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문익수(고려대학교 체육교육과) ; 김진환(고려대학교 체육교육과) pp.1-10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한 동작 순서로부터 다른 동작순서로의 양측성 학습전이에 대한 서로 다른 순서구조들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피험자들은 컴퓨터 화면에 제시된 4개의 수평선 상에서 특정한 순서들로 제시되는 "x"표시의 시각자극에 대해 엄지를 제외한 4개의 손가락으로 그와 일치하는 반응건반을 누르도록 지시받았다. 먼저 왼손으로 한 순서유형을 연습한 후에 오른손으로 두번째 순서유형을 연습하였다. 18명의 피험자들이 2개의 결하조건과 1개의 통제조건 중 하나에 무선적으로 배정되었다.(위계적 전환조건=6명, 직렬적 전환조건=6면, 동세조건=6명, 반응시간:RT 이 종속변인으로 측정되었으며, 순서의 학습이 잔여과제에 대해 수행향상도에 의해 평가되었다. 순서전환의 2가지 유형이 한 순서로부터 다른 순서학습의 양측성 전이연구에 사용되었아. (1) 위계적 : 위계집단의 전환유형은 연습유형의 동작요소들이 3개씩 군집화되어 재 배열되도록 고안되었다. 그러므로서, 전체적인 반응요소들의 순서는 재 배열되었지만 군집내의 반응요소들의 순서는 연습유형과동일하다. (2) 직렬적 : 직렬집단의 전환유형은 반응의 첫번째 시작 위치만 바뀌고 연습유형과 동일하게 고안되었다. 이 조건에서 연습조건과 전이조건의 반응요소들의 배열이 매우 유사 하지만 군집내의 동질성이 바뀌었다. 그리고 통제집단은 연습유형과는 완전히 새로운 전이유형을 제시받았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초기 연습수행에 있어서 집단간(위계, 직렬, 통제에 반응속도의 차이는 없었다 (F(2,15)=0.259, p>.05). 2. 그림에도 불구하고, 제 집단 모두 연습시행이 증가함에 따라 동작순서 학습의 유의한 연습효과를 나타냈다(F(9, 135)=20.007, p<.001). 3. 초기 연습단계에 있어, 학습조건과 반복 연습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없었다(F(18, 135)=0.618, p>.05). 4. 전이 단계에 있어, 위계집단이 직렬집단과 통제집단에 비해 월등한 수행향상을 나타냈다(F(2, 15)=28.95, p<.003). 이와 같은 사실들은 순서에 대한 내직표상이 직렬적이기 보다는 위계적으로 조직되어지며, 동작순서의 실행이, 비록 다른 효과기(본 연구에서는 다른 팔)에 의할지라도, 위계적으로 제이된다는 관점을 제시한다. 덧붙여서, 결과들은 동작의 하위단위들이 피험자들에 의해 순서의 반응간 구조가 설정되었을 때, 상호 전환될 수 있다는 관점을 지지하는 강력한 증거를 제공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ifferent sequence structures on I he bilateral transfer of learning from one sequence to another. Subjects were asked to respond to visual stimulus of a "x" mark appeared in a particular sequence on the CRT at one of four locations arranged horizontally. They were instructed to respond to the visual signal by pressing the corresponding keys with their four fingers After practicing one serial pattern for a substantial period of time with one hand, the subjects transferred to a second pattern with the other hand III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wo experimental conditions and a control condition [hierarchy(n =6). VS. linear(n =6), control(n =6)]. Reaction time constituted the dependent variable and learning of the sequence was evaluated by measuring the amount of facilitation of the performance on the transfer tasks. Two types of sequence transformations were used to study the bilateral transfer of learning from one sequence to another (1) hieararchical transfer patterns for a hieararchy group were designed in a way such that the three groups of elements of the practice pattern were rearranged. Thus. Sub-group integrity was maintained even though the overall element orders was rearranged. (2) linear: For a linear group, the transfer pattern was identical 10 the practice pattern except that the starting position was altered. In this condition, the order of elements in pattern was very similar in the initial and transfer condition, but sub-group identity was altered A third group(control group) received an entirely new pattern. The results were following (1) No statistical differences among the hieararchy, linear and control groups were found in initial training performance [F(2, 15)=0.359, p>.05]. (2) However, during the initial training phase the ANOVA revealed a significant main effect of practice trials which indicated all three group, learned the sequence significantly better as the practice trials progressed [F(9. 135)=20.007, p<.001]. (3) On the initial training phase. the ANOVA showed there was no interation between conditions and practice trials [F(18, 135) =0.618, p>.05]. (4) On the transfer phase. the hieararchy group was significantly superior 10 either the linear or control groups [F(2, 15)= 8.95, p< .003]. The findings support the notion thet the internal representation of a sequence is hieararchicalIy, rather than linearly. organized and the execution of movement sequence is controlled hieararchically even though different effector(different hand in this study). In addition. the results provided strong evidence for the notion that the subunits of movement can be interchangeable once subjects establish interval structure of the sequence.

