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탁경진(연세대학교) ; 김민식(연세대학교) pp.389-408
초록보기
초록

시각 탐색에서 모든 자극들을 동시에 제시하는 경우보다 방해자극들 중의 일부를 먼저 제시하고 이어서 나머지 자극들을 제시하면 탐색의 효율성이 더 높아지는 현상이 나타나는데, 이러한 ‘선제시 효과(preview effect)'는 시각적 표시(visual marking)를 통하여 설명되어 왔다(Watson & Humphreys, 1997). 효율적인 시각 탐색을 가능하게 하는 시각적 표시가 작업기억의 인지 자원을 사용하는지 여부와, 사용한다면 어떤 유형의 인지 자원을 사용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세 개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1에서는 시각적 작업기억 과제의 수행이 시각적 표시에서의 선제시 효과에 미치는 영향, 실험 2에서는 공간적 작업기억 과제의 수행이 선제시 효과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실험 3에서는 집행적 작업기억 과제의 수행이 선제시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실험 결과, 선제시 효과는 시각적 및 공간적 작업기억 뿐 아니라 집행적 작업기억 과제의 수행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시각적 표시가 작업기억과 독립적이며, 작업기억과 관련된 인지 자원을 소모하지 않음을 시사한다.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시각적 표시를 설명하는 공간적 억제 가설과 시간적 군집화 가설을 비교, 논의하였다.

Abstract

Visual marking is one of the mechanisms contributing to efficient processing of visual information, by deprioritizing visual attention for old items irrelevant to the behavioral goals. In other words, when some of the distractors were previewed, the search was faster than when the whole stimuli set was presented at a time, and this enhancement in search efficiency was named ‘gap effect' or ‘preview effect' by Watson and Humphreys (1997). In this study, it was investigated whether working memory affected the preview effect visual marking draws. Experiment 1 examined whether the preview effect was decreased by performing non-spatial visual working memory task as the number of previewed items increased. Experiment 2 tested whether the preview effect was affected by visuo-spatial working memory load and experiment 3 tested whether the preview effect was affected by executive working memory load. The results showed all three types of working memory load did not interfere with the preview effect. Visual marking can be considered to be independent of working memory system and it does not seem to consume cognitive resources relating working memory.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spatial inhibition and temporal grouping hypotheses.

권오영(공군항공안전관리단) ; 이강준(공군항공안전관리단) pp.409-424
초록보기
초록

상황인식이란 비행 중 벌어지는 각종 상황 및 사건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는 일로서, 비행안전에 대단히 중요한 요소이다. 정확하고 신속한 상황인식이 이루어지려면 무엇보다도 사전에 조종사가 다양한 비행상황을 경험해 보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실제비행에서는 여러 위험한 비행상황을 실행하기 불가능하거나 조건을 맞추기가 곤란하므로 비행 모의훈련장비를 이용한다. 일반적으로 비행모의훈련 장비는 비행 조작이나 각종 기재의 취급 방법을 습득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하는데 비해, 이 논문에서 소개하는 비행모의훈련 장비는 기존의 비행 모의훈련장비들과는 달리 G-LOC, 착륙접근시 착시 등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각종 비행상황에 대한 인지적인 상황인식 훈련에 초점을 맞추어 개발되었다. 논의에서는 본 개발장비의 향후 활용방안과 가능성을 다루었다.

Abstract

It is very important that pilot should be attached to correct situation awareness of diversifying circumstantial information for keeping on flight safety. Every pilot needs to attain pre-experiences on various circumstances for getting to correct and immediate situation awareness. For this goal, improving their abilities in situation awareness, we developed an unique training system, unlike the formerly existing simulators for flight training, with which we are able to focus on exercise in situation awareness. The development of this flight training system was continued with focusing on situation awareness especially in G-LOC and Ground Approach condition which may causes severe flight accident. Some possibility and the future practical use of the present system were discussed.

