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권유안(대구가톨릭대학교) pp.291-303 https://doi.org/10.22172/cogbio.2020.32.4.001
초록보기
초록

고빈도 음절 이웃을 가진 단어가 저빈도 음절 이웃을 가진 단어에 비해 어휘 판단 시 실험 참가자의 반응이 더 느려진다. 이러한 억제적 효과를 음절 빈도 효과라고 부른다. 음절 빈도 효과는 시각적 단어 재인 모형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다. 단어 재인 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하는데 음절 빈도 효과의 위치는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한국어를 이용한 관련 연구의 양은 다른 언어에 비해 매우 적다. 본 논문은 시각적 단어 재인 모형에서 음절 빈도 효과의 역할과 음절 빈도 효과를 다룬 한국어 연구를 소개하였다. 더욱이 본 논문은 한국어가 명확한 음절 경계와 자소 대 음소 대응을 갖고 있음에도 음절 빈도 효과가 명확하지 않은 이유와 기존 모형이 설명할 수 없었던 한국어 단어의 몇 가지 특징을 설명하였다.

Abstract

Participants who ask for conducting lexical decisions tend to respond more slowly when the presented word have higher frequency syllabic neighbors rather than lower frequency syllabic neighbors. The inhibitory effect is called as the syllable frequency effect. The syllable frequency effect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nhancing visual word recognition models. Although the position of the syllable frequency effect is very important in verifying the validity of visual word recognition model, amount of studies using Korean is very low as compared by other languages. The present article explained the role of syllable frequency effect in visual word recognition model and introduced Korean studies dealing with the syllable frequency effect. Moreover, the present paper explained some reasons of why the syllable frequency effect in Korean were not clear even though Korean has clear syllabic boundaries and grapheme to phoneme matching, and the several features of Korean word that the previous model could not account.

이고은(이화여자대학교) ; 이혜원(이화여자대학교) pp.305-318 https://doi.org/10.22172/cogbio.2020.32.4.00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시각적 단어 재인에서 공간주의가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공간주의의 영향은 자극이 제시되는 위치에 공간단서를 제시하거나(타당 단서), 자극이 제시되지 않는 위치에 공간단서를 제시하는 경우(비타당 단서)의 수행을 비교한 단서효과의 크기로 살펴볼 수 있다. 대표적 시각적 단어 재인 과제인 명명 과제와 어휘판단 과제에서 단서효과가 나타나는지, 단서효과의 크기가 단어빈도에 따라 차이가 나는지를 살펴보았다. 실험 결과, 명명 과제, 어휘판단 과제에서 유사한 크기의 단서효과가 관찰되면서 시각적 단어 재인에서 공간주의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빈도 단어에서보다 저빈도 단어의 정확도에서 더 큰 단서효과가 나타나면서 공간주의의 영향은 저빈도 단어에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단어 처리 모형의 관점에 의해 논의되었다.

Abstract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s of spatial attention on visual word recognition. A valid cue was presented at the location where target stimuli would appear (valid trials) and an invalid cue was presented at the location where target stimuli would not appear (invalid trials). As an index of spatial attention, the cuing effect was calculated as the difference in the performance of word recognition between the valid trials and the invalid trials. We investigated whether the cuing effects appeared in visual word recognition tasks, such as naming and lexical decision tasks and whether the magnitude of the cuing effects varies depending on word frequency. As a result, the cuing effects were observed both in the naming and lexical decision tasks, and the magnitude of the effects was similar across the tasks. It indicates that spatial attention affects visual word recognition. The cuing effects were greater in the accuracy of low-frequency words than in those of high-frequency words. That is, the effects of spatial attention were more pronounced in low-frequency words.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word processing model.