문양호(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김기석(고려대학교 심리학과) pp.1-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소뇌피질 단소엽의 손상이 고전적 순막조건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소뇌피질 단소엽이 순막조건화에 필수적인 신경 구조물인가를 확인하고, 또한 순막조건화와 관련된 필수적인 기억흔적이 형성되는 신경가소성이 일어나는 부위인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토끼를 대상으로 순막조건화를 실시한 후 소뇌피질 단소엽을 파괴하였으며, 이어서 이전에 확립된 조건반응의 파지 및 재학습 여부, 그리고 전이효과를 검사하였다. 소뇌피질 단소엽의 손상은 신경섬유의 역행성 변성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세포체만을 선택적으로 손상시키는 Kainic acid을 미세주입하였다. 실험결과, 소뇌피질 단소엽이 완전히 손상된 집단은 손상전에 확립된 순막 조건반응의 파지 및 재학습이 불가능하였으나 무조건반응은 영향받지 않았다. 한편, 단소엽이 아닌 다른 소엽에 동일한 양의 Kainic acid에 의한 손상을 받은 통제집단은 이전에 확립된 조건반응이 존속되었다. 이와같은 본 연구의 결과는 소뇌피질 단소엽이 순막조건화에 결정적인 신경구조물임을 밝힌 이전의 연구결과들과 일치하며, 조건화 동안에 기억흔적과 관련된 신경가소성이 소뇌피질 단소엽에서 일어난다는 가설을 지지한다.

Abstract

The present experiment purports to examine effects of the cerebellar cortical simple lobule(HVI) on the classical conditioning of rabbit's nictitating membrane responses(NMR). The study examined whether the lobule HVI is an essential structure for NMR conditioning and whether it is the localized site where the critical memory trace related to classical NMR conditioning is formed. Many of the previous studies which explored the function of the lobule HVI in the MNR neural circuit have employed aspiration lesion techniques. But the aspiration may also damage inferior olive, pontine nuclus and deep cerebellar nucleus by retrograde degenerations of neural fibers as well as the simple lobule. In this study, kainic acid was micro-injected into the lobule HVI in order to overcome such porblems because the kainic acid destroys selectively the cell bodies and leave the fibers intact. Subjects were 16 rabbits. All animals were trained using standard procedures for NMR conditioning. The conditioning involves a tone(1㎑, 85㏈ SPL, 350㎳) as the conditioned stimulus(CS) with a coterminating periorbital electric shock(3㎃, 100㎳) delivered at the right eye as the unconditioned stimulus(US). Following the conditioning, the simple lobule of the right side cerebellum was lesioned. After recovery, animals received 5 days training on the right side to test for retention and reacquisition of conditioned responses. Then, animals received an additional session in which training was switched to the left side. Results show that complete lesions of the lobule HVI abolished previously established conditioning and prevented subsequent reacqusition, while unconditioned responses to US were intact. Lesions of the other cerebellar lobules did not impair the conditioning.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simple lobule is an essential part for classical NMR conditioning and that neural plasticity related to memory trace during the conditioning occurs in the simple lobule rather than in the dentate-interpositus nucleus.

정봉교(영남대학교 심리학과) ; 장현갑(영남대학교 심리학과) pp.10-1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도피불가능한 스트레스에 의해 생성되는 도피수행 결손에 대한 ACh 기제를 검토하는 것이다. 중추작용제인 항콜린성 약물인 scopolamine hydrobromide는 사전에 가해진 도피불가능한 전기충격의 방해적 효과를 제거하고, 반면에 항콜린 분해효소제인 physostigmine salicylate는 성공적으로 사전충격이 도피수행에 대한 방해효과와 유사한 결과를 산출했다. 특히 physostigmine은 사전충격과 가합적 효과를 나타냈다(실험 1). 그리고 scopolamine에 의한 도피수행 결손제거가 상태의존에 기인하지 않을 가능성이 확인되었다(실험 2). 마지막으로 도피행동에서 중추작용제인 scopolamine이 physostigmine에 대해 길항적 효과를 보였다(실험 3). 결론적으로 도피불가능한 전기충격의 효과는 뇌의 ACh수준 변화와 연관지을 수 있다. 이런 결과는 통제불가능한 스트레스에 의해 야기되는 도피수행 결손을 설명함에 있어서 "ACh 가설"을 지지해준다. 이런 맥락에서 도피수행결손 생성에 있어서 ACh의 기제 및 monoamine들과의 상호작용의 가능성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stigation was to the potential role of acetylcholine(Ach) in escape interference in rats produced by inescapable shock. The centrally acting anticholinergic, scopolamine hydrobromide(1.0mg/kg) eliminated the disruptive effects of previously adminstered inescapable shock. In contrast, the anticholinestrase, physostimine salicylate (0.1mg/kg) successfully mimicked the effects of inescapable shock. The escape interference effect of inescapable shock was facilitated by treament with physostigmine(Exp.1). The elimination of the escape deficits by scopolamine administration might not be a result of asymmetrical state dependence(Exp.2). The centrally acting scopolamine substantially antagonized the effecsts of physostigmine(Exp.3). It was concluded that inescapable shock is involved in central Ach changes. This result supported the "Ach hypothesis" in the explanation of the escape deficits of the rats following uncontrollable stress. It was speculatively argued that inescapable shock might activate septo-hippocampal behavioral inhibition system, which is mediated by an increase in Ach activity.

