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6-9654
시각작업기억과 유입되는 지각정보와의 비교 처리는 매우 신속하고 즉각적임이 알려져 있다(Hyun, Woodman, Vogel, Niese, & Luck, 2003). 본 연구는 피험자에게 개체들의 특정 세부특징 차원에서 발생하는 변화를 탐지하도록 하고, 다른 무시된(ignored) 즉, 과제 무관련 세부특징 차원에서 변화를 유발시켜 무관련 변화가 탐지될 수 있는가를 검사하였다. 무관련 세부특징 탐지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표적 탐지에 따른 주의 전환과 동시에 나타나는 사건관련전위인 N2pc(N2 post contralateral component)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무관련 차원에서의 변화는 변화가 탐지된 위치로 주의 전환을 유발시키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무관련 차원에서 발생하는 변화의 개수를 한 개에서 네 개로 증가시켰을 경우 피험자는 변화가 한 개였던 경우에 비해 무관련 차원의 변화들에 의해 과제수행에 좀 더 방해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시각작업기억 표상과 유입되는 지각적 표상간의 비교는 매우 신속하고 무한용량 처리 과정인 동시에 필요한 경우, 통제적 처리 기제에 의해 선별적으로 수행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Comparison between visual working memory (VWM) representation and incoming perception has been reported to be rapid and immediate (Hyun, Woodman, Vogel, Niese, & Luck, 2003). The present study further tested if a visual change in an ignored or in other words, a task‐irrelevant feature dimension would be detected while a relevant feature dimension is paid attention for change‐detection. Electrophysiological index of change‐induced shift of attention (e.g., N2pc) indicated that the irrelevant change does not appear triggering the shift of attention to a location of the change. When increased the number of changes however, subjects were more distracted than when there was only a single change. The results indicate that comparison between solid VWM representation and incoming perception occurs in an automatic fashion but can operate selectively in a controlled manner if necessary.
Recognition memory theories have focused on the distinction between single- and dual-process models that characterize episodic retrieval decisions. Dual-process models suggest that episodic decision is contingent on two independent processes: familiarity and recollection. One outstanding question is whether the recollection reflects a distinct categorical mnemonic decision variable or a stricter criterion operation on the graded strength-of-evidence decision axis. The present study examined whether the decision variable of recollective judgment (i.e., “Remember” response) is qualitatively different from familiarity-based response by employing an adaptive biased feedback procedure that was previously used to investigate the lability of decision criterion on the continuous memory trace. The data demonstrated prominent and gradual criterion shifts for Remember response suggesting a continuous characteristics of recollective decision variable but the pattern shows a qualitative difference compared to familiarity-based recognition decisions. A potential model is also discussed.
한국어 대인동사를 이용하여 동사에 숨은 인과율 효과를 검토하였다. 우리말 대인동사 1,000여개를 Rudolph와 Försterling(1997)의 준거에 따라 분류하고 네 가지 유형별 빈도를 검토한 예비연구 결과, 독일어 및 영어의 유형별 빈도와는 사뭇 다른 것으로 밝혀졌다. 대인동사로 묘사된 48가지 사건(예, 갑은 을을 칭찬했다)에 대해 각각의 발생 원인을 적어보라고 지시한 실험 1에서는, 경험-자극 상태동사나 주체-유발체 행위동사로 묘사된 사건의 원인은 주로 동사의 목적어에 그리고 주체-객체 행위동사로 묘사된 사건의 원인은 대개 동사의 주어에 있다고 판단하는 편파성이 발견되었다. 한국어에서도 숨은 인과율 효과가 관찰된 것이다. 독해과제를 이용한 실험 2에서는 표적문장 내용이 앞 문장 속 대인동사에 숨은 인과율의 편파성과 일치 또는 불일치하는 조건의 표적문장 읽기시간을 비교하였다. 일치조건의 읽기시간이 보다 짧은 것으로 드러났다. 동사에 숨은 인과율이 글 이해에 개입한다는 뜻이다. 실험 3은 실험 2의 결과가 여타 변인의 효과일 가능성이 배제시켰다. 동사에 숨은 인과율 효과가 글 이해에 관여하는 자연스런 인지과정을 반영한다는 증거를 확보된 것이다.