허주연(경북대학교 심리학과) ; 김초복(경북대학교) pp.319-328 https://doi.org/10.22172/cogbio.2020.32.4.003
초록보기
초록

인지적 유연성을 나타내는 전환비용은 현재의 과제를 준비하는 과제세트 재구성과 이전 과제세트의 영향인 과제세트 관성에 의해 나타난다. 본 연구는 단서 과제전환과 자발적 과제전환의 전환비용에 각각 단서 처리와 과제 선택 과정이 추가적으로 반영될 가능성을 배제함으로써 전환비용에 대한 과제세트 재구성 및 과제세트 관성의 영향을 정확히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참가자들에게 과제전환 각 절차에서 과제 단서와 선택 단서에 대해 반응하도록 하고, 단서를 기준으로 이전 과제세트의 영향과 현재 과제에 대한 준비기간을 조작하였다. 실험 결과, 자발적 과제전환의 전환비용은 준비시간이 증가할 때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과제세트 관성과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단서 과제전환에서는 전환비용이 과제세트 관성과 함께 감소하였으며, 준비시간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두 과제전환 절차를 통해 인지적 유연성의 서로 다른 측면을 구체적으로 규명할 수 있음을 확인한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Abstract

The switch cost, which represents cognitive flexibility, is known to be caused by task-set reconfiguration and task-set inertia. This study aimed to specifically evaluate the contributions of these two cognitive processes to switch costs in cued and voluntary task switching paradigms by excluding additional cost induced from cue- and task-selection processes. For this purpose, we developed experimental tasks that required participants to respond both to the task cue and choice cue, and the task-set inertia and preparation times were manipulated based on the cue responses. Results showed that the switch cost in the voluntary task switching decreased as preparation times increased whereas it was unrelated with task-set inertia. Reversely, the switch cost in the cued task switching decreased when task-set inertia decreased but it was not associated with preparation times. This study suggests that different aspects of cognitive flexibility can be identified through the two task switching procedures.

홍리정(연세대학교) ; 남종호(가톨릭대학교) pp.329-344 https://doi.org/10.22172/cogbio.2020.32.4.00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맞보기와 관련된 효과들이 자동적 집단화 과정으로 인한 것인지, 그리고 정서 처리 과정이 관여할 수 있는 것인지를 알아보려 하였다. 이를 위하여 두 얼굴 자극 속성을 비교하는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맞보기와 정서의 영향 관계성을 살펴보았다. 속성 판단 과제로서 실험 1은 성별 판단과제가, 실험 2와 3은 정서 판단과제가 사용되었다. 맞보는 얼굴이 결속되는 과정이 자동적이라면 맞보는 조건에서 비교 판단과제 수행이 느려질 것으로 예측되었다. 그러나 실험 1과 2에서 맞보는 얼굴이 가장 반응시간이 빨랐으며, 등지는 얼굴이 가장 느렸다. 이러한 결과는 얼굴 자극이 향하는 방향에 따라 중요한 비교 속성을 지닌 두 안면 사이의 거리가 달라져서 얻어졌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를 통제하여 실험 3을 수행하였다. 두 얼굴 간 거리를 같게 통제한 조건들을 비교한 결과, 두 얼굴이 등진 조건과 비교해서 맞보는 조건의 반응시간이 느렸다. 또한, 얼굴이 화난 정서일 때가 기쁜 정서일 때보다 반응시간이 느렸다. 얼굴 방향과 정서 간 상호작용은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맞보는 인물들은 지각 과정에서 자동으로 집단화된다는 이론이 개별 속성 처리가 지체되는 맞보기 효과를 설명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맞보기 효과와 정서는 자극들의 개별 속성을 처리하는 비교 과정에 상호독립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를 얻었다.

Abstract

It was investigated whether the effects due to facing types were related to the automatic perceptual process and whether emotion could be involved in it. We looked into what the kind of relationship was between facial emotion and types of facing in the object-feature comparison task performance. In experiment 1, the gender identification task, and in experiments 2 and 3, the emotion identification tasks were used for object-feature comparison. In experiments 1 and 2, responses were the fastest under the facing each other condition, and the slowest under the facing away condition, opposite to the hypothesis that the automatic grouping process slows down identifying the individual features. We conjectured that the distance difference created by two facing conditions, facing each other vs. facing away, might cause the performance difference. In experiment 3,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faces was controlled, so that the analysis was made on the trial conditions with the same facial distance. It was obtained that the response time under the facing each other condition was slower than facing away condition. And there was no interaction significantly between emotion and facing types, but only the main effects of facing types and emotions were significant, separately. It is suggested that the explanation that the automatic grouping process due to confronted faces bind individuals into groups results in slowing down the identifying features process, and is independent of facial emotion.