이형철(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정찬섭(연세대학교 심리학과) pp.11-20
초록보기
초록

깊이지각과 단일상 형성에 대한 접합이론과 억압이론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Wolfe(1986)모형의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해 두편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첫번째 실험에서는 접합이 깊이지각의 필수적인 선행조건인가를 밝히기 위하여 대응상대가 없는 자극을 피험자에게 제시하였다. 두번째 실험에서는 Wolfe의 양안경쟁체제와 접합체제가 독립적인가를 검증함으로써 양안경쟁이 항상 일어나는 것인가를 밝히기 위하여 양안경쟁체제만 활성화시킬 수 있는 자극과 양안경쟁체제와 접합체제를 모두 활성화시킬 수 있는 자극에서의 깊이지각현상을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피험자들은 대응상대가 없는 자극에서 깊이를 지각하였다. 또한 양안경쟁체제와 집합체제를 모두 활성화시키는 자극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깊이지각현상이 양안경쟁체제만 활성하시키는 자극에서 나타났다. 이러한 실험결과는 접합이론과 달리 접합이 깊이지각의 필수적인 선행조건이 아님을 시사한다. Wolfe의 주장과 달리 양안경쟁체제와 접합체제가 독립적이 아니며 따라서 양안경쟁이 항상 일어나는 것이 아님을 시사한다.

Abstract

Two expetiment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fusion theory, the suppression dveory, and the Wolfe's model of stereopsis. In the first experiment. dichoptic stimuli having no interocular counterpart were presented to the subjects in order to test the necessity of fusion as an essential prerequsite for stereoscopic depth perception. In the second experiment, dichoptic stimuli designed to activate only rivalry pathway but not stereoscopic pathway in the Wolfe's model were presented to the subjects to test whether suppression could 6e a necessary condition for binocular single vision. Results of the experiments show that first, subjects perceive depth in the stimuli which have not interocular counterpart. Second, subjects perceive depth in the stimuli that activate only the rivalry pathway. The results imply that fusion is not a prerequisite for the depth perception, that unlike the assumption of Wolfe's model rivalry pathway is not independent of stereopsis pathway and finally that binocular rivalry does not always occur.

장현갑(영남대학교 심리학과) ; 임호찬(영남대학교 심리학과) ; 장경희(영남대학교 심리학과) pp.18-2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흰쥐에 있어서 배내측 시상핵의 손상이 인지적 학습과제인 미로학습과 정서적 학습과제인 조건회피 학습의 수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가를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Hebb-Williams미로학습과제에서 배내측 시상핵 손상군은 통제군에 비해 유의미하게 많은 오류수를 보여주었고, 둘째, 일방 조건회피학습에서도 손상군은 통제군에 비해 학습수행력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세째, 미로학습에서 손상동물은 학습 제1일째에 비해 제2일째에 오류수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지만 조건회피학습에서는 제1일째와 제2일째 사이에 별다른 변화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배내측 시상핵이 이 인지적 학습과제의 수행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정서성이 요구되는 학습과제의 수행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orsomedial thalamic nuclei lesions on cognitive learning task(eq. maze learning) and emotional learning task(eq. conditional avoidance learning) in the r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more errors than control group in the Hebb-Williams maze task, Second,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learning ability than control group in the one-way conditional avoidance learning. Third, in the maze learning, experimental group showed reduced errors in the second day learning compared to the first day learning score. But, in the conditional avoidance learning, does not showed any difference between two days learning scor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dorsomedial thalamic nuclei might be related to emotional learning task, as well as cognitive learning task.

곽호완(존스 홉킨스대학교) ; 김정오(서울대학교 심리학과) pp.21-36
초록보기
초록

서로 얽히지 않은 기본 선분 패턴들을 사용하여 시각적으로 제시된 곡선의 추적에 관여하는 기본 처리과정들이 무엇인지를 두 실험을 통해서 밝히고자 하였다. 실험 1의 피험자들은 한 선분이 연속적인지, 아니면 하나 또는 두 틈때문에 불연속적인지를 빨리, 정확히 판단해야했다. 선분의 복잡성, 틈의 중복성, 두 점 거리 및 틈 거리(gap distance)의 효과가 검토되었다. 선분에 틈이 있는 시행과 그렇지 않은 시행 모두에 있어서 평균 반응시간은 두 점 거리, 즉 해당 선분의 끝에서 끝 간의 직선 거리와 함께 선형적으로 증가하였다. 두 점 거리는 선분의 복잡성과 상호작용하였다. 곡선에 따라 거리와 더불어 반응시간이 증가한다는 이러한 결과는 Ullman(1984)의 곡선 추적하기 (curve tracing)가설과 일치한다. 그러나 틈이 있는 시행이 평균 반응시간은 틈 거리, 즉 중앙점과 틈 간의 거리와 함께 선형식으로 증가했디. 봄이 둘이 있는 시행의 경우 그 반응시간은 틈이 하나 있는 시행의 반응시간 보다 훨씬 빨랐다. 틈이 하나 있고 두개의 X가 있는 반원을 사용한 실험 2는 곡선 추적하기 과정이 소진적(exhaustive)인지 자기종료적(self-lerminating)인지를 검토하였다. 이 실험에서도 동일 시행의 평균 반응시간은 두 X들 간의 거리와 더불어 선형적으로 증가한 반면, 상이 시행의 경우 그 평균 반응시간은 이 거리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았다. 두 실험의 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틈 거리와 틈 중복성의 효과는 자기종료적 곡선추적하기 과정에 의해 가장 잘 설명된다.