이형철(광운대학교) pp.425-44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Pulfrich 효과와 양안부등 그리고 SFM (structure-from-motion)이 하나의 공통된 기제에 의하여 처리되는 지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양안부등과 Pulfrich 효과 단독 또는 둘의 조합에 의하여 정의되는 순응자극인 무선점 반투명1) 원통체의 회전방향에 피험자를 순응시킨 후, SFM 기법에 의하여 회전방향이 모호하게 정의된 순응검사자극인 원통체의 회전방향을 보고하게 하였다. 양안부등 및 Pulfrich 효과에 의해 정의된 원통체에 노출된 피험자들은 순응자극의 회전방향과 반대로 순응검사자극이 회전하는 것으로 지각하였다. 뿐만 아니라, 순응자극이 Pulfrich 효과와 양안부등에 의해 상이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정의된 경우에, 순응효과는 양안부등과 Pulfrich 효과의 상대적인 강도에 따라서 체계적으로 달리 나타났다. 이러한 실험결과는 양안부등, Pulfrich 효과 그리고 SFM이 공통의 신경생리학적 기제에 의해 처리됨을 시사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research was to examine whether Pulfrich effect, binocular disparity and SFM (structure-from-motion) were processed by a common neurophysiological mechanism. Subjects adapted to a rotating semitransparent random dot cylinder whose rotation direction was defined by binocular disparity, Pulfrich effect or combination of them and reported the rotation direction of adaptation test stimulus, another rotating cylinder whose rotation direction was ambiguously defined by SFM. Subject perceived that the test stimulus rotat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at of adapting stimulus defined by binocular disaprity or Pulfrich effect. Interestingly, the adaptation effect changed systematically depending on the relative strength of binocular disparity and Pulfrich effect when the directions of adapting stimuli defined by them are in conflicts. These results imply that binocular disparity, Pulfrich effect and SFM are processed by a common neurophysiological mechanism.

이태연(한서대학교) pp.441-45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복합명사의 해석에서 수식어와 핵심어의 분리처리가 필수적인 과정인지 그리고 의미투명도와 어휘성이 분리처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실험 1에서는 점화의 시간적 과정을 분석하여 의미투명도에 따른 분리처리의 양상을 검토하였다. 복합명사의 점화효과가 자극제시시차나 의미투명도에 무관하게 관찰되어 분리처리가 복합명사의 해석에서 필수적인 처리과정이 아님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의미투명도가 높은 조건에서 수식어와 핵심어의 점화효과가 관찰되어 분리처리의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실험 2에서는 일상어와 신조어에서 현저한 속성과 기본속성의 활성화 과정을 분석하여 분리처리의 양상을 검토하였다. 일상어의 경우 어휘처리 초기에는 현저한 속성과 기본속성이 모두 활성화되었으나 시간이 경과하면서 명사결합에 적절한 현저한 속성에서만 점화효과가 관찰되었다. 그에 비해 신조어의 경우에는 현저한 속성의 활성화가 어휘처리 후기에 가서야 관찰되어 수식어와 핵심어의 의미 활성화가 복합명사의 해석에 선행됨을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수식어와 핵심어의 분리가 일상적인 복합명사의 해석에 필수적인 처리과정이 아님을 시사하며 이러한 결과를 설명하는 보다 포괄적인 복합명사 모형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Abstract

This study is plann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decomposition processes between modifiers and heads are necessary to parse compound nouns. In Experiment 1, the time courses of priming effects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patterns of decomposition processes according to compound nouns' semantic transparency . The fact that priming effects of compound nouns were found irrespective of SOA and semantic transparency implied that decomposition processes aren't necessary to parse compound nouns. But, priming effects of modifiers and heads observed in T-T and T-O conditions showed the possibility of decomposition processes. In Experiment 2, The patterns of decomposition processes were examined by analyzing priming effects of salient and default properties observed in existing and new compound nouns. In existing compound nouns, salient properties as well as default properties were activated in early processing stage, but the activation of default properties were suppressed in later processing stage. In case of new compound nouns, the activation of salient properties were found in later processing stage and the decomposition processes precedes the comprehension of compound nouns. In conclusion,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decomposition process is not always required to comprehend compound nouns and that more comprehensive models are needed to cover theses results.