조용상(고려대학교) pp.345-354 https://doi.org/10.22172/cogbio.2020.32.4.005
초록보기
초록

편도체내에는 부신피질 자극호르몬 방출인자(corticotropin releasing factor, 이하 CRF)를 분비하는 뉴런들이 존재한다. 기존에는 CRF이 방출되면 불안 및 공포와 같은 부정적 행동결과를 초래한다고 알려져 있었으나, 최근 보상효과를 일으킨다는 상반된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전 경험에 따라서 CRF뉴런들의 활성화 효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 동물실험을 진행하였다. 유전자변형 동물들을 이용하여 광유전학적으로 편도체내의 CRF뉴런들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도록 조작하였다. 사전에 특별한 경험이 없는 상태에서 CRF뉴런들을 활성화하였을 경우 통제집단과 비교해서 행동반응에 유의미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먹이 보상물을 이용한 도구적 조건화 훈련을 마친 뒤에 CRF뉴런들을 활성화하였을 때에는 이전 행동을 지속하게 만드는 보상효과를 유발하였다. 새로운 집단의 동물들을 대상으로 공포조건화 전후로 CRF활성화가 행동에 미치는 영향도 실험하였다. 공포를 경험하기 전에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공포기억을 형성한 후에 CRF뉴런들을 활성화하면 불안 및 기피행동을 관찰 할 수 있었다. 이러한 실험결과들은 사전 경험에 따라서 행동에 미치는 CRF의 영향이 달라지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편도체의 CRF뉴런들은 정서가치를 표상하는 것이 아니라, 최근에 형성한 경험 및 기억이 더 발현되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The central nucleus of the amygdala (CeA) contains a group of cells that produce a neuropeptide, corticotropin releasing factor (CRF). The literature suggests that CRF in the CeA has a negative effect on behavior, such as increased anxiety and fear. However recent studies reported a conflicting result showing a rewarding effect of CRF. To understand how CRF lead to different behavioral effects, CRF neurons in the CeA were genetically manipulated to express a light-activated cation channel, channelrhodopsin-2, using CRF-cre mice. When the animals were initially tested to press a lever for light delivery in an operant conditioning (OP) and to visit one of two compartment for light presentation in a real-time place preference task (RTPP), CRF activation did not alter animals’ behavior at all. Stimulation of CRF neurons also failed to change animals’ anxiety levels compared to their control group in an elevated plus maze (EPM). After experiencing a lever press for food rewards for 5 days, however, CRF activation in the same mice induced rewarding effects in both OP and RTPP. Using a different set of mice, it was also examined whether CRF activation after forming fear memory resulted in negative effects on behavior. Indeed, CRF activation did not produce any effects before fear conditioning, but the same manipulation significantly elevated anxiety levels in EPM and induced aversive effects in RTPP after fear conditioning.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CRF neurons can exert either positive or negative impacts on behavior depending on prior experiences.

신은삼(연세대학교) ; 황성민(연세대학교) ; 정상철(연세대학교) pp.355-368 https://doi.org/10.22172/cogbio.2020.32.4.006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Studies have shown that stimulus representations interact in visual working memory (VWM). Using Gestalt grouping cues, we investigated how VWM representations of individual stimuli interact in grouping contexts. Two closely located colored circles (proximity) were connected or separated by a line (connectedness). These pairs were shown in memory and test arrays. Participants performed color change detection tasks in which they were asked not only to detect changes but also to locate the changed items. Color change was made to one (Experiment 1) or two (Experiment 2) item(s) in each test array. In Experiment 1, individual items grouped by both proximity and connectedness showed lower detection performance than those only by proximity. In Experiment 2, the colors of two stimuli changed in the same group (intragroup) or across different groups (intergroup). As in Experiment 1, the same grouping effect was observed in the intragroup-change condition. In addition, the change detections were better in the intragroup- than intergroup-change condition. This effect was reversed when data obtained from correctly detected (not necessarily located) trials were analyzed. Collectively, change detections of individual items differed depending on grouping strength, group membership status, and levels of data analysis, suggesting that items represented in VWM affect one another in a hierarchical structure.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