㎕) was injected just before being placed in the non-preferred compartment with food, and saline was injected just before being placed in the preferred compartment with no food. Only saline was injected to two control groups, one group was received food in the non-preferred compartment and the other group was received no food in either compartment. Results revealed that haloperidol groups and no food control group did not show the conditioned place preference. And there was also no difference among the four groups in the amount of food intake and number of crossing. Experiment 3 was conducted to test state dependent explanation of the result of experiment 2, and also to examine whether tegmentostriatal dopamine influences to the response with conditioned reinforcer even when primary reinforcer is not presented. Thirty ra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groups. Either saline or haloperidol(0.5㎕) was injected with into the nucleus accumbens during the conditioning phase. Before the test phase, each group was sub-divided into two. Either saline or haloperidol(0.5㎕) was injected again to sub-groups just before being tested. Results revealed that only those rats that were injected with saline during conditioning and test phase significantly changed their preference to the compartment associated with food. None of the other three groups(saline+saline, haloperidol+haloperidol, haloperidol+saline treated) changed their preference.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deficit in haloperidol treated rats was not due to the state dependent learning, and that haloperidol blocked the response to the conditioned reinforcer. Taken together it may be concluded that tegmentostriatal dopamine takes part in the reinforcement process of natural reward.

김호영(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정찬섭(연세대학교 심리학과) pp.25-35
초록보기
초록

단어모양이 한글 시각정보처리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명조체와 샘물체로 된 한음절 글자, 두음절 단어, 세음절 단어의 정확인식율을 비교하였다. 명조체는 자모의 모양과 크기가 글자의 고정된 네모틀에 맞게 변형되므로 단어모양이 글자의 자모조합 유형과 음절길이에 따라 크게 달라지지 않는다. 이에 반해 샘물체는 자모조합 유형에 따라 글자의 네모틀이 변형되므로 부가적인 단어변별 정보가 단어모양에 포함되며, 음절길이가 증가할 때 단어모양 정보가 명조체에 비해 더욱 두드러진다. 이처럼 서로 구별될 수 있는 명조체와 샘물체 단어의 시각적 구조는 각각 다른 근거에서 한글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연구결과, 명조체의 정확인식율이 샘물체보다 높았으며, 음절길이가 증가할 때 명조체와 샘물체에 상관없이 정확인식율이 향상되었다. 본 실험의 결과는 단어의 외곽모양 변이가 영어의 경우보다 한글 시각정보처리에서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Abstrac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word shapes on Hangul recognition, one-, two-, or three-syllable words typed in Meungzo and Saemmul fonts were briefly flashed on a screen and the rate of correct recognition was measured. The Saemmul font produces alphabets of relatively regular form but conspicuous variations in word contour particularly when the length of a word exceeds 2 syllables, while the conventional Meungzo font generates alphabets of relatively irregular form but minimum variations in word contour irrespective of word length. These aspects of word shape in Saemmul and Meungzo fonts are expected to differentially affect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of a word.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showed that a word in Meungzo font was recognized more quickly and accurately than that in Saemmul font. As an additional and interesting fording, the current experiments revealed that, for both of the fonts, the rate of correct recognition was increased as a function of word length, which implies the top-down influences like what can be predicted by an interactive activation model.

김정오(서울대학교 심리학과) ; 김재갑(서울대학교 심리학과) pp.36-5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Reicher(1969)의 강제선택과제를 사용하되 낱자선택과 음절선택을 요구하여 한글 단어재인에서 음절처리 및 낱자 지각과 관련된 처리 과정들을 검토하였다. 실험 1에서는 제시되는 자극패턴에 대한 주의창(attention window)에 따라 단어우월효과와 단어열등효과가 관찰되었고, 특히 음절이 선택 대상일 경우 단독으로 제시되는 음절이 단어나 비단어 내의 같은 음절보다 더 잘 지각되는 단어열등효과가 관찰되었다. 실험 2,3 및 4에서는 같은 과제를 사용하여 음절 맥락에서 낱자 지각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과 그 배후 지각과정들을 검토하였다. 자모 조합유형이 음절 내 낱자의 정체 파악에 체계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었고, 예상과는 달리 음절 내의 낱자들이 단독으로 제시되는 낱자 보다 잘 파악되지 않는 음절열등효과가 일관되게 관찰되었다. 본 연구의 네 실험 결과들을 상호작용활성화 모형과 초보지각자-기억자 모형에 비추어 논의하였다.

Abstract

Perceptual processes concerned with syllables and letters were examined in a forced-choice task (Reicher, 1969). Experiment 1 showed the word superiority effect, the word inferiority effect or none of such effects, depending upon the size of the attention window in word-letter conditions. Also observed in this experiment was the word inferiority effect when choices should be made between alternative syllables. Experiments 2, 3 and 4 further explored the nature of letter perception in a syllable context. We consistently observed the syllable inferiority effects, particularly for the syllables with a last consonant. Type of syllables in their combinations of consonants and a vowel was found to be very important in producing the syllable inferiority effect. Our results were discussed in view of the interactive activation and the elementary perceiver-and-memorizer model.