Abstract

Several possible operations on visual curve tracing were investigated using elementary stimuli without interweaving curves. Experiment 1 required subjects to determine whether a line segment was connected or disconnected by one or two gap(s). The effects of line complexity, gap redundancy, two-point distance, and gap distance were assessed. Mean response time for both gap and no-gap trials increased linearly with two-point distance (i.e., linear distance between the ends of the line segment). Furthermore, two-point distance interacted with line complexity. Therefore, response time increased with the distance along the curve, consistent with the notion of "curve tracing"(Ullman, 1984). In the gap trials, however, mean response time increased linearly with gap distance (i,e.. distance between a central point and a gap). Furthermore, mean response time for double-gap trials was faster than that for single-gap trials. Using a half circle with a gap and two Xs. Experiment 2 tested whether the curve tracing operation is carried out by an exhaustive or by a self-terminating process. Again, mean response time in same trials increased linearly with the distance between two Xs. However, mean response time in different trials remained unaffected by the distance between two Xs. Taken together, effects of gap distance and gap redundancy are best explained by a self-terminating curve tracing process.

장현갑(영남대학교 심리학과) ; 박순권(영남대학교 심리학과) ; 강성군(영남대학교 심리학과) pp.26-3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격리성장에 의해 야기되는 격리증후군 가운데 가장 두드러진 행동특징으로 간주되는 과잉공격성에 reserpine투여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생후 21&#x00B1;1일에 이유시킨 생쥐(A/J혈통)를 57일간 격리사육시키고 약물처치전 공격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사전검사에서 공격성을 나타낸 격리군과 집단군에게 reserpine(2.5mg/kg)을 투여하고, 공격성의 행동지표인 꼬리치기 반응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1) 격리군이 집단군에 비해 높은 공격성을 나타내었다. 2) reserpine 투여에 의해 격리군과 집단군 모두에서 공격성이 유의미하게 감소되었다. 이와같은 연구결과는 diazepam투여에 의해 격리동물의 공격성이 감소된다는 본 연구자들의 이전 연구(장현갑 등, 1988)를 지지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reserpine treatment on the isolation-induced hyperaggression in A/J strain of albino mice. Male mice were separated from their own litters on the weaning day(21&#x00B1;1 days) and reared in isolation or in group for 57days. The behavioral index of aggression is the tail-rattling(TR) response to the opponent animal surrounded by a wire screen. In the pretest, both isolation and group animals were exposed to the opponent animal and TR responses were observed. Mice which showed TR response in the pretest were tested after reserpine(2.5mg/kg) injection. The present results are as follows: 1) isolation-reared animals showed higher aggression than those of group-reared animals in the pretest 2) reserpine treatment effectively reduced the occurrence of TR response in both isolation-reared and group-reared animals.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our previous study(Chang, et al., 1988) that diazepam treatment decreased the isolation-induced hyperaggression.

윤영화(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김현택(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한정수(고려대학교 심리학과) pp.34-39
초록보기
초록

순막조건화에 관련된 신경회로에서 소뇌가 결정적으로 중요한 구조물이라는 실험적 증거가 축적되었으며 소뇌로 들어가는 주된 입력중 하나인 등상섬유가 무조건자극정보를 소뇌로 전달할 것이라는 이론이 제안되었다. 등상섬유는 하올리브에서 기시하며 특히 눈가의 체감각정보를 받는 영역이 하올리브의 문내측 부위이다. 본연구는 순막조건화에서 하올리브의 역할을 규명하기 위하여 소리를 조건자극, 안와주변전기쇼크를 무조건자극으로 사용하여 토끼의 오른쪽눈을 순막조건화시킨 후 문내측 하올리브를 손상시켰다. 2주일간의 회복기간후 재훈련시켰다. 실험결과, 문내측 하올리브가 손상된 피험동물들은 오른쪽눈의 조건반응의 파지 및 재학습이 불가능하였으며 왼쪽눈 역시 학습되지 않았다. 이는 하올리브가 순막조건화에 관련된 신경회로에서 중요한 구조물임을 나타낸다.

Abstract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the cerebellum is a critically important structure for the conditioning of nictitating membrane response(NMR). The aim of the experiment was to determine whether inferior olive is part of a neural circuit which provides unconditioned stimlus(US) information to the cerebellum during NMR conditioning. Rabbits were lesioned on the inferior olive after they were conditioned using tone as conditioned stimulus(CS) and periorbital shock as US. And then 2-week of recovery period was followed by retraining period. Lesions of the rostro-medial portions of the inferior olive(rmIO) abolished the conditioning and prevented subsequent acquisition on either side. The lesion had no effect on the performance of the unconditioned response. Lesions of the lateral portions to and those of dorsal portions above the rmIO did not impair NMR conditioning. The results suggest rmIO is an essential part for the NMR conditioning.

이만영(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김영선(고려대학교 심리학과) pp.37-4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사람들이 색채감각을 기술할 때 사용하는 각종 색채명칭과 형용사들이 다양한 색채에 대하여 어떻게 작용되는지를 관찰하고 이 관찰자료에서 추출될 수 있는 차원의 수와 내용을 탐색해 보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색채공간에서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는 색채표본들에 대하여 각종 색채서술어들이 얼마나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가에 관한 평정반응을 구하고, 이 자료를 요인분석하여 색채의 심리적 차원을 탐색하려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색채의 심리적 차원은 전통적으로 색채심리학자들이 주장해온 것과는 달리 색상, 명도 및 채도의 차원들이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색상차원의 하부차원인 색상별 요인들 즉 "적색도", "청색도", "녹색도" 그리고 "황색도" 등이 나타났다. 그러나 청색도와 녹색도는 "녹&#x00B7;청색도"로 색채의 분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나타나는 경향도 있었다. 이는 이만영(1983)의 연구에서 우리나라 피험자들에 있어서 녹색계통과 청색계통의 색채가 잘 분화되지 않는다는 것과 일치하였다. 그리고 색채의 차원인 색상, 명도, 채도의 세차원이 서로 분리되어 색채의 심리적 차원을 기술하는 것이 아니라 이 색채 자극 자체의 총체적 속성에 의해 지각됨을 보여 주었다. 이는 "고동색도", "암청색도" 등의 차원에서 색상, 명도, 채도의 차원이 서로 공유되어 있음을 보여 주었다. 이것은 우리의 색채감각과정이 색상, 명도 및 채도의 세차원이 아닌 다른 분석 차원을 갖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Abstract