이나경(이화여자대학교) ; 이영애(이화여자대학교) pp.461-475
초록보기
초록

방사성 폐기물 처리장 입지에 관한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찾기 위해 이 문제가 실제로 논의되고 있는 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감정(affect)이 위험 지각 및 위험 판단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선행 연구들처럼, 감정은 지역 사회의 방폐장 입지 의사결정에서도 중요한 예측 요인이었다. 방폐장에 대해 부정적인 감정을 가진 사람일수록 방폐장 입지에 덜 찬성하였다. 여러 개인 특성들 중 개인주의 세계관, 탈 물질주의 가치관, 주관적 정치성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개인주의 세계관 점수에서 낮은 점수를 받을수록, 탈 물질주의 가치관에서는 높은 점수를 받을수록, 자신을 보수주의자라고 기술하고 있는 사람일수록 방폐장 건설에 반대하였다. 방폐장 입지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잠재적인 낙인효과(stigma), 지각된 위험 강도, 정부와 전문가에 대한 신뢰, 및 감정이었다. 본 결과의 인지심리학적 함의, 그 활용 및 앞으로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Abstract

In order to examine the determinants of decision making concerning the location of nuclear waste repository, we conducted a survey in regions, where issues pertaining to local repository are actually raised. As previous research which indicated that affec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risk perception and risk judgement, affect was a good predictor of decision making of local nuclear waste repository. Those who had more negative affect of repository were significantly less likely to vote for local repository. Among various respondent characteristics, individualist cultural bias, post-materialist value, and self-described ideology prov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determinants. Those who scored low on an individualist cultural bias measure, those who scored high on post-materialism value, and those who described self as being conservative were opposed to the construction of a local repository. It was shown in the present study that important determinants of decision making were a potential stigma effect, perceived risk magnitude, trust in government and in experts, and affect. Finally, the implications of our results for cognitive psychologists and future investigations were discussed.

강혜진(서울대학교) ; 이동수(서울대학교) ; 강은주(강원대학교) ; 이정모(성균관대학교) ; 나덕렬(성균관대학교) ; 나동규(서울대학교) pp.477-49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해마가 관여하는 연합기억의 유형을 규명하고자 두 종류의 서로 다른 연합기억 과제를 비교하여, 해마가 활성화 되는 연합기억 과제가 어떤 과제인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합 기억의 부호화와 재인 동안 활성화 되는 영역을 정상 성인들(N=16)을 대상으로 fMRI를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연합 기억 과제의 유형에 따라, 명명가능한 선형그림 자극을 그 자극이 제시되었던 위치(좌/우)와 함께 기억하여야 하거나(그림-위치 과제), 인위적으로 짝지워진 다른 선형그림과 함께 기억(그림-그림 과제) 기억 할 것이 요구되었다. 응시 기저 조건에 비하여, 해마는 그림-그림 과제 동안 부호화와 인출 중에 활성화 되었으나 그림-위치 과제 동안은 활성화 되지 않았다. 시각피질과 좌측 전전두엽 및 두정엽의 활성화가 두 과제 모두에서 관찰되었으나 공간적 주의, 또는 탐색이 요구되었을 그림-위치 과제동안에만 우측 상소구에서 활성화가 관찰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억해야 할 정보의 유형의 특성에 따라 해마가 연합기억에 선택적으로 관여함을 시사한다.

Abstract

In this study, two different associative memory tasks were compared in order to elucidate the types of associative memory in which hippocampus is involved. Brain regions activated during encoding and/or recognition of associative memories were investigated with fMRI in two different associative memory tasks with normal heathy volunteers (N=16). Depending on the types of the task, an namable line-drawing object was to be remembered with its presentation position (left/right) (object-position task) or with arbitrarily paired another object (object-object task). In comparison to fixation rest condition, hippocampus was activated both during encoding and recognition of the object-object associative memory task, but not during the object-position associative memory task. Various cortical regions were activated in both associative tasks, including visual cortex, parietal and prefrontal regions, and cingulate. However, the superior colliculus activation was found in the right hemisphere only during the object-position associative memory task, in which spatial attention or search might be required.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hippocampus is selectively involved in associative memory tasks depending on the types of information to be memorized.