이두현(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김기석(고려대학교 심리학과) pp.39-5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해마의 주입력로중의 하나인 내측중격의 조작이 토끼 순막의 고전적 지연조건화의 소거와 해마의 다단위 활동, 해마 θ파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하였다. 그 결과 해마 θ파가 사라졌고, 통제 집단에 비해 소거의 저항이 일어 났는데, 특히 소거 초기 단계에서는 파지 경함을 일으켰다. 소거기간동안 해마에서 측정한 다단위 활동에 대한 분석에서는 손상집단과 통제집단간에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는 해마의 다단위 활동은 독립적인 현상임을 의미하였다. 한편 통제 집단의 소거 기간동안의 제1유형 θ파에 대한 분석 결과, 조건화가 진행됨에 따라 무조건자극 제시시점에 맞추어서 제1유형 θ파가 증가를 하다가 소거 시행에 가서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내측중격, 또는 해마 θ파의 기능은 혐오스러운 자극의 처리와 관련이 있음을 시사하는것이었다. 실험2에서는 실험1에서와 같이 지연 조건화를 시킨후 내측중격에 제1유형 θ파의 주파수대와 비슷한 8Hz의 전기자극을 가하면서 소거 절차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해마에서 제1유형 θ파가 유발되었고 행동적으로는 소거의 저항이 나타났다. 즉, 내측중격을 자극한 집단의 경우 반응률, 진폭, 면적에 대한 분석에서 소거의 증거는 거의 찾아볼 수 없었다. 해마의 다단위활동은 실험1에서와 같이 자극집단과 통제 집단간에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러한 실험1과 실험2의 결과를 어떤 단일 가설로도 설명할 수 없었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functions of medial septum and/or hippocampal θ rhythm, and multiple unit response in the hippocampus during extinction of classical conditioning of rabbit`s nictitating membrane response. In experiment 1, blocking of Hippocampal θ rhythm with medial septal lesion brought about resistance of extinction, but in initial extinction trials brought about performence deficiency. Namely, the size of response area in lesion group were less then in control group. So, former result could be explained in terms of arousal hypothesis, but latter result could not be explained. And, it was difficult to explain the result of experiment 1 with any other hypothesis. Hippocampal multiple unit response of medial septal lesion group did not differ from that of control group. This result suggest that there were no correlation between hippocampal θ rhythm and hippocampal unit response. In experiment 2, driving of hippocampal θ rhythm by electrical low frequency stimulation of medial septum brought about resistance of extinction.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analysis of peak amplitude, response area, percentage of conditioned response. Namely, the strength of resistance was very great. In the analysis of multiple unit response, the result was similar to that of experiment 1. This results could be explained with the view which assert that medial septum serve to process frustrative stimuli, but could not be explained with arousal hypothesis. And, any hypothesis could not explain both results of experiment 1 and experiment 2. So, these results should be approched with new viewpoint. In our discussion, it was presented that the approch of neural network or computational neuroscience can suggest that function of medial septum and/or hippocampal θ rhythm were related to hippocampal-neocortex resonance loop to hippocampal index model.

진영선(경북대학교 심리학과) pp.52-6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이 사용하는 두가지 문자 표기체계가 좌우대뇌반구에 의해 처리되는 양식을 두가지 단어재인과제를 이용하여 살펴보았다. 언어자극은 컴퓨터 모니터를 사용하여 화면의 중앙의 응시점을 중심으로 좌측 혹은 우측시각역에 제시되었다. 어휘결정과제를 사용한 실험 1에서는 한글의 고빈도, 고심상가의 단음절 단어에 대해 우시야-좌반구의 우세성이 뚜렷하였다. 그러나 한자의 경우에는 반구간의 비대칭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 한글을 한자에 비해, 단어는 비 단어에 비해 훨씬 빨리 재인되었다. 명명과제를 사용한 실험 2에서도 피험자들의 반응패턴은 실험 1과 유사하였다. 다만 실험 1에 비해 한글읽기의 경우 우시야-좌반구의 우세성의 정도가 증가하였다. 한국인의 언어처리의 대뇌편재화에 관한 연구는 그 특성이 판이한 두가지 문자체계를 동시에 사용하는 일본의 경우와 유사점이 많을 것으로 생각되나 아직 이론적인 모델의 결여와 경험적 자료의 불충분으로 지금까지의 연구결과들은 일관된 패턴을 보여주지 못한다. 추후 이 분야의 연구는 정상인은 물론 언어장애 집단에 있어서의 좌우대뇌반구의 언어처리의 특성을 밝히는데도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 couple of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orthography and word recognition tasks on lateralization of language processing capability of two cerebral hemispheres. In Experiment I, sixteen right-handed college students performed lexical decision task of unilaterally presented single-syllabic Hangul and Chinese strings. For Hangul characters, the latency was significantly faster for the words that were presented on the right visual field (RVH-LH). This finding is in accord with a lot of previous studies showing that LH is more dominant in processing phonetic script. But for the Chinese characters, there was no cerebral asymmetry between fight vs. left hemisphere. Although this pattern doesn't seem to support the right hemisphere's dominance of ideographic symbols, a balanced performance by both hemispheres might indicate that the LH is no better than the RH in searching Chinese lexicon for proper response. In Experiment II, it was conjectured that while word recognition in a shallow orthograhpy is mediated primarily by a phonological, prelexical code, in a deep orthography it relies on orthographic cues and phonology is derived from the lexicon. Since naming requires no access to the lexicon and may be performed by assembling the pronunciation of the word, Chinese words which is considered to be a deep orthography might rely less on the LH than Hangul words, which is relatively a shallow orthography. Here, another set of subjects named a list of Hangul and Chinese words that was drawn from the first experiment. The asymmetry pattern was quite similar with the first experiment except the fact that the size of RVF-LH advantage in Hangul reading was bigger than in the first experiment. This supports the assumption that pronouncing Hangul word highlights the LH`s capability in phonological processing while naming Chinese character relies less on the LH. The possibility of further study of the effect of different scripts and various linguistic variables on hemispheric asymmetry in language processing was discussed.

권혁철(전북 대학교 심리학과) pp.58-6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편도체 손상과 아포모르핀 또는 할로페리들의 측핵내 주입이 수동회피과제의 습득에 어떤 효과가 있는 가를 알아보았다. 또한 편도체 손상에 의한 효과가 손상 후에 이들 약물의 측핵내 주입에 의해 변화되는 가를 알아 보았다. 72마리의 흰쥐를 편도체손상유무 (2) X 투여약물(3)에 따라 6집단에 각각 12마리씩을 할당하였다. 왕복상자를 이용한 단일시행 수동회피과제의 수행은 C언어로 작성한 프로그램에 의해 기록되었다. 편도체 손상은 수동회피과제의 수행에 결함을 초래했다. 할로페리들의 측핵내 주입은 수행을 저조하게 하였으나 편도체 손상의 효과를 변경시키지는 않았다. 아포모르핀의 주입은 수행에 아무 영향을 주지 않았다. 그러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편도체 손상의 효과를 어느 정도 경감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편도체가 부적강화의 처리에 관여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편도체로부터의 입력이 측핵 도파민에 의해 조절되고 있음을 부분적으로 지지해준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1)amygdaloid lesion, (2)dopamine agonist injections and antagonist injections into the nucleus accumbens, and (3)these injection treatments after amygdaloid lesion on acquisition of passive avoidance task. Seventy two rats were assigned to six groups: (1)apomorphin injected, (2)haloperidol injected, (3)saline injected, (4)amygdala lesioned and apomorphin injected, (5)amygdala lesioned and haloperidol injected, (6)amygdala lesioned and saline injected. Performances of one-trial passive avoidance task using shuttle box were recorded by program made of C language. It was found that amygdaloid lesion impaired passive avoidance learning. Haloperidol injections into the nucleus accumbens impaired the performance but did not alter the effect of amygdaloid lesion. Apomorphin injections into the nucleus accumbens had no effect on the performance but it altered the effect of amygdaloid lesion. These results showed that amygdala is involved in the processing of negative reinforcer which is withdrawl of aversive stimulus. And it was partly supported that the input from amygdala was modulated by dopamin in nucleus accumbens.

