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6-9654
  • E-ISSN2733-466X
  • KCI
박태진(전남대학교) ; 박선희(전남대학교) ; 김정희(전남대학교) pp.123-143 https://doi.org/10.22172/cogbio.2008.20.3.001
초록보기
초록

언어적 자료의 심상화 특성과 비언어적 자료의 언어화 특성이 의도적인 기억 부호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사건-유관 fMRI 연구를 수행하였다. 부호화단계에서 구체어, 대상 그림, 그리고 추상패턴을 의도적으로 학습하도록 요구하면서 fMRI 영상을 구하였고 인출단계에서 재인판단검사를 실시하였다. 재인 수행 결과 그림, 구체어, 추상패턴의 순으로 기억 수행이 우수하였다. 상측 전두회(BA 6), 상측 두정피질(BA 7), 그리고 내측두피질의 세 ROI에서 신호변화율을 분석한 결과, 상측 전두회에서는 추상패턴만이 좌반구보다 우반구에서 더 큰 활성화를 보였고 구체어와 그림은 반구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추상패턴은 우반구에서 구체어와 그림보다 더 큰 활성화를 보였다. 상측 두정피질에서는 세 학습자료 모두 반구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추상패턴은 구체어와 그림보다 더 큰 활성화를 보였으며, 내측두피질에서는 세 학습자료간 차이와 반구차이가 모두 관찰되지 않았다. 학습자료간 대비를 수행한 결과, 추상패턴은 신호변화율 분석 결과와 유사하게 상측 전두회에서는 구체어와 그림에 비해 우반구에서 더 큰 활성화를 보였고 상측 두정피질에서는 구체어에 비해 양반구에서, 그림에 비해 우반구에서 더 큰 활성화를 보였다. 그러나 내측두피질에서는 학습자료간 대비 결과가 신호변화율 분석 결과와 상이하였는데, 구체어와 그림은 모두 추상패턴에 비해 양반구에서, 그림은 구체어에 비해 우반구에서 더 큰 활성화를 보였다. 전반적으로 구체어와 그림의 활성화패턴은 서로 유사하였으며 추상패턴과는 공통적으로 상이한 활성화패턴을 보였는데, 이러한 결과는 자료-특수 편측성 가설보다는 부호-특수 편측성 가설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기억 부호화의 신경기전이 학습자료의 심상화와 언어화 가능성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Abstract

To investigate how the mechanisms of memory encoding were influenced by the verbalizability of nonverbal material and the imageability of verbal material, an event-related fMRI study was performed. Subjects were asked to intentionally memorize the mixtures of concrete words, object pictures, and abstract patterns and then perform recognition judgement test. Recognition scores revealed the superior accuracy for pictures and the worst accuracy for abstract patterns. Analyses of signal change ratio at the superior PFC(BA 6), superior parietal lobe(BA 7), and medial temporal lobe revealed right-lateralized frontal activation during abstract pattern encoding, no lateralized frontal activation during word and picture encoding, and higher right-frontal activation during abstract pattern encoding than word and picture encoding. No lateralized parietal activation during encoding was observed on all types of learning materials, and higher bilateral-parietal activation during abstract pattern encoding than during word and picture encoding was observed. No lateralized, nor differential MTL activation during encoding was observed on all types of learning materials. Analyses of contrast among learning materials revealed similar activation patterns at superior PFC and superior parietal lobe but different activation patterns at MTL, showing higher bilateral-MTL activation during word and picture encoding than during abstract pattern encoding as well as higher right-MTL activation during picture encoding than during word encoding. The overall bilateral activation patterns of words were similar to those of pictures, but activation patterns of words and pictures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abstract patterns. The data support the code-specificity rather than material-specificity hypothesis and indicate that the neural mechanisms of intentional memory encoding were dependent on the types of learning materials.

박성현(광운대학교) ; 박형생(서울대학교) pp.145-166 https://doi.org/10.22172/cogbio.2008.20.3.002
초록보기
초록

일본인 학습자가 한국어 치경폐쇄음의 삼중대립 음소(평음, 경음, 격음, 각각, /다/, /따/, /타/)를 변별 학습할 때, 지각학습과제인 정체파악, 동일-상이구별 및 구두연습과제가 대립 음소 변별에 미치는 영향이 두 실험을 통해 비교 검토되었다. 세 지각학습과제의 변별학습 효과를 검토한 실험 1에서, 음소변별 향상은 정체파악과제 집단에서 가장 컸고, 그 다음 동일-상이구별과제 집단과 구두연습과제 집단 순이었다. 음소별 학습효과는 학습과제에 따라 달리 드러났다. 음소 정체파악의 오반응률 분석과 화자별 음성자극을 분석한 결과, 음소에 따른 학습효과 차이는 성대진동 시작시간(VOT)과 후행모음높이(F0)라는 음향단서에 편향적으로 반응함에 따른 결과로 해석되었다. 실험 2는 효율적인 지각학습을 모색하기 위해 두 지각학습과제(정체파악, 동일-상이구별과제)의 순차적 결합을 비교하였다. 동일-상이구별과제로 학습한 다음 정체파악과제로 학습한 조건이 그 반대의 경우보다 음소변별 효과를 더 크게 보였다. 두 실험 결과가 음소변별에 대한 선행 연구에 갖는 함의와 효율적인 지각학습 구성 가능성이 논의되었다.

