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6-9654
  • E-ISSN2733-466X
  • KCI
이양(경상대학교 심리학과) pp.1-16
초록보기
초록

한글에는 발음대로 표기하는 단어가 많다. 이 단어들을 명명반응할 때는 문자로부터 음소를 변화시키면 충분하므로 심성어휘를 참조할 필요가 없을 것 같다. 심성어휘의 참조는 문자와 음소의 대응관계 즉 표음심도 수준에 따라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한글 단어의 처리를 분석한 여러 연구들은 명명반응의 빈도효과를 일관되게 관찰하였다. 이 때 빈도효과는 심성어휘의 참조가 초래한 결과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갈등적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는 표음심도 외에 처리자원의 영향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실험1은 칠종성 일음절 단어를 자극으로 사용하여 표음심도가 얕도록 하였다. 이 단어들을 명명반응할 때 문자로부터 음소를 쉽계 변화시키므로 처리자원이 절약되고 그 여분으로 심성어휘를 참조하여 빈도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고 가정하였다. 처리자원을 고갈시키는 간섭 과제를 조작하여 명명반응의 빈도효과가 사라지는 결과를 얻었다. 실험2는 표음심도가 얕은 이음절 단어를 자극으로 사용하여 실험1의 결과를 일반화하고자 했다. 본 연구는 간섭과제로 처리자원을 조작하였고 그 결과는 심성어휘의 참조가 표음심도 외에 처리자원의 여유에 따라 다르다고 시사하였다.

Abstract

The Korean language has many words whose pronunciations are identical to their spellings. Since each phoneme in these words can be converted from their spellings, the naming responses to these words don't seem to require lexical access. Generally, the degree of lexical access in word recognition depends on orthographic depth, or correspondence between letters and phonemes. On the other hand, some studies that have dealt with Korean word recognition have consistently observed significant frequency effect. This effect may be regarded as the result of lexical access. To explain this conflicting phenomenon, this study attempted to clarify the effect of processing resource in addition to orthographic depth. This study consisted of two experiments. Experiment 1 employed as stimuli single-syllable words that end with Korean 'seven final consonants' in order to secure shallow orthographic depth. The naming process with these words simply convert letters into phonemes one by one and thus save processing resource. Therefore, It was assumed that frequency effect might appear, because left-over processing resource could be used for lexical access. The frequency effect almost disappeared when interfering tasks were employed to minimize processing resource. Experiment 2 employed as stimuli simple two-syllable words to generalize the findings of Experiment 1. In conclusion, This study manipulated interfering tasks to impinge on processing resource, with the result that the degree of lexical access was determined by processing resource as well as orthographic depth.