김선주(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이만영(고려대학교 심리학과) pp.66-7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이해능력수준에 따른 억압기제의 효율성 차이를 대용어 참조과정을 통해 검증하였다. 실험 1에서는 단어재인과제를 사용하여 이해능력에 따른 잠재적인 참조어의 활성화 차이를 살펴 보았다. 그 결과 낮은 수준의 이해자는 높은 수준의 이해자에 비해 잠재적인 참조어 중 문장맥락에 맞는 적절한 참조어와 함께 맥락에 맞지 않는 부적절한 참조어의 활성화도 유지하고 있는 경향이 있었다. 실험 2에서는 검사 단어의 맥락검증과제를 실시하였는데 낮은 수준의 이해자는 높은 수준의 이해자에 비해 부적절한 참조어를 부정하는데 반응시간이 오래 걸렸다. 이 결과들은 낮은 수준의 이해자가 덜 효율적인 억압기제를 가졌다는 가설을 지지하는 결과로 논의되었다.

Abstract

We investigated whether individuals who differ in comprehension skill have differences in the the efficiency of their suppression mechanism in anaphoric reference. In experiment 1, using the probe recognition task, it was found that while more skilled comprehenders responded slower to the inappropriate referents of anaphors compared to the appropriate referents in the presence of context, less skilled comprehenders did not respond slower, suggesting that less skilled comprehender did not suppress the context-inappropriate referents.1n experiment 2, using the context verification task, it was found that less skilled comprehenders reject less efficiently the inappropriate referents. These results support the hypothesis of Gernsbacher (1988) that less skilled comprehenders have less efficient suppression mechanism.

신선희(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김기석(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김현택(고려대학교 심리학과) pp.70-82
초록보기
초록

지난 수년간 여러 보고들은 편도체가 무조건공포 및 조건공포에 관여함을 시사해 왔는며 근래에 들어서는 이 구조물을 하부핵군으로 구분하여 기능적으로 특정화하려는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편도체 중심핵은 이들 하부핵군들 중 여러 가지 공포반응을 지배하는 뇌간 영역들에 가장 광범위한 투사를 하기 때문에 공포의 표현에 관여할 것이라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그러나 공포의 습득에서 편도체 중심핵의 역할에 대해서는 상반된 주장들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포나 불안을 측정하는 여러 동물모형중에서 상승된 경악반응 절차를 사용하여, 편도체 중심핵의 가역적 손상이 공포의 습득과 표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이를 통해 공포학습에서 편도체 중심핵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공포의 습득장면과 표현장면을 분리하여 연구하기 위해 국소마취제 리도카인이 사용되었다. 실험집단으로는 리도카인의 미세 주입 시기를 훈련 직전과 검사 직전으로 구분한, 리도카인-식염수 집단, 식염수-리도카인집단, 식염수-식염수집단, 리도카인-리도카인집단이 사용되었다. 실험결과, 훈련전이나 혹은 검사전에 리도카인을 투여받은 피험동물들은 경악반응의 상승을 거의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이같은 결과를 상황의존적 인출실패 때문이라고 볼 수 없다. 왜냐하면 리도카인-리도카인 집단 역시 상승된 경악반응을 보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편도체 중심핵이 공포의 표현뿐만아니라 공포의 습득에도 중대하게 관여함을 시사한다.

Abstract

For the past years there have been not a few reports that suggested the amygdala is responsible for conditioned fear as well as for unconditioned fear. In recent years the attempts have been made to divide the amygdala into several sub-structures and to specify each of them in view of its function. And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among the sub-divisions the central amygdala takes part in the expression of fear because it projects its fibers most expensively to the brainstem areas which control a variety of fear responses. But with respect to the acquisition of fear, the role of the central amygdala is of much controversy. The present study is therefore to investigate what effects the reversible lesions of the central amygdaloid nucleus have on the acquisition and the expression of fear, using the fear-potentiated startle paradigm as an animal model for measuring fear or anxiety, and accordingly to identify the role of the centra amygdala in fear conditioning. To separate conditioning trial from test trial, the local anesthetic lidocaine was used, and so the experiment consisted of four groups on the basis of lidocaine micro-injected right before the conditioning trial or just before the test trial: lidocaine-saline group, saline-lidocaine group, saline-saline group, and lidocaine-lidocaine group. As a result, the animals which had been lidocaine-injected either before the conditioning trial or before the test trial, showed little increase in the startle responses. But the result cannot be due to the state dependent retrieval failure since the lidocaine-lidocaine group showed no fear-potentiated startle responses either. Thus, the result of the study strongly suggests that the central amygdala is involved not only in the expression of fear but also in the acquisition of fear.