Abstract

In Japanese learner's discriminative learning of the three-way phoneme distinction on Korean alveolar stop sound, the learning effects on the discrimination of distinctive phonemes by three tasks (identification, same-different discrimination, oral practice) were compared and examined through Experiment 1 and 2. In the first experiment, examining the discriminative learning effects by three tasks run independently, increment of phoneme distinction was the largest for the identification-task group and the next the same-different discrimination-task group and the oral practice group successively ordered. It was shown that the learning effect by phonemes differed depending upon the learning tasks. Inspecting the false-response patterns of phoneme identification and the acoustic stimuli produced by 6 speakers, the differential effect along three phonemes could be interpreted as a result of responding selectively to acoustic cues such as VOT and F0. The second experiment, scrutinizing more effective perceptual learning task, compared two successive combination of the identification and the same-different discrimination tasks. The learning group that learned firstly by the same-different discrimination task and secondly by the identification task, yielded phoneme discrimination effect more than the other group with the reversed task order. The implication of the two experiment on the previous studies for phoneme discrimination and the possibility of constructing effective learning tasks were discussed.

현주석(중앙대학교) pp.167-178 https://doi.org/10.22172/cogbio.2008.20.3.003
초록보기
초록

변화 탐지 과제(change-detection task)에서 시각 작업 기억에 저장된 정보는 감각 기관을 통해 유입되는 정보와 비교(comparison)되는 과정을 필요로 한다(Hyun 2006). 본 연구에서는 검사 항목이 제시된 직 후 차폐 자극을 제시하여 차폐에 의한 변화 탐지 정확도의 변화와 검사 항목에 의해 유발된 사건 관련 전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피험자는 색상을 서로 달리하는 네 개의 정사각형과 뒤이어 제시된 또 다른 네 개의 정사각형간 색상 변화의 유무를 보고하는 변화 탐지 과제를 수행하였다. 검사 자극이 사라진 후 약 17ms 후 색상 차폐 자극이 각 사각형의 위치에 제시되었다. 변화 탐지 정확도는 차폐 자극이 제시된 조건에서 저하되었으며, 검사 자극에 의해 유발된 사건 관련 전위(N2pc) 또한 그 발현 정도가 현저히 저하되었다. 이는 검사 자극에 뒤이어 제시된 패턴 차폐 자극이 작업 기억에 저장된 정보를 감각 표상과 비교하는 과정을 방해함을 의미한다.

Abstract

Change-detection necessitates comparison of visual working memory (VWM) representations with perceptual inputs (Hyun, 2006). The current study tests masking interference with consolidation of test items being compared with sample items in memory. Subjects performed a change-detection task where they were asked for reporting a color change between two sets of colored boxes. In masking trials, complex pattern masks were presented at each item position 17ms after the test display disappeared. Change-detection performance was worse in masking trials than no-masking trials, and Event-related potentials (N2pc) was virtually absent when masks were present. The interference effect observed both behaviorally and electrophysiologically supports for the presence of a comparison process between memory and perceptual inputs.

박권생(계명대학교) ; 이광오(영남대학교) ; 아베준이치(北海道大學) ; 류잉(Univ. of Pittsburgh) pp.179-202 https://doi.org/10.22172/cogbio.2008.20.3.004
초록보기
초록

단어 명명에 필요한 음운부호 생성이 표기법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검토하기 위해, 한국, 중국, 일본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한자어를 이용하여 세 개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자극단어의 제시를, 한국인 대상 실험에서는 한글로, 일본인 대상 실험에서는 칸지로, 그리고 중국인 대상 실험에서는 한쯔로 하고 명명시간을 측정하였다. 자극단어의 선명도와 빈도를 또 다른 독립변인으로 조작하였다. 명명시간 평균치는 언어에 따라 크게 달랐다. 선명도를 훼손시킨 효과와 빈도효과 역시 세 언어 모두에서 뚜렷하였으나, 이 두 변인 간 상호작용효과는 중국어에서만 약하게 관찰되었다. 선명도 훼손효과의 크기는 한국어와 일본어에서보다 중국어에서 유의하게 작은 것으로 기록되었고, 빈도효과는 한국어에서 두드러지게 작은 것으로 기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음운부호 생성과정을 거시적 수준에서 바라보면 언어 간 차이가 크지 않을 수 있으나, 미시적 수준에서 바라보면 다양한 차이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암시한다.

Abstract

Cross-linguistic differences in computation of phonological codes were explored in three experiments. Hanja words―those words used in Korean and Japanese but originated from Chinese―were presented in Hangul, Kanji, and Hanzi for Korean, Japanese, and Chinese participants, respectively. In addition to this script difference, stimulus degradation effects and word frequency effects were measured in naming latencies. High-frequency words were named faster than low-frequency words, and non-degraded words were named faster than degraded words in all three languages. The within-language interaction effects of these two variables were small enough to be neglected. However, the effect sizes of these variables varied across languages: while stimulus degradation effect was smaller in Chinese than both in Korean and in Japanese, frequency effect was much smaller in Korean than both in Chinese and in Japanese. The results suggest that even though all prints appear to be processed in the same way―as the Universal Hypothesis puts it―at macro-levels, the computation of phonological codes of Hanzi/Kanji words relies more on lexical processes and that of Hangul words relies more on sub-lexical processes at micro-level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