Brightness, hue, and saturation have been belived as fundamental dimensions of color perception. The notion has recently been confirmed by empirical evidences using MDS, though a few conflicting results showed itself. The present study was to determine the dimensions underneath the responses of color description with various color names and adjectives, using factor analysis. The rating responses to 77 color patches randomly sampled from Panton Color Book, with 67 predicatives was analysed, appling principal component and Varimax rotation, for each of six observers. The major dimensions coming out from the analysis were not brightness, hue, or saturation. There was a tendency that brightness, hue, and saturation were confused each other into new confounded dimensions such as "Clear-muddiness". "Dark-blueness", and "Dark-brownness". Another tendency was that brightness was devided into "blackness" and "grayness" and hue into "redness", "yellowness", "greenness" and so forth.

윤영화(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김기석(고려대학교 심리학과) pp.40-47
초록보기
초록

순막조건반응의 학습 및 파지에 소뇌가 결정적으로 중요한 구조물임이 밝혀졌다. 이때 하올리브의 문내측부위에서 기시하는 등상섬유가 무조건자극정보를 소뇌로 전달하는가를 규명하기 위하여 왼쪽 문내측 하올리브에 만성적 전극을 심은 후 회복시키고 나서 소리를 조건자극, 안와주변전기쇼크를 무조건자극으로 사용하여 오른쪽 눈을 조건화시켰다. 그후 심어둔 전극을 통하여 하올리브를 손상시키고 그 다음날부터 재훈련시켰다. 실험결과, 왼쪽 문내측부위가 손상된 동물들은 재훈련기간동안 조건자극과 무조건자극을 짝지워 제시하는데에도 오른쪽 눈의 조건반응율이 여러회기에 걸쳐 점차 감소하여 소거와 같은 현상을 보였으며 왼쪽눈의 학습도 방해되었다. 그러나 문내측 하올리브보다 배측이나 외측부위의 손상은 순막조건반응의 파지 및 왼쪽 눈으로의 전이훈련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 결과는 순막조건화에 소뇌가 결정적으로 중요한 구조물이며 이때 문내측 하올리브에서 기시하는 등상섬유가 무조건자극정보를 소뇌로 전달함을 나타낸다.

Abstract

Classical conditioning of the nictitating membrane response(NMR) of rabbits has been shown to be critically dependent upon the cerebellum. The rostro-medial portions of the inferior olive(rmIO) receive facial somatosensory information and relay it to the cerebellum. The present experiment was conducted to answer the question of whether inferior olive is part of a neural circuit which provides unconditioned(US) information to the cerebellum during NMR conditioning. After lesion electrodes were implanted in the inferior olive of the rabbits, then they were conditioned by pairing tone as conditioned stimulus(CS) and periorbital shock as US. Lesions were then made through the chronic electrode and reconditioning was attempted from the next day on. The lesions of the rmIO caused a previously conditioned NMR to decrease slowly in CR percentile even with continued CS-US pairing. This phenomenon is similar to extinction of the learned response. The lesion had no effect on the unconditioned response. Lesions of the lateral portions to and dorsal portions above the IO did not affect the conditioned NMR.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hypothesis that the cerebellum is a critically important neuronal structure of the NMR learning and US information is conveyed to the cerebellum by the climbing fiber from the inferior olive.

조옥경(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한정수(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김기석(고려대학교 심리학과) pp.48-56
초록보기
초록

도파민 효능제인 L-dopa를 쥐에게 투여하면 강화와 짝지어지지 않은 부적절자극을 무시하는 주의 과정에 장애가 나타난다. 이같은 장애는 청반을 파괴하여 대뇌 노어에피네프린계의 이상을 초래한 경우에도 나타나므로 청반손상 후에 L-dopa를 투여하면 주의장애가 심해질 것으로 예상하였다. 왕복상자에서 회피반응을 쥐에게 학습시킨 후 검사시행에서는 훈련에 사용되었던 소리자극을 전기쇼크없이 제시하는 중간중간에 부적절자극인 빛자극을 무선적으로 제시하였다. 실험 결과, L-dopa집단이 주의장애를 보였고 청반손상집단은 주의장애가 없었으나 청반손상과 L-dopa 투여가 같이 처치된 집단은 부적절자극을 무시하는 능력에 상당한 장애를 보였는데 이는 L-dopa 단독 투여 효과를 훨씬 넘어서는 것이었다. 이같은 결과는 주의과정에 도파민과 노어에피네프린이 상호작용할 가능성을 시사하며 이는 정신분열증 환자에서 나타나는 주의장애에 대한 동물모형을 제시해 줄 수 있다고 생각된다.