김윤현(서울대학교) ; 김정오(서울대학교) pp.499-507
초록보기
초록

We explored an effect of the Japanese' perceptual learning of Korean alveolar stop consonants(/t, t*, th/, /ㄷ, ㄸ, ㅌ/ in Korean) on discrimination of Korean bilabial stop consonants(/p, p*, ph/, /ㅂ, ㅃ, ㅍ/ in Korean). A study reported by Kim & Kim(2005) suggested that the Japanese can selectively attend to distinctive features(e.g., tense, aspirated) of Korean alveolar stops after learning these phonemes. If the Japanese attend to perceptual features of Korean alveolar stops through learning, they should be able to discriminate Korean bilabial stops more correctly, because those two consonant types have the same structure of three phonological contrasts(lenis, fortis, asperated). Our experiment showed that correct response on alveolar stop phonemes increased to 29.1%, in comparison to a pretest, after participants learned alveolar stops through a discrimination task. In particular, bilabial stop consonants, an identification rate for the bilabial stop consonants was raised to 15.8%, though these phonemes were never experienced. This transfer effect can be regarded as evidence that the Japanese can selectively attend to distinctive dimensions discriminating three phonological contrasts of Korean stops by perceptual learning.

Abstract

정혜선(한림대학교) ; 편지영(한림대학교) pp.509-527
초록보기
초록

Adams, Smith, Nyquist 및 Perlmutter(1997)는 우화(allegory)를 가지고 노인 집단과 대학생 집단의 이야기 이해 능력을 비교하여 대학생 집단보다 노인 집단에서 이야기를 더 깊고 통합적으로 해석함을 보고하였다. 그러나 이들 연구에서는 노인 집단의 교육 수준이 대학생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아서 이들의 결과가 연령의 효과인지, 아니면 교육의 효과 때문인지 불분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40대 중년 집단을 포함하고 교육 수준이 유사한 참가자를 대상으로 하여 연령에 따라 이야기 회상과 해석 능력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Adams 등에서처럼 노인 집단의 이야기 해석 능력이 대학생 집단보다 더 우수하지는 않았으나, 재인과 회상과제에서 나타났던 뚜렷한 연령 집단 간 수행 차이가 해석 과제에서는 사라졌다. 이러한 결과는 해석하기와 같은 이야기 처리의 후기 단계에서는 정보 처리 속도, 단기 기억 등의 요인보다 사전 지식과 경험의 역할이 중요하기 때문으로 보이며, 노화의 효과는 이해 과정의 단계와 처리 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을 시사한다.

Abstract

Adams, Smith, Nyquist and Perlmutter(1997) investigated the effect of aging on narrative comprehension and reported that older adults interpreted narrative texts in deeper and more integrative ways than younger adults. In their study, however, the educational level of the older adul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younger adults, making it difficult to determine whether the superior interpretation ability of the older adults was due to the increased text comprehension experiences that older adults had, as Adams et al. proposed, or whether it was due to the added education experience of the older adults. This study compared the retell and interpretation ability of older, middle-aged, and younger adults with similar level of educ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when the level of education was equivalent, older adults' interpretations were no longer better than younger or middle-aged adults' interpretations. However, the pronounced age differences observed in text recall and recognition tasks disappeared when the depth and synthesisness of their interpretations were examin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ffects of aging on text comprehension vary depending on the stages of text comprehension. It seems that although the ability to recall the contents of the texts decreases with aging, the ability to interpret the texts remains relatively intact.

곽호완(경북대학교) pp.529-540
초록보기
초록

본 논문은 자바 에플릿을 이용하여 인터넷 상에서 구동되는 감각과 지각 심리학 가상실험실습 프로그램 세트를 소개하였다. 세부적으로, 자극의 제시시간 및 자극간 시간간격의 조작은 실험실습에서 특히 중요 관건이 되므로, 에플릿 상에서 이를 어떻게 제어하는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부가하여, 시각검색과 같이 실습자의 반응을 처리하는 실험과제에서 반응시간을 측정하는 방법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ntroduced a web-based virtual lab for sensation & perception using Java Applet. Specifically, since it is critical to manipulate exposure durations and inter-stimulus intervals for lab experimentations, we discussed how to control them in the Java programming. In addition, it was also discussed how the reaction time can be measured in the tasks such as the visual search paradigm.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