조경희(성균관대학교 산업심리학과) ; 이정모(성균관대학교 산업심리학과) pp.76-92
초록보기
초록

대비정보의 처리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대비정보가 있는 글의 이야기구조와 명제표상 위계수준상에서 대비정보가 차지하는 위치는 조작하여 세개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연구결과, 어떤 이야기 구조 유형에서나(실험 1), 또한 어떤 표상위계에서나(실험 2), 대비문장이 부합문장보다 느리게 처리되었으나 재인판단은 더 빨랐다. 부합문장은 위계구조에서, 대비문장은 계열구조에서 더 빠르게 처리되었고, 재인판단은 위계구조 후속의 대비문장에서 가장 빨랐다(실험 1). 상위 표상위계에서의 대비문장의 처리가 가장 느렸으나 재인 점화량은 위계가 높을수록 크게 나타났다(실험 2). 즉, 이해자는 인과지식을 중심으로 글의 상위 표상구조를 형성하여 상위의 기대와 부합되는 정보를 빨리 처리하였고, 부합되지 않는 정보는 보다 느리게, 특히 상위추상수준의 대비일수록 더 느리게 처리하였으나, 이들 정보가 오히려 빨리 인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이 실험 외적인 명제간의 연결강도 특성에 의한 것이 아니라 실험 내적인 변인들의 조작 결과임이 확인되었다(실험 3). 실험들이 주는 이론적 의의를 글의 상위 응집성을 높이는 대비정보의 특성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Abstract

Thre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how readers process contrastive information in story texts when the types of story structures and the abstraction levels of the contrastive information within the representational hierarchy were varied. The reading time and the primed recognition latency for the contrastive and noncontrastive sentences showed following results. Longer reading time was needed for contrastive sentences than for noncontrastive sentences. Primed recognition time, however, was faster for the noncontrastive sentences. Contrastive sentences were processed slower when the mismatching was at the higher abstraction (macropropositional) level than at the lower (micropropositional) level, but it were retreived faster. The results were interpreted as supporting the hypothesis that contrastive information is encoded as a higher level proposition, is retrieved faster because of its greater discriminability and gives greater and higher level coherence to the representation of the text.

장현갑(영남대학교 심리학과) ; 윤병수(영남대학교 심리학과) ; 박순권(영남대학교 심리학과) pp.83-9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스트레스성 위궤양발생과 편도중심핵의 dopamine(DA)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두가지 실험을 실시했다. 실험1에서는 DA성 신경원을 손상시키는 6-OHDA를 편도중심핵에 주입하여 DA성 신경원을 손상시킨후 저온-구금스트레스에 의한 스트레스성 위궤양발생정도를 비교하였고, 실험2에서는 DA효능물질인 apomorphine과 DA길항물질인 haloperidol을 편도중심핵에 주입한 후 저온-구금스트레스에 의한 위궤양발생정도를 비교하였다. 실험1의 결과에서는 6-OHDA처치에 의한 편도체 중심핵 손상집단이 saline통제집단 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위궤양발생을 보여주었고, 실험2에서는 DA효능물질인 apomorphine처치집단이 saline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낮은 수준의 위궤양발생을 보여주었지만, DA수용기 차단물질인 haloperidol처치집단은 saline통제집단과 apomorphine처치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위궤양발생을 보여주었다. 위의 두실험의 결과로 미루어 볼때 편도중심핵의 DA성 신경원과 여기에서 분비하는 DA가 스트레스성 위궤양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Abstrac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entral amygdala dopamine on immobilization stress-induced gastric ulcer in rats,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experiment 1, 6-OHDA(10㎍) was injected bilaterally into central amygdala to destroy dopaminergic neurons. On 7 days after drug treatment the rats were immobilized individually in supine-restraint devicers at 4℃ for 3hrs. The results of experiment 1 were as follows: lesion of dopaminergic neurons in central amygdala aggravated the gastric ulcer induced by stress. In experimemt 2, apomorphine(10㎍), haloperidol(10㎍) and saline were injected bilaterally into central amygdala. At 30min after drug treatment the rats were restrainted at 4℃ for 3h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pormophin had an attenuating effect on the gastric ulcers, but haloperidol had an aggravating effec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opaminergic neurons and dopamine of central amygdala doe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stress-induced gastric ulcer.

홍성희(연세대학교 심리학과) pp.93-104
초록보기
초록

인간의 대칭성 지각에 대한 현존 모형은 점비교 모형과 밀도비교 모형으로 요약할 수 있는데, 이 두 모형은 모두 공간적 영역의 정보인 흑백도를 바탕으로 하는 단일채널 모형이다. 현존 단일채널 공간 모형은 대칭축으로부터 다른 거리에 위치한 정보가 인간의 대칭성 지각에 다른 영향을 미친다는 것(예, Barlow와 Reeves, 1979)을 설명하지 못한다. 따라서 대칭축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정보의 상대적인 효과를 현존 단일채널 공간 모형에 가중치의 형태로 포함시켜 인간의 대칭성 지각을 설명하려고 하였다. 실험 1에서 Barlow와 Reeves의 연구가 재현되고 그 결과를 다중회귀분석하여 가중치를 구하였다. 그러나 실험 2에서 다른 상황에서의 인간의 대칭성 지각을 수정된 가중치 밀도비교 모형이 설명하지 못하므로서, 인간 시각체계의 대칭성 지각 모형은 단일채널 공간 모형이 아니라는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단일채널 공간 모형과는 달리 공간빈도 영역에서의 정보를 이용하여 다중채널을 통해 정보를 처리하는 다중채널 모형이 대칭성 지각에서도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서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revious models of human symmetry perception can be summarized as a point-by-point comparison model (Julesz, 1971) and a density comparison model (Barlow & Reeves, 1979), both of which are single-channel model based on spatial domain. Neither of these spatial domain model, however, cannot account for the relative effectiveness of symmetric information as a function of the distance of the information from the axis of symmetry. In order to incorporate the relative effectiveness from the axis on symmetry perception into the density comparison model, the study by Barlow & Reeves was replicated and the weights for each spatial location were calculated by multiple regression. By this way, the degree of symmetry of an input image is a weighted sum of small areas, not a straight forward sum. In experiment 2, however, in which no dots in the areas near the axis was presented, the weighted density comparison model fails to account for the human observers' performance. With the other research results showing that the detection of symmetry as a combination of two orthogonal symmetries depended on the two independent symmetries (Julesz & Chang, 1979) the present result suggests that human symmetry perception may be processed through multiple channels, which differing in resolution and/or orientation.