정봉교(영남대학교 심리학과) ; 윤병수(영남대학교 심리학과) ; 박순권(영남대학교 심리학과) pp.1-1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알콜과 diazepam의 투여가 흰쥐의 공포학습과 소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공포조건형성시 동물들은 관찰상자에서 8회의 1초간 지속되는 0.6mA 강도의 전기충격을 받았다. 동물들은 소거시에는 전기충격을 받았던 관찰상자에 전기충격이 없이 노출되었다. 실험 1은 알콜과 diazepam의 투여가 조건공포의 지표인 행동동결에 미치는 효과와 두 약물의 상호작용을 검증하였다. 공포학습 직후의 관찰과 24시간 후의 파지검사에서 ethanol 1.2g/kg 또는 diazepam 5.0mg/kg을 투여받은 집단 그리고 ethanol 1.2g/kg을 동시에 투여받은 diazepam 0.5mg/kg 집단 또는 diazepam 1.0mg/kg 집단 모두가 saline 통제집단에 비해 공포학습의 지표인 행동동결의 감소를 보여 주었다. 특히 ethanol 1.2g/kg과 동시 투여된 diazepam 1.0mg/kg은 조건행동동결의 감소효과를 상승시켰다. 이 결과는 ethanol과 diazepm이 공포학습을 방해하여 불안감소효과를 산출하며, 두 약물의 동시투여는 용량의존적으로 그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실험 2는 ethanol과 diazepam의 영향하에서의 소거가 약물이 투여되지 않은 상태로 전이되는가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소거훈련전에 ethanol 1.2g/kg 또는 diazepam 5.0mg/kg을 투여받은 집단은 약물이 투여되지 않은 소거검사시행에서 소거의 실패 즉 행동동결의 회복을 보였다. 이 결과는 두 약물이 용량에 따른 상태의존적 소거를 산출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두 약물의 상호작용효과와 상태의존적 공포소거현상에 대한 실용적 측면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lcohol and diazepam on conditioned fear and extinction in Sprague-Dawley male rats. Fear was conditioned by pairing an experimental chamber with footshock and was assessed by observing freezing. During extinction session, rats were exposed to the chamber without shocks. In Experiment 1, the effects of ethanol and diazepam on fear acquisition and retention were examined. The interaction between ethanol and diazepam on conditioned freezing was also tested. Diazepam 5.0mg/kg and ethanol 1.2g/kg decreased freezing response immediately following the shocks and in retention test. Diazepam 1.0mg/kg interacted synergistically ethanol 1.2g/kg to reduce conditioned freezing. These results demonstrate a significant dose-dependent anxiolytic effect due to the combined treatment of ethanol and diazepam. Experiment 2 investigated whether fear extinction conducted under the influence of ethanol and diazepam transfer to the undrugged state. The groups that received extinction with either ethanol 1.2g/kg or diazepam 5.0mg/kg showed significantly more freezing than the saline control during undrugged test but those with either ethanol 0.6g/kg or diazepam 2.0mg/kg did not. These result suggest that ethanol and diazepam produce state-dependent fear extinction in dose-related manner as indicated by renewed fear during undrugged test. The practical implications for both the behavioral interaction effect between ethanol and diazepam and the state-dependent extinction with ethanol and diazepam are noted.

조증열(경남대학교) ; Hsuan-Chih Chen(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pp.17-35
초록보기
초록

두 실험에서 漢字의 意味를 처리하는 동안 音韻 정보가 活性化되는지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의미 범주화 과제를 사용하였으며 漢字 初步者들과 熟練者들의 수행을 비교하였다. 실험1과 실험2의 漢字 初步者들은 통제 자극보다 同音語인 방해 자극에 헛경보의 오반응을 더 많이 내는 同音語 效果를 얻었다. 또한 시각적으로 유사한 방해 자극이 통제 자극보다 오반응이 더 많은 視覺 類似 效果가 관찰되었다. 初步者들의 결과는 音韻 정보와 視覺 정보가 활성화되어 漢字의 의미 판단에 영향을 주는 것을 시사한다. 반면에 실험2의 漢字 熟練者들은 同音語 效果와 視覺 類似 效果를 보이지 않아서, 音韻 정보와 視覺 정보가 漢字의 意味 판단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결과들은 音韻 정보와 漢字 정보의 사용은 讀書의 熟練度에 의존적인 것을 시사한다. 또한 단어 재인에서 音韻 媒介가 자동적이고 必然的인 과정이 아니라 選擇的인 것을 암시한다.

Abstract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phonological information was activated during semantic processing of hanja. In these experiments, both using a semantic categorization task, the performance of skilled hanja readers were compared with that of less-skilled hanja readers. The less-skilled hanja readers were found to produce more false positive categorization errors on homophone foils, as well as on graphically similar foils, than the errors on their controls. Thus phonological and visual information appear to affect the semantic task. However, skilled hanja readers were found to produce no phonological effect and no visual similarity effect. This indicates that phonological and visual information do not seem to affect the semantic task. Therefore, the present results suggest that the use of phonological and visual information depends on reading proficiency. Phonological activation appears to be an optional rather than obligatory process.