Abstract

The attentional process by which animals learn to ignore an irrelevant stimulus was examined after the treatment with L-dopa or bilateral electrolytic lesions of locus coeruleus(LC). Rats received daily 100 trials of two-way avoidance training in which each trial was initiated by a 10-sec tone stimulus and terminated either by a shuttle response during the tone(avoidance) or by a response during the electric shock(escape). The training sessions continued until the animals met a criterion of eight avoidance responses during any ten consecutive trials. The same rats then received a 50 trials test session. A light, which was irrelevant because it had never been paired with shock, was randomly presented during the test period. The administration of L-dopa produced marked impairment in tuning out the irrelevant stimulus, but LC lesion group did not show any attentional deficits. When L-dopa injection was superimposed to LC lesions, the deficit was increased. It may be interpreted that the result is due to an interaction between the noradrenergic and dopaminergic system. This interaction in ignoring an irrelevant stimulus may provide an animal model of selective attention deficit observed among some schizophrenic patients.

이관용(서울대학교 심리학과) ; 이태연(서울대학교 심리학과) pp.49-63
초록보기
초록

반복효과는 인간의 일상적인 개념형성과 어휘형성에 관한 연구들에서 의미점화효과와 함께 어휘집의 구조와 특성을 밝히기 위해 널리 연구되어 왔던 현상이다. 본 연구는 세 실험을 통해 반복효과를 설명하는 기존의 일화이론과 어휘접근이론의 가정을 검토하여 이들의 한계를 제시하고, 이에 대한 새로운 대안적 모델로서 이원접근의 이론적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우선 실험 1-a와 실험 1-b에서는 연속절차를 사용하여 항목이 반복되는 제시되는 간격이 증가함에 따라서 단어 및 비 단어의 반복촉진효과가 어떤 형태로 변화하는지를 검토하였다. 실험결과, 어휘접근이론의 설명과 달리 비단어에서도 유의미한 반복촉진효과가 관찰되었으나, 일화이론도 일화적 맥락이 변화함에도 불구하고 반복효과가 감소하지 않는 실험결과를 잘 설명하지 못하였다. 그에 따라 실험 2에서는 자극제시차에 따른 반복회수와 자극쌍의 의미관계를 조작하여 앞서 두 이론과 새로 제안된 이원모형의 가정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반복효과는 일화적 요인과 어휘적 요인을 모두 포함하는 이원모형에 의해 더 적절히 설명됨이 증명되었다. 결론적으로 반복되어 제시되는 어떤 대상이 갖게 되는 일회적 맥락이나 그 대상이 사전에 갖고 있는 어휘적 표상구조 자체에만 의존하지 않으며, 일화적 부호와 의미적 부호의 상호 촉진적 송환을 통해 일어난다고 볼 수 있다.

Abstract

The repetition effect has been studied widely in the studies on concept formation and lexical formation for uncovering the nature of lexical structure and process, as well as semantic priming effect. This study suggested some constraints of two existing theories, episodic theory and lexical access theory, through examining their assumptions and proposed the dual theory as alternative and testified its assumptions. Experiment 1-a and 1-b was conducted to see how the facilitatory effect of repetition was dampening out as the lags of item repetition was increased. Resul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petition effects of even nonwords at lag 10 conditions opposed to assumptions of lexical access theory, but episodic theory also couldn't explain no decrement in the repetition effects of words and nonwords even though their episodic context is largely changed as the lags is increased. Based on these results. Experiment 2 was planned to test assumptions of the dual approach proposed were and two existing theories by manipulating the number of repetition and semantic relations of stimulus pair as SOA conditions were changed. Experiment 2 accepted the dual approach as the best model of explaining it's results. In conclusion. the repetition effect is not depended on episodic context involved in repeated stimulus or on its lexical structure itself, but the product of interactional facilitation of episodic codes and semantic codes.

김혜경(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김기석(고려대학교 심리학과) pp.57-65
초록보기
초록

토끼의 순막반응을 사용한 흔적조건화의 습득과 소거에 해마손상이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해마손상동물과 모의시술 통제동물은 7일간 흔적조건화 훈련을 받았고, 3일간 소거시행을 받았다. 해마손상은 흔적조건화 습득에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소거시행에는 영향을 주어, 해마손상동물은 모의시술 통제동물에 비해 평균 조건반응율이 높았다. 통제동물의 경우 소거시행시에 반응개시 시간이 점점 늦어지는데 반해 해마손상동물은 조건화시행때의 반응개시시간과 비슷한 수준을 계속 유지하였다. 이같은 결과는 해마가 흔적조건화에 필수적으로 관여하는 구조물은 아니지만 소거에는 관여한다는 것을 나타내며, 시간정보처리면에서 해마가 부적절자극을 배제하는 주의과정과 관련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Effects of hippocampal lesions on the acquisition and extinction of classical trace conditioned responses were examined using the rabbit nictitating membrane preparation. After the lesion, rabbits received trace conditioning for 7 days and then were given extinction sessions for 3 days. During the trace conditioning, hippocampal lesion had no effect on the acquisition of response and onset latency. During extinction, however, the hippocampal lesioned rabbits showed significantly more responses than those of the sham-operated ones. And the lesioned showed no change in mean response latency, while the sham-operated exhibied progressive increase in the latency. The results suggest that hippocampus is not necessary for trace conditioning but involved in extinction process. Discussion was made within the context of the temporal processing approach which involves the hippocampus in attention process that enables the organism to learn to ignore irrelevant stimuli.