한정수(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신선희(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김기석(고려대학교 심리학과) pp.97-107
초록보기
초록

편도체가 공포나 불안을 담당하는 신경구조물임을 밝힌 많은 연구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승된 경악반응을 이용해, 편도체의 어떤 전달물질이 공포의 표현에 관여하는 지를 밝히기 위해 노어에피네플린만 선택적으로 감소시키는 DSP-4(30㎍/2.5㎕)를 조건화 후에 편도체에 주입하였다. 그리고 요힘빈에 의한 불안이나 공포의 증가가 편도체의 노어에피네플린 감소 후에도 나타나는지를 밝히기 위해, 경악반응을 측정하기 전에 체순환적으로 요힘빈(1.25mg/kg)을 주입하였다. 조건화 후에 DSP-4만을 주입받은 동물과 조건화 후에 DSP-4을 주입받고 나서 일주일 후에, 경악반응을 측정하기 전에 요힘빈을 체순환적으로 주입받은 동물은 상승된 경악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이 결과로 편도체의 노어에피네플린이 상승된 경악반응이 나타나기 위해서 필요하고, 요힘빈에 의한 상승된 경악반응의 촉진효과는 편도체에 노어에피네플린을 증가시킴으로써 나타났다고 할 수 있다.

Abstract

In many studies, amygdala is considered to be the neural structure that is involved in fear or anxiety, in human and mammals. This paper, using fear-potentiated startle responses as a measure of fear, was to see whether noradrenergic receptors in the amygdala are involved in the expression of fear Rats were implanted with bilateral cannulae aimed at the amygdala. After the conditioning, DSP-4(30㎍/㎕) was injected to the amygdala, DSP-4 selectively produces the degeneration of the noradrenergic receptors only. In addition, we tried to find out whether or not yohimbine, which is known to increase fear and/or anxiety, can produce the potentiated startle responses even after the degeneration of noradrenergicr receptors in the amygdala. For this, before test, yohimbine(1.25mg/kg) was injected systemically. Results showed that animals injected with DSP-4 did not show the potentiated startle responses, and neither did the aniamls with DSP-4 plus yohimbine before test. It may thus be concluded that the no epinephine in the amygdala is necessary for the expression of fear.

오은미(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정찬섭(연세대학교 심리학과) pp.105-114
초록보기
초록

스트룹 과제에서 반응무관 속성의 방해에 대한 처리의 상대적 속도 가설과 자극-반응 양립성 가설을 검증해보기 위해 단어와 색이 결합된 자극과 단어와 위치가 결합된 자극에 손반응하는 실험을 실시했다. 또한, 두 스트룹 자극을 사용한 과제에서 선택적 주의의 효율성이 달라지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반응 속성이 매 시행마다 변화되는 무선절차와 일정 시행동안 하나의 속성에 대해서만 반응하는 고정절차를 사용했을 때를 비교해 보았다. 실험 결과, 단어와 색이 결합된 자극에 손반응했을 때 색이 단어보다 처리속도가 빨랐으며 두 절 차 모두에서 반응과 관련이 없는 속성에 의해 방해를 받는 대칭적 방해가 일어났다. 단어와 위치가 결합된 자극에 손반응했을 때 위치 반응이 단어 읽기 반응보다 빨랐으며, 무선절차를 사용한 경우 관련이 없는 위치가 단어에 대한 반응을 방해했다. 이러한 결과들은 스트룹 과제에서의 방해에 대한 설명으로 처리속도 자체보다는 자극-반응 양립성 개념이 더 적절하며, 단어와 색이 결합된 자극보다 단어와 위치가 결합된 자극에 선택적으로 주의를 기울이기가 쉽다는 것을 시사한다.

Abstract

Two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adaquacy of three different explanations for the Stroop effect which are based on the relative speed of processing, the stimulus-response compatibility, and stimulus internal code compatibility, respectively with a couple of modified word-color and word-position tasks using manual response. As a method of examining whether the effectiveness of the selective attention differs over two types or task, the fixed-block and random-trial procedures were used. In the fixed-block procedure, the stimulus attribute be reported was primed at the beginning of a fixed block of trials, while in the random-trial procedure, toc stimulus attribute was primed at the beginning of each trial. Processing of the color attribute was faster than that of the w attribute and symmetrical interference occured in the word-color tasks from both fixed-block and random than procedures. Processing of the position attribute was faster than the word attribute and the response to the w attribute was interfered by the irrelevant position attribute in the word-position stimulus task only from ha random-trial procedur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R compatibility is a more adequate concept to explain the interference in a Stroop task than the concept of processing speed and the attributes of word-color stimulus are more difficult to be selectively attended than those of word-position stimulus.

한정수(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김시현(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김기석(고려대학교 심리학과) pp.108-12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공포로 상승된 경악반응을 이용해, 공포나 불안을 담당하는 신경구조물인 편도체핵군 중에 하나인 편도체 중심핵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1에서는 조건화 전에 손상용 전극을 심은 후에 이틀에 걸쳐서 조건자극으로 빛(8w, 3700msec)과 무조건자극으로 발바닥 전기충격(1.0mA, 500msec)을 20번 짝지워 제시한 후에, 편도체 중심핵을 전해질 손상(2.0mA, 10sec)시켰다. 편도체 중심핵이 손상된 동물은 단순한 경악반응에 의한 반응크기와 조건자극과 경악자극 복합에 의한 반응크기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전해질 손상은 세포체뿐만아니라 축색을 모두 손상하므로, 실험1의 결과는 편도체 중심핵의 세포체손상에 의해서가 아니라, 이 부위를 지나가는 축색의 손상에 의해서 야기된 결과일 수 있다. 그러므로 실험2에서는, 세포체만 손상시키는 카이닌 산(0.1㎍/0.2㎕)으로 조건화 후에 편도체 중심핵을 손상시켰다. 손상을 받은 동물은 조건자극에 대해 상승된 경악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이 결과로 보아, 편도체 중심핵내에 뉴론이 상승된 경악반응에 관여함을 알 수 있다.

