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6-9654
주체 조사 '는/은'이 관계절 문장 처리 과정에 영향을 끼친다는 김영진(1996)의 결과를 반복 확인하기 위해 두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1에서는 가운데 삽입 관계절 문자의 첫 명사에 부착된 주격 조사 '가/이'를 '는/은'으로 바꾼 구조와 두 번째 명사와 조사를 '는/은'으로 바꾼 구조를 비교하였으며, 실험 2에서는 주격 조사가 반복해서 나오는 구조와 목적어가 앞에 나오는 도치 구조에 각각 주제 조사를 삽입하여 비교하였다. 두 실험 모두 움직이는 창 방식으로 문장의 각 마디를 제시하고 피험자들이 자신의 속도대로 각 마디를 읽도록 한 후 읽기시간을 측정하였다. 실험 1과 2 모두에서 주격 조사 '는/은'이 유의하게 관계절 구조 처리 과정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왔다. 관계절 구조에 내재한 중의성 해소 과정이 이루어지는 과정에 관한 이론적 논의를 시도하였다.
Two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replicate the results that topic makers had effects on sentence processing(Kim, 1996). In experiment 1, center-embedded relative clause sentences that have topic makers('nun/un') at the first noun were compared to the same structures that have subject case makers('ka/i'). In experiment 2, 'ka/i'-'ka/i' sequence of case markings in the relative structure were compared to 'nun/un'- 'ka/i' sequence in the same structures. The moving-window presentation method were used and self-paced reading times of each words were measured. The results of the two experiments clearly showed that the topic makers significantly changed the syntactic processes. Theoretical models of syntactic ambiguity resolution processes of Korean relative clause sentences were discussed.
인터넷 정보검색을 도와줄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 그것의 유용성을 실험적으로 검증하였다. 정보검색 초보자를 위한 가이드라인(검색 도우미)은 박창호 등 (1998가)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도출하였다. 가이드라인이 지원되는 검색엔진 조건과 그렇지 않은 보통의 검색엔진 조건에 각 4명씩의 초보자가 배정되어, 인터넷에서 정보검색 과제를 수행하였다. 검색문제는 여러 영역별로 골고루 출제되었는데, 총 15문제였다. 실험 결과, 가이드라인을 참조한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더 적은 수로 더 다양한 종류의 검색어를 산출하여 더 많은 검색문제를 해결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초보자의 정보검색에 가이드라인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시사한다.
We developed guidelines to help users to search information on the internet, and tested their efficacy experimentally. Guidelines for novices on information search were derived from Park and colleagues' earlier study (1998). Search engines were provided either with the above guidelines or without them. Two groups of four novices were assigned to the guideline-provided condition and to the guideline-unprovided condition. They searched on 15 problems of various categories. The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s provided with guidelines used less number but more various kinds of keywords and solved more problems than participants without guidelines. This indicates that these guidelines could have positive effect on information search of novice users.
의식의 개입 없이 일어나는 학습인 암묵학습의 기제는 구조 추상화, 예제 약호화, 일화적 처리과정 세 가지로 나누어 설명된다. 본 연구는 한글자극을 사용하여 암묵학습의 보편성을 확인한 후, 암묵학습의 처리기제가 일화적 처리과정을 따르는지 살펴본 것이다. 또한 암묵학습에서 획득한 규칙이 언어간 전이를 일으키는지 알아봄으로써 암묵학습의 전이와 언어학습의 전이를 비교해 보았다. 실험1은 Whittlesea와 Wright(1997)의 연구 중 실험3을 한글 자극을 사용하여 반복한 것이다. 결과, 실험자극을 한글로 바꾸어도 규칙판단의 정확성은 우연수준보다 높았으므로 암묵학습은 인간이 가지는 보편적인 능력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세 조건 중 훈련자극 반복조건이 가장 낮은 정확성을 나타냈고, 표준 규칙조건이 가장 높은 정확성을 나타내었는데,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의 주장과 같이 암묵학습은 의식의 개입 없이 자동적으로 획득되는 것이 아니라 피험자의 의도에 따라 획득될 수 있다는 것으로 보인다. 암묵학습의 처리기제는 일화적 처리과정을 따른다는 선행연구의 주장을 다시 한번 증명한 것이다. 실험2는 학습시행과 검사시행의 표층구조가 다른 한글-한글 전이조건과 한글-영어 전이 조건으로 나누어 실시되었다. 결과, 학습자극과 검사자극의 심층구조가 동일하면 표층구조에 상관없이 암묵적 규칙학습이 일어난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이를 언어습득, 특히 제 2언어의 습득 현성과 관련지어 논의하였다.