A normative study and 3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xplore implicit causality of Korean interpersonal verbs. Following Rudolphn & Försterling's (1997) taxonomy, Preliminary study classified about 1050 Korean verbs into 4 types: agent-patient, agent-evocator, stimulus-experiencer, experiencer-stimulus.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the Korean interpersonal verbs differed significantly from that of German verbs. Experiment 1 presented sentences like ‘Paul praised Ted.’ and asked subjects to provide the reason why might that event happen. The cause of the event described by either agent-evocator or experiencer -stimulus verb was biased toward the object of the sentence, while that of event described by agent -patient verb was biased toward the subject, showing implicit causality effects. Experiment 2 compared reading times for the 2 types of target sentences; one type had a meaning congruent with the verbal bias of the sentence presented immediately before the target sentence and the other had a meaning incongruent with that bias. Reading times for congruent sentences were shorter than those for incongruent sentences, indicating implicit causality of the verb automatically affected cognitive processes involved in text comprehension. Experiment 3 excluded the possibility that the implicit causality effects found in Experiment 2 only reflec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2 types of target sentence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정상집단과 정신분열병 환자 집단의 부정적 정서자극에 대한 주관적인 정서경험 수준과 생리적 반응의 변화를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노, 혐오, 공포, 슬픔 및 정서를 유발하는 네 가지 부정적인 동영상 자극을 이용하여 자극이 제시되기 전과 제시되는 동안에 피부전도반응(SCR), 피부전도수준(SCL), 심박률(HR), 호흡(RESP), 추미근(CM)과 구륜근(OM)을 측정하였다. 환자집단은 정상집단에 비해 분노와 혐오 자극에 대해 낮은 강도의 주관적 정서경험을 보고 하였고, 분노정서에서 정서경험 인식의 정확률이 낮았다. 생리적인 반응의 경우 환자집단은 정상집단에 비해 분노(HR, CM), 공포(SCR, RESP, CM), 슬픔(HR, RESP)의 지표에서 낮은 수준의 생리적 변화를 보였다. 각각의 집단 내에서 안정상태와 정서 유발상태간의 생리반응을 비교하여 보면, 정상집단의 경우 분노(HR, RESP, CM), 혐오(OM), 공포(SCR, SCL, RESP, CM, OM), 및 슬픔(HR, RESP)에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고, 환자집단에서는 혐오(HR), 공포(SCR) 그리고 슬픔(RESP)에서 유의한 변화가 관찰되었다. 본 연구는 부정적인 정서 유발상황에서 정신분열병 환자의 생리적 반응은 정상인과 뚜렷하게 다른 양상을 나타내고 있지만 정서를 주관적으로 경험하는 수준은 크게 다르지 않음을 보여 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hysiological reactions and subjective experiences of schizophrenic patients against negative emotional stimuli such as anger, disgust, fear, and sadness. The responses to the emotional stimuli of each subjects were assessed by measuring and analysing the physiological signals before and during presenting negative emotional movie scenes; the parameters were the heart rate (HR), respiration(RESP), skin conductance level (SCL), skin conductance response (SCR), corrugator muscle (CM), and orbicularis muscle (OM), respectively. Patients reported that they have experienced strong emotions in responses to the stimuli of disgust, fear and sadness. The identification rate of anger only was distinguishable between the patients and the controls. The changes in the physiological responses of the patients between the resting periods and emotion-induced state in anger (HR, CM), fear (SCR, RESP, CM), sadness (HR, RESP) were less significant compared to the changes in the control group. The control subjects exhibited significantly-increased values in eleven parameters; anger (HR, RESP, CM), disgust(OM), fear(SCR, SCL, RESP, CM, OM), and sadness(HR, RESP), while the patients showed significant changes only in three parameters; disgust (HR), fear (SCR), and sadness (RESP). This study show that the physiological responses in patients apparently differ from in controls while the subjective experience cannot tell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반복 점화 과제를 이용하여 고유어 합성어의 형태소 처리와 표기 처리를 조사하였다. 실험 1은 단일어, 합성어, 무관련의 세 가지의 점화어 유형을 어두 위치에서 조작하고, 세 가지의 자극 개시 간격(SOA)에 따른 표기 처리의 변화 양상을 관찰하였다. 점화어와 표적어 간의 표기 중복은 SOA가 짧은 조건에서는 촉진 효과를, 긴 조건에서는 억제 효과를 산출하였다. 실험 2에서는 고유어의 형태소 처리를 다루었다. 형태소 중복, 표기 중복, 무관련의 세 가지의 점화어 유형을 어두와 어말 위치에서 조작하였고, 세 가지의 자극 개시 간격을 사용하여 자극쌍들을 제시하였다. 어두와 어말 위치 모두에서 그리고 세 가지 SOA 조건 모두에서 유의한 형태소 점화 효과가 나타났으며, 표기 억제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 1의 표기 촉진 효과와 실험 2의 형태소 촉진 효과는 본 연구에서 처음으로 관찰된 것으로서, 한자어를 사용한 선행 연구들의 결과는 한자어의 어휘적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모든 어종으로 일반화하기에는 문제가 있음을 시사한다.
Using the repetition priming paradigm the author investigated orthographic and morphological processing of native Korean words. In Experiment 1, monomorphemic, bimorphemic, and unrelated primes which shared an initial syllable with a target word were found to bring about facilitation for masked priming condition but inhibition for long SOA condition. In Experiment 2 morphological processing of native Korean words was examined with morphological, orthographic, and unrelated prime-target pairs. The hypothesis that size and direction of morphological priming is dependent on lexical characteristics of stimuli was also tested. Significant morphological priming was found irrespective of the position of a morpheme shared by prime and target on the three different SOAs, but orthographic inhibition was not found to be significant in any condition. The study succeeded in discovering orthographic facilitation and morphological facilitation in Korean word recognition for the first time, and this suggests that the failure to find morphological priming in previous studies might be closely related with the lexical characteristics of Sino-Korean words used as their stimuli. Based on the results, the author suggests that morphological priming is hard to find because of slow morphological processing and inhibitory orthographic processing resulting from ambiguous Kulja-morpheme correspondence of Sino-Korean words. Differences among word types and their consequences in lexical processing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