Abstract

Of several amygdaloid nucleus, the central amygdaloid nucleus seems to be related to the expression of fear. This experiment is to examine effects of the central nucleus of amygdala on the fear-potentiated startle responses. In experiment 1, monopolar tungsten for lesioning were chronically implanted into the central amygdaloid nucleus in rats. After 7 days, rats received two conditioning sessions on consecutive day, each session consists of 10 light-footshock pairing(light of 8w incandescent bulbs, 3700msec: footshock of 1.0mA, 500msec: ITI of 4min). After the conditioning, electrolytic lesion(2.0mA, 10sec) was administered to the central nucleus. One day or seven days later, rats were tested for conditioned fear by comparing the magnitude of the startle reflex to a noise burst presented either alone or in the presence of the previously fear-conditioned light. Results were that the lesioned animals showed no fear-potentiated startle responses. In experiment 2, using kainic acid(0.1㎍/0.2㎕), we lesioned cell bodies without damaging any axons after the conditioning. Results showed that animals lesioned with the kainic acid did not showed potentiated startle responses to the conditioned stimuli. Taken together, it may be said that the intrinsic elements of central amygdaloid nucleus are involved in the expression of fear.

정우현(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정찬섭(연세대학교 심리학과) pp.115-126
초록보기
초록

근접 가현운동에서 한 시점의 방향지각이 다음 시점에 누적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 이러한 누적효과의 발생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네편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각각의 실험에서, 무선적인 운동을 하는 점들 가운데 특정한 방향으로 운동하는 편향점들이 일정 비율 삽입된 여러 장면의 무선점 시네마토그램이 사용되었다. 이와같은 무선점 시네마토그램의 여러 장면을 나누어 제시할 때보다 연속적으로 제시할 때 전반적인 운동 방향에 대한 인상이 편향점들의 운동 방향쪽으로 더 기울게 된다면 이는 한 시점의 운동방향이 다음 시점의 방향 지각에 누적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실험 결과, 이러한 시간적 통합 효과는 근접 가현운동의 제약들을 만족시키면서 연속적으로 제시되어야만 나타날 수 있으며, 장면 수가 늘어남에 따라 누적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편향점이 장면에 따라 변하는 경우보다 변하지 않고 동일한 경우에, 그리고 무선점 시네마토그램의 점의 밀도가 높을 때보다 낮을 때 더 분명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근접 가현운동에서 한 시점의 방향 지각이 다음 시점의 운동 방향에 누적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근접 가현운동 방향의 누적 효과는 운동 탐지기 수준에서 이들의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Abstract

Four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emporal integration on the direction of short range apparent motion. In each trial of the experiments, a set of random-dot cinematogram(RDC)s of which dot elements move in random directions were successively presented together with a certain proportion of biased dots moving in a particular direction. The measurement of interest was whether the effect of the biased dots on the coherent global motion impression of the RDC increases as a function of the number of successively presented RDCs across time. Existence of such incremental effect was interpreted as an evidence of excitatory temporal interaction among the moving dots in short range motion. Results of the experiments show, first, that the temporal integration effect exists only when the successively presented RDCs satisfy the constraints of short range motion. Second, the effect of temporal integration in the direction of biased dots increases as a function of the number of RDC images. Third, the effect occurs, as it can be expected in the short range motion, more apparently when the biased dots moving in a particular direction ramains the same than when they are changed from one frame of RDC to another. Fourth, the temporal integration effect is greater when the density of a RDCs is low than when it is high, which can be interpreted as an indication of the reduction of the processing load associated with correspondence problem.

김재일(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김현택(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김기석(고려대학교 심리학과) pp.122-140
초록보기
초록

많은 이전 연구들은, 청시상의 일부인 내측 슬상핵의 손상이 청각 CS에 대한 조건화된 차별서맥반응, 동맥반응, 동결반응 등을 차단시킴을 보고하고, 내측 슬상핵이 청각 CS를 사용한 정서 조건화에 관여하는 신경구조물임을 밝혀왔다. 그러나, 내측 슬상핵에서 조건화 동안 MUA가 발달하고, 기억의 신경 생리학적 기제로 인정되고 있는 LTP가 일어나며, 해부학적으로 청각 CS와 전기쇼크 US를 모두 입력받는 등 단순한 출력 구조물이 아닌 가소성의 장소일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실험 1은 상승된 경악반응 패러다임을 이용하여 내측 슬상핵을 전해질 손상시켰을 때에도 조건화된 정서반응인 상승된 경악반응이 일어나는지를 살펴보았다. 먼저 청각 CS와 발바닥 전기쇼크 US를 짝지워 제시하는 조건화시행을 이틀에 걸쳐 실시한 후 내측 슬상핵을 전해질 손상받은 집단은, 모의 손상 집단이나 무처치 집단에 비해서, 차후의 검사시행때 경악반응의 상승률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실험 2는 내측 슬상핵이 정서 조건화에 있어서 단순한 회로의 일부가 아닌 가소성의 장소임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하였는데, 조건화 시행전과 검사시행전에 LTP를 차단하는 NMDA 수용기 길항제인 AP-5 혹은 saline을 쥐의 내측 슬살핵에 주입하였다. 실험결과 조건화전 AP-5 주입된 집단(AP-5/AP-5 집단, AP-5/saline 집단)은 조건화전 saline이 주입된 집단(saline/saline 집단, saline/AP-5 집단)에 비해서 경악반응의 상승률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내측 슬상핵이 청각 CS를 사용한 정서 조건화에서 가소성 구조물임을 시사한다.

Abstract

In many previous studies, it has been reported that lesions of the medial geniculate nucleus (MGN) which is the part of acoustic thalmaus blocked conditioned emotional response, such as differential bradycardiac response, blood pressure, and freezing response. So, it has been suggested that MGN is a neural structure that is involved in conditioned emotional responses. But, considering MUA and LTP are developed in MGN during conditioning and MGN receives convergent acoustic CS and electrical US input, it may be regarded that MGN is a structure of plasticity, not simply a neural structure. The purpose of this was to indentify the roles of MGN whin the neural circuit involved in fear when it used fear-potentiated startle response as a measure of fear. In experiment 1, after the conditioning that paired acoustc CS with electrical shock US, electrolytic bilateral lesions were administered to the MGN. Results were that the unoperated group and the sham surgery group showed fear-potentiated startle response, but on the other hand the lesioned group did not. In experiment 2, AP-5, which blocks LTP as a NMDA receptor antagonist, was microinjected to MGN before conditioning trials and test trial. Results revealed that the animals which AP-5 was microinjected before conditioning trials did not show potentiated startle response, but the animal which AP-5 was microinjected before test trial did. These observations consist with previous reports that NMDA receptor antagonist blocked acquisition not performance of learning. So it can be concluded that these findings indicate MGN is a structure of neural plasticity as well as a neural structure in emotion conditioning using acoustic CS and electrical shock US.