People can learn knowledge without realizing what is happening, It is called implicit learning; learning with no the intervention of consciousness. The mechanism of the implicit learning has been explained by three parts: structure-abstraction, instance-encoding, episodic-processing. In this study, using Korean as stimulus, we could verify the generality of the implicit learning. The episodic-processing explanation was tested whether it is the processing mechanism of the implicit learning. In this study, we also compared implicit learning transfer to language learning by investigating whether the rule acquired in implicit learning could be transferred to other language. In experiment 1, we replicated Whittlesea & Wright (1997)'s experiment 3. This experiment consisted of 3 conditions: standard rule condition, training stimuli repeated condition, test stimuli repeated condition. In consequence, we could confirm that a general phenomenon for human being, because the accuracy of well-formedness task in Korean was above chance. As Whittlesea et al. (1997) proposed, among three conditions, training stimuli repeated condition revealed the lowest accuracy and standard rule condition showed the highest accuracy. This result confirmed that implicit learning is not to be acquired automatically without the intervention of consciousness, rather it is acquired with subjects' intention. That is, it is replicated the preceded study that processing mechanism of implicit learning is followed by episodic-processing. Experiment 2 was carried out in two parts; Korean-to-Korean transfer condition and Korean-to-English transfer condition, which have different surface structure of learning phase and test phase. This experiment proved that if learning stimuli and test stimuli have the same deep-structure, implicit learning transfer occur regardless of surface-structure. It demonstrated that even if the learning language and test language are different, implicit learning transfer could be generated cross-linguistically.
한국어 단어완성 점화에서 개념적 처리와 지각적 처리의 기여도가 단어조각 유형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표적어는 받침이 없는 두 글자 단어였고, 단어조각은 일곱가지 유형으로서 첫째 글자나 둘째 글자중 한 글자의 자음이나 모음 탈락형들(예. '가ㅁ', '거ㅜ', ㄱ시', 'ㅗ부')과 두 글자 모두의 모음 탈력형(예, 'ㄴㅂ'), 두 글자 모두의 자음탈락형(예, 'ㅔㅐ'), 둘째 글자 탈력형(예, '계')이었다. 실험1에서는 약호화단계에서 표적어를 청각적 또는 시각적으로 제시하여 양상을 조작하였는데, 단어조각 유형에 따라 양상효과가 다르게 관찰되었다. 실험2에서는 약호화단계에서 처리수준을 조작하였는데, 처리수준을 피험자간 설계(실험2A) 또는 피험자내 블록목록 설계(실험2B)에 따라 조작한 경우에는 전반적으로 처리수준효과가 관찰되었지만 단어조각유형과 처리수준간의 상호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처리수준을 피험자내 혼합목록 설계(실험2C)에 따라 조작한 경우에는 처리수준과 단어조각유형간의 상호작용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단어완성 수행에 대한 개념적/지각적 처리의 기여도가 단어조각 유형에 따라 달라지며, 개념적 처리에 상대적으로 더 의존하는 단어완성검사(예, '가ㅁ'형과 '거ㅜ'형)와 지각적 처리에 상대적으로 더 의존하는 단어완성검사(예, 'ㅗ부'형과 'ㄱ시'형)가 구분될 수 있음을 시사해준다.
Four experiments examined the effects of word fragment type on perceptual and conceptual processing in Korean word completion test. Target words were two-letter words without a final consonant. Word fragment types were manipulated in seven ways by deleting a vowel from second letter, a consonant from second letter, a vowel from first letter, a consonant from first letter, vowels from both letters, consonants from both letters, or a second letter (e.g., '가ㅁ', '가ㅜ', 'ㄱ시', 'ㅗ부', 'ㄴㅂ', 'ㅔㅐ', '계'). When study-test modality shifts were manipulated, significant modality effect was obtained in some word fragment types but not obtained in other types (Experiment 1). When semantic and perceptual study conditions were manipulated between Ss (Experiment 2A) or within Ss in a blocked list (Experiment 2B), significant levels of processing (LoP) effects were obtained but interaction between LoP and word fragment type was not significant. But when semantic and perceptual conditions were manipulated within Ss in a mixed list (Experiment 2C),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LoP and word fragment type were obtaine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perceptual and conceptual processing in word completion priming is dependent on word fragment type, and that perceptual and conceptual word completion tests can be distinguished by word fragment typ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