진영선(경북대학교 심리학과) pp.64-78
초록보기
초록

한국어-영어 병용사들에게 한가지 언어에서의 점화단어를 150msec동안 제시한 뒤에, 다른 언어에서의 단어나 비단어를 보여주고 어휘결정을 하도록 요구하였다. 목표단어가 먼저 제시한 단어의 번역어(translate)이었던 경우, 무 관련된 목표단어(untelated)에 비해 분명한 점화효과(96 msec)를 보였다. 또한 번역어와 의미적으로 연합된 목표단어(associated) 역시 비록 적기는 하지만 유의미한 점화효과 (53 msec)를 나타냈다. 두가지 유형의 목표와 목표언어 모두에서, 점화효과는 추상적인(abstract) 단어쌍의 경우보다 구체적인(concrete) 단어쌍에서 더 컸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단일언어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두번째 실험은 구체적 단어쌍과 추상적 단어쌍에 동등한 점화효과를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Saegert 와 Young(1975)과 Paivio 와 Desrochers(1980)의 가설을 지지하는데, 즉 2개국어 사용자의 두 어휘는 공통의, 비언어적 표상을 통해 아주 밀접하게 통합되어 있다는 것이다.

Abstract

Korean-English bilinguals were shown a prime word in one language for 150 msec, followed by a word or nonword in the other language which required a lexical decision. Target words which were translations of the preceding ward showed a substantial (96 msec) priming effect compared to unrelated target words ; targets semantically associated to the translation also showed a significant though smaller priming (56 msec). For both types of targets and for loth target languages, the priming effect was greater for concrete word pairs than for abstract word pairs. In contrast, a second experiment with monolinguals found equivalent priming for concrete and abstract pairs. The results support the hypothesis of Saegert and Young (1975) and Paivio and Desrochers (1980) that the two lexicons of the bilinguals are most closely integrated via a common, nonverbal representation.

장재홍(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김기석(고려대학교 심리학과) pp.66-7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흰쥐를 피험동물로 해서 실시한 활동 스트레스궤양절차에서 위궤양의 발생에 대한 달리기 활동의 효과를 검토하고, 이 절차에 의해 초래된 신체반응 및 위궤양에 대해 향정신성 약물이 어떠한 효과를 나타내는가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실험 1에서 활동 바퀴에 접근할 수 있고 하루 한 시간씩 급식한 실험집단은 실험집단이 먹은 먹이량만큼만 먹이고 활동바퀴에는 접근할 수 없게 한 먹이-Yoked 통제집단에 비해 체중감소량이 더 컸으며 위궤양의 정도도 더 심하였다. 실험 2에서 benzodiazepine계 약물의 하나인 chlorodiazepoxide 15mg/kg장기투여집단은 생리식염수 투여집단인 통제집단에 비해 더 많은 달리기 활동량을 보였으며 체중 감소량도 통제집단보다 적었고 먹이는 더 많이 먹었으며 위궤양의 발생정도도 더 미약한 것이었다. 그리고 삼환계 항우울제의 하나인 amitriptyline 10mg/kg 장기투여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달리기 활동은 유의미하게 더 적었으나 먹이섭취량과 체중감소량은 통제집단과 차이가 없었으며 위궤양의 정도에서도 통제집단과 차이가 없었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 of stress by activity stress ulcer paradigm on the physical and behvioral changes and ulceration, and examined the effects of psychotropic drugs. In experiment I, 36 male albino rats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two groups: (1) experimental group and (2) food-yoked control gorup. Ra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given continuous access to food, water and the running wheel during a 3-day habituation period, while the control group did not have the running wheel.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until all experimental rats were dead. The food-yoked control rats were killed 24 hours after their experimental mate had died and their body weight loss and ulcer severity were measured. Results indicated that the ulceration and body weight loss of the control group was less than that of the experimental group. In experiment II, each of the 33 albino rats was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following three groups: saline group, chlordiazepoxide(15mg/kg, i.m.), amitriptyline(10mg/kg, i.p.). Each of the rats was injected with respective drug or saline once a day during habituation and experiment. After 3-day habituation period, the experiment has been conduted for 6 days and the rats were killed on the last day. The CDP group showed a signficant reduction in activity wheel revolution, their body weight loss was less, their food consumption was more, and their ulceration was less than the control gor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amitriptyline and control group in terms of body weight loss, food consumption and ulceration except a reduction in activity wheel revolution.

이두현(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김현택(고려대학교 심리학과) pp.77-82
초록보기
초록

20~30kHz의 초음파가 쥐에게 혐오적 자극이 된다는 사실로부터 미국의 Sonitron Model C기구가 개발되었으나, 쥐들은 곧 그 기구가 제시하는 초음파에 익숙해졌다. 이에 한국의 A사에서는 이 기구의 단점을 보완하여 새로운 초음파 발생기를 개발하였다. 그래서 본 연구는 이 두가지 기구가 쥐 퇴치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고 각 기구에서 발생되는 초음파가 어느 정도 쥐에게 혐오스러운 자극이 될 수 있으며, 초음파에 대한 습관화가 일어나는 정도를 직접 측정하고자 하였다. 왕복상자를 이용한 실험실연구, 모의 가옥을 이용한 모의 현장연구 모두에서 초음파 자극은 쥐에게 강력한 혐오자극이 되지는 못하였으며 약 100회 이상 초음파에 노출되면 습관화가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effects of ultrasonic sounds on the behavior of rats. In experiment 1, we observed the avoidance response and habituation process when subjects were exposed to ultrasonic sound in shuttle box. Results did not confirm our expectation that rats are extremely aversive to the ultrasonic sound and showed that subjects were habituated to it. In experiment 2, we simulated natural environment, and observed the activity and habituation of rats. The result also showed that the ultrasonic sound does not prevent the hungry rats from reaching the foods, although the activity level in the environment was reduced conciderably when the sound was present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long-term ultrasonic sound does not give aversive effects completely to the rat's goal-directed behavior.