도경수(부산대학교 심리학과) pp.127-139
초록보기
초록

인과적인 조건문의 추리양상을 알아보기 위해 두 개의 실험이 수행되었다. 실험 1에서는 임의적 관계, 규제적 관계, 그리고 인과적 관계의 조건문을 주고 선택과제를 실시하였다. 인과적 관계의 조건문에서의 수행은 다른 두 유형의 조건문에서의 수행과 달랐다. 실험 2에서는 인과적 조건문을 원인이 하나인 경우, 두 개의 원인이 대안적으로 통합될 수 있는 경우, 그리고 두 개의 원인이 부가적으로 통합될 수 있는 경우로 나누어 선택과제를 실시하였다. 인과적인 조건문에서 원인이 두 개인 경우 유형에 관계없이 참후건만을 고르는 선택이 특히 많았다. 실험 2의 결과는 미분화된 인과도식이 사용되기 때문으로 해석되었다.

Abstract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xplore causal reasoning processes. Wason's selection task was used in both experiments. Arbitrary, regulative, and causal conditionals were used in Experiment I. Results of Experiment 1 showed that causal conditional reasoning is different from other conditional reasoning. Causal conditionals were furth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in Experiment 2: Single cause condition, alternative cause condition in which either of two causes can yield the consequent, and additive condition in which two causes were both needed for the consequent. Performance in the alternative condition was almost identical to that of additive condition: Subjects select only one alternative, true consequent. The result of Experiment 2 was interpreted that undifferentiated causal schema was likely to be used in causal reasoning.

김영채(계명대학교 심리학과.교육학과) ; 박권생(계명대학교 심리학과.교육학과) ; 박아청(계명대학교 심리학과.교육학과) pp.140-164
초록보기
초록

개념적 지식과 논리적 사고가 어떠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세 가지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1에서는 Wason의 카드선택과제를 이용하여 대학생의 연역추리를 다루었다. 실험 2와 3에서는 산수의 분수과제를 이용하여 국민학생의 문제해결의 계산능력수준을 분석하였다. 여기서 얻은 결론들은 다섯가지로 간추려 볼 수 있는데, (i) 논리적 사고는 추상적인 추론규칙을 사용한다기 보다는 영역구체적인 추론규칙을 사용하는 것 같으며, (ii) 추론은 경험을 토대로 습득한 전략기억에 주로 의존하며, (iii) 개념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은 범주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그리고 각 범주의 개념은 조건을 포함하는 기능에 따라 색인화되어있는 것 같이 보이며, (iv) 지식과 사고는 기본적으로 서로 독특하지만 서로는 역동적으로 상호작용하며, 그리고 (v), 이는 실용적인 것인데, 논리적 사고력을 개발할 때는 절차학습을 구체적 문제영역의 자료를 가지고 적절한 맥락에서 구체적으로 해야 하며, 언제, 어디서, 그리고 '왜'를 외현적으로 강조해야 하며, 그리고 도구적 지식이 되게 깊게 이해하게 할 필요가 있다는 것 등이다.

Abstract

Conceptual knowledgs consist of cores of concepts and their interrelations and are organized. Logical thinking for problem solving in our everyday/academic life is assumed to take several different forms such as reasoning, problem solving, critical and creative thinking depending upon the requirments of task situation. This study performed three experiments to investigate the natu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ncept and procedure. Experiment 1 used Wason s card selection task requiring deductive reasoning and employed college subjects. Experiment 2 and 3 used mathematical fraction problems with primary school students of grade 4 and 5 in Experiment 2 and grade 2 in Experiment 3. Conclusions drawn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i) People seemed to solve reasoning problems using rules specific to the domain rather than using abstract inferential rules, (ii) problem solving depended largely on the strategies memory acquired through specific experiences or generalized, (iii) conceptual knowledge and procedural knowledge was posited linked through categories and categories indexed in terms of functions including the conditions and (iv) knowledge and procedure seemed basically distinctive, but they were also found interacting dynamically and synchronically. The final pragmatic conclusion (v) would encourag procedure instruction to use domain-specific materials to teach concretely, to explicitly emphasize when, where and why of the procedure, and to help students to understand materials deeply to make knowledges meaningful and functional.

윤영화(고려대학교 심리학과) pp.141-149
초록보기
초록

본연구자의 이전연구에서 쥐의 전측 도미각피질손상은 리듐으로 야기된 사카린 미각혐오학습의 습득시 조건자극과 무조건자극간 지연이 없는 경우에는 결함을 야기시키지 않았으나 지연이 있는 경우에는 결함을 야기시켰으며 두 경우 모두에서 소거를 촉진시켰다. 본연구에서는 미각혐오학습의 습득에 결정적으로 중요한 신경구조물과 기억저장에 결정적으로 중요한 신경구조물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전측 도미각피질이 리듐으로 야기된 사카린 미각혐오학습의 파지 및 재습득에서도 중요한 신경구조물인지 알아보고자 피험동물인 쥐에게 사카린에 대해 조건미각혐오를 습득시킨 후 전측 도미각피질을 손상시켰다. 실험결과, 전측 도미각피질 손상군은 시술전에 습득한 조건미각혐오를 전혀 파지하지 못하였으나 재습득할 수 있었다. 그러나 체성 미각신피질손상군이나 유사시술통제군에 비해 재습득에 결함이 나타났으며 소거도 촉진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전측 도미각피질이 리듐으로 야기된 사카린 미각혐오학습의 기억저장에 결정적으로 중요한 신경구조물이며 미각혐오의 재습득에 중요함을 시사한다.

Abstract

In my previous experiment(1991), rats with lesions of anterior insular gustatory neocortex(AIGN) showed good acquisition in condition of no delay between saccharin solution CS and LiCl US, and showed acquisition deficit in 30 minutes delay between CS and US but in both conditions showed faster extinction compared to sham-operated on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AIGN is critically involved in the retention and reacquisition of the conditioned taste aversion(CTA) induced by LiCl. CTA was produced by pairing 0.2% saccharin solution CS with 0.15M LiCl US, then subjects were operated. Rats with lesions of AIGN cannot retention at all and can reacquire CTA but showed reacquisition deficit and faster extinction compared to ones with lesions of somatic gustatory neocortex and to sham-operated ones. The results suggest that AIGN is a critically important neural substrate in the storage and reacquisition of CTA.

조소현(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조원호(국민대학교 교육학과) pp.150-15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도피불가능한 전기쇽 이후 발생하는 통각억제 체계중 어떤 요소가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는지, 또한 naloxone(Nal)의 사전처치에도 불구하고 통각에 대한 민감성의 감소가 약물의 투여로 인한 신경화학물질의 변화 때문인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따라서 혐오성의 정도가 심한 도피불가능한 쇽을 가한후 hot-plate를 사용 통각에 대한 민감성을 측정한 결과, 훈련기에서 Nal집단과 Saline(Sal) 집단 모두 퍼센트 통각감소율이 높게 나타났다. 검사기에서는, Sal-Sal 집단과 Nal-Sal집단은 훈련기에서의 통각감소가 유지되는 반면에 Sal-Nal집단과 Nal-Scopolamine(Scop)집단은 각각의 생리식염수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도피불가능한 전기쇽 이후 통각억압 체계의 아편계와 비아편계가 선택적으로 활성화됨을 의미하고, naloxone의 사전투여 이후에 활성화되는 비아편계는 scopolamine을 투여했을때 통각감소가 역전된다는 점에 비추어 볼 때 naloxone으로 역전되지 않은 통각감소(naloxone-nonreversible hypoalgesia)는 ACh의 무스카린(muscarine) 수용기를 매개로 하여 작용했다고 할 수 있다. 이 결과는 콜린성 체계가 비아편계의 활성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신경화학물질임을 시사해준다.

Abstract

The present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xamine which component of pain inhibition system is selectively active after inescapable electric shock and whether, inspite of naloxone pretreatment, the decrease of pain sensitivity was due to the change of neurochemical substance following drug. In result of assesing the pain sensitivity on using hot-plate apparatus after severe aversiveness of inescapable shock. Nal and Sal group were higher than baseline in the % analgesic rate in training phase. In the testing phase, both Sal-Sal and Nal-Sal group were maintained hypoalgesia but, both Sal-Nal and Nal-Scop group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compared with each control group.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opioid and nonopioid component of pain inhibition system were selectively activated after inescapable shock, and naloxone-nonreversed hypoalgesia was activated by mediation of chlinergic muscarine receptor, in view of that non-opioid hypoalgesia after naloxone pretreatment was reduced by scopolamine treatment. This results suggested that cholinergic drug is an important neurochemical substance in the activation of non-opioid hypoalgesia.

윤영화(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민선호(태평양중앙연구소 향료연구실) pp.160-172
초록보기
초록

본연구에서는 각성상태나 졸린상태 또는 향이 제시되는 조건등을 사용하여 이러한 요인이 사건관련 뇌전위의 일종인 P300반응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보고자 하였다. 그러기 위하여 피험자에게 일련의 비교적 낮은 소리를 제시하는 가운데 간혹 높은 소리를 제시하면서 드물게 제시되는 높은 소리를 탐지하여 세게 하는 과제를 사용하였다. 실험1에서는 P300반응이 각성수준과 관련되는가 살펴보기 위하여 피험자에게 잠깐 낮잠을 자게 하다가 깨운 직후나 커피를 마시고 쉬게 한 후에 P300반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졸린 상태에서는 P300반응의 진폭이 감소하였고, 커피를 마시고 각성된 상태에서는 P300반응의 진폭이 도로 증가하였음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그런 조작이 P300반응의 잠재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실험2에서는 향이 지닌 각성효과나 진정효과가 P300반응의 진폭에 반영되리라 생각되어 천연향의 정유나 천연향의 정유에서 조향한 몇가지 개발한 향의 정유를 선택하여 실험1에서와 동일한 과제를 사용하여 향 제시가 P300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실험2의 결과, 여러가지 향이 P300의 진폭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즉 쟈스민과 로오즈는 P300반응의 진폭을 증가시켰으며 라벤더와 캐모마일은 P300의 진폭을 감소시켰으며 개발한 향 역시 P300의 진폭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본연구자들은 P300반응이 향이 뇌전기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민감한 측정치라 제안한다.

Abstract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rousal level and odour on the P300 amplitude. To obtain P300, subjects were requested to detect and count infrequent high-pitched tones interspersed frequent low-pitched tones(odd-ball paradigm). In experiment 1,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drousiness and arousal on the P300, amplitude P300 was obtained immediately after subjects took a nap or drank a coffee and rested. The result showed drowsiness decreased and arousal increased the P300 amplitude. Experiment 2 was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the P300 was sensitive to the stimulating or sedative effects of some odours with odd-ball paradigm. The results of experiment 2 showed odours affected the P300 amplitude, that is, jasmine and rose increased while lavender and chamomile decreased the P300 amplitude. We suggest that P300 is a sensitive measure of the effects of odour on the brain electrical activities.

김정호(덕성여대 심리학과) pp.165-177
초록보기
초록

본 논문에서는 안-밖 합치도 모형을 정보처리의 일반적 모형으로 제안하었으며 기능주의및 계산주의와 관련하여 논의하였다. 안-밖 합치도의 측정이 인간의 보다 나은 정보처리를 위한 방향으로 실용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기능주의의 실용주의 정신이 정보처리 연구에 재도입되어야 하며, 현재의 인지심리학과 인지과학의 지배적 접근법인 계산주의에 조정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Abstract

In the present paper Inner-Outer Compatibility Principle model was proposed as a general model of information processing and discussed in relation with Functionalism and Computationalism. It was emphasized that the measurement of inner-outer compatibility should be done so as to be used practically for better human information processing. In this regard it was held that pragmatic spirit of Functionalism should be reintroduced into the investigation of information processing and that Computationalism, a current dominant approach of cognitive psychology and cognitive science, needs some adjustment.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