김정호(덕성여대 심리학과) pp.79-8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무의미한 기하학적 도형들(혹은 부분들)로 구성되는 3가지의 그림재료를 통하여 그림재료의 응집성이 각 부분들의 모양에 대한 기억에 장기적으로 미치는 효과를 알아 보았다. 그림재료는 각 부분들이 서로 인접하고 있으면서 동시에 총체로서 의미가 있는 그림(총체그림), 각 부분들이 서로 인접하되 총체로서는 의미가 없는 그림(무의미 총체그림), 그리고 각 부분들이 서로 인접하지도 않고 총체로서도 의미가 없는 그림(부분그림)으로 세가지였다. 각 부분의 모양에 대한 학습 후에 1주일 후와 4개월 후에 기억측정을 한 결과 총체그림처럼 응집성있는 그림이 무의미총체그림이나 부분그림처럼 응집성없는 그림보다 장기기억에서 정적으로 효과가 있음이 관찰되었다. 끝으로 이러한 응집성 효과에 대한 가능한 해석들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ohesiveness of pictorial materials on long-term memory of descriptive information with three pictorial materials : whole picture (whose parts are integrated and make a meaningful whole), nonsense-whole picture (whose parts are integrated but not make a meaningful whole), and part picture (whose parts are not integrated nor make a meaningful whole). As retention interval was prolonged from 1 week to 4 months the positive effects of cohesiveness of pictorial materials on memory of descriptive information became conspicuous. With the results some tentative interpretations of the effects of cohesiveness of pictorial materials were discussed.

김선주(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이만영(고려대학교 심리학과) pp.88-9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참조관계의 애매성 해결과정에 내재된 개념의 활성화 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2개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에서는 특정 대용어에 대해 가능한 참조어가 두개인 글을 사용했는데 대용어가 제시되었을 때 그것의 가능한 참조어가 언제 어떻게 활성화되고 그 활성화가 문장을 읽으면서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관찰하였다. 실험 1과 실험 2에서 가능한 참조어 둘 다가 대용어가 제시된 직후에 활성화되었다. 그러나 대용어를 포함하는 문장이 참조관계 애매성해결을 위한 적절한 맥락을 제공하지 못하는 실험 1에서는 그 참조어들의 활성화가 문장을 읽으면서 약화되고 오히려 반응억압을 보인반면, 적절한 맥락을 제공하는 실험 2에서는 활성화된 두개의 참조어 중 맥락에 의해 선택되지 않는 참조어의 활성화는 문장을 읽으면서 소멸되었지만 맥락에 의해 선택된 참조어의 활성화는 문장의 끝까지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e present research conducted two experiments to investigate the activation of referent included on reference disambiguation. In experiment 1 and 2, it was found that potential referents were activated shortly after their anaphora But in experiment 1 which it was not possible to select an appropriate one among the two referents, the activation faded away before long. In experiment 2 which the context of an anaphora made it possible to choose an appropriate referent, the activation of a selected referent lasted until the last of a sentence containing the anaphora but that of an unselected referent faded shortly after its activation.

이종구(성균관대학교 산업심리학과) ; 이정모(성균관대학교 산업심리학과) pp.97-1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스크립트의 위계와 의외정보 및 의외성의 해결에 따른 이해처리와 지식과의 연합강도 및 기억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그 결과, 의외정보의 이해처리가 기대정보보다 느렸고 의외성의 부과가 상위수준에서 이루어졌을 때, 보다 오랜 처리시간을 요하였다. 한편 특정정보가 보다 깊이 처리될수록 지식과의 연합강도를 증대시켜 인출을 용이하게 하였다. 의외성에 대한 해결이 주어졌을 때 이들 정보들은 지식과 쉽게 통합되어 강한 인출통로를 마련하였고 그 결과 해결정보 자체의 인출은 물론 선행한 의외문장의 인출에도 점적인 영향을 주었다.

Abstract

Thre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evels of representational hierarchy, presence of unexpected information and its resolution on encoding and retrieving script texts. It was found that unexpected information was processed longer but primed-reconized faster and recalled in greater amount than expected information. Unexpected information at higher levels of scripts were processed longer and retrieved fatter and in greater amount. It was also found that resolution sentences following the unexpected sentences were retrieved faster and better than resoution sentences.

박광배(충북대학교 심리학과) pp.106-113
초록보기
초록

본 논문은 학습된 행동인듯이 보이는 행위들이 때로는 외부적 보상에 의해 강화된 행동이 아니라 가설검증을 위한 행위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종전연구에서 보상이 주어진 후 같은 행동을 반복하지 않고 행동을 바꾸는 경우에 그것이 호기심 때문일 수 있다는 것이 밝혀진 바 있으나, 본 논문에서는 보상후 반복된 행위도 또한 경우에 따라서 호기심에 의해 유발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미 잘 알려진 부분적 강화의 강력한 학습효과에 대해 본 연구의 결과가 암시하는 바가 논의되었다.

Abstract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some behaviors that look like learned behavior may actually be a result of organism's hypothesis testing or curiosity rather than being reinforced by external rewards. Previously, alternation of behavior after receiving reward, as opposed to repetition of the rewarded behavior, has been often explained by curiosity or exploration. It was suggested in this paper that some behavior repeated after receiving reward too can be explained by the same mechanism. The implication of the finding for the well-known strong effect of partial reinforcement was discussed.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