이배환(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임상의학연구센터 및 뇌연구소) ; 원란(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임상의학연구센터 및 뇌연구소) ; 백은주(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생리학교실) ; 문창현(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생리학교실) pp.19-29
초록보기
초록

최근 저자들은 좌골신경 분지중 tibial nerve와 sural nerve를 손상시키고 common peroneal nerve는 손상시키지 않고 남겨두는 신경병리성 동통에 관한 새로운 동물 모델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이 모델이 교감신경계 관련 동통인가 아니면 교감신경계 무관 동통인가를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할로탄을 이용하여 동물을 마취시킨후 tibial nerve와 sural nerve를 절단하고 common peroneal nerve는 남겨두는 수술을 시행하여 2주 후 urethane으로 다시 마취시켜 전기생리학적인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말초의 축색이 손상받은 것이든 아니든 관계없이 L4 또는 L5 후근의 거의 모든 신경섬유는 아드레날린성 약물에 반응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신경병리성 동통에 관한 새로운 동물 모델이 교감신경계 무관 동통을 나타낸다는 것을 시사한다.

Abstract

Neuropathic pain produced by nerve injury is very intolerable and uncontrollable. It is also resistant to analgesics including opioids. Until now the mechanism of neuropathic pain symptoms has been unknown at least in part because there is no reasonable and reliable animal model. Recently we developed new animal model of neuropathic pain in which the tibial and sural nerves of the sciatic nerve branches were injured and the common peroneal nerve was left intact.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is animal model of neuropathic pain represent sympathetically maintained or independent pain. Under halothane anesthesia, rats were subjected to neuropathic surgery by cutting the tibial and sural nerves, leaving the common peroneal nerve intact. Two weeks after neuropathic surgery, the animals were anesthetized with urethane for electrophysiological experiments. Almost all the nerve fibers of L4 or L5 dorsal root, regardless whose peripheral axons were injured or not, did not respond to adrenergic drug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is new animal model of neuropathic pain produced by the injury of the tibial and sural nerves, leaving the common peroneal nerve intact, may represent sympathetically independent pain.

민선식(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이민수(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이두현(University of Texas Medical Branch at Galveston) ; 김현택(고려대학교 심리학과) pp.31-43
초록보기
초록

해마에서 관찰되는 장기상승작용(long-term potentiation:LTP)현상은 학습과 기억의 유력한 세포적 기전으로 제안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LTP와 학습의 관계를 직접 조사한 연구는 소수에 불과하고 그 결과도 일치되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토끼의 순막조건화를 이용하여 LTP현상과 조건화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본 실험은 1) 순막조건화에 의해서 해마 LTP가 유도되는지, 2) 해마에 입력하는 내측중격(medial septum:MS)를 자극하는 것이 조건화와 해마(hippocampus)의 LTP 유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서 흔적조건화를 사용하였으며 해마의 또 다른 입력구조물인 관통로(perforant path:PP)에 검사자극을 가하여 해마 치상회(dentate gyrus)에서 LTP 발생 여부를 측정하였다. 동물들을 CS-US 배쌍집단, MS자극을 받는 CS-US 배쌍 집단, CS-US 비배쌍 집단 그리고 관통로의 검사자극이 없는 CS-US 배쌍 집단에 무선배정 하였다. 실험결과, 배쌍집단에서는 LTP가 유도되었으나 비배쌍 집단에서는 LTP가 유도되지 않았다. MS를 자극한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조건화의 촉진이 나타났다. 하지만 관통로에 가한 검사자극에 대한 해마치상회의 반응성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관통로를 통해 입력된 학습관련 정보들이 해마의 LTP를 유도할 가능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LTP가 학습의 신경적 기전의 하나임을 시사하고 있다. 한편, 순막조건화 동안 내측중격을 통해 해마로 들어오는 정보는 조건화에 조절적 역할을 할 가능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 기전은 후내피질(entorhinal cortex)에서 관통로를 통해 해마로 들어오는 학습관련 정보의 처리에 관한 세포적 기전과는 독립적임을 시사한다.

Abstract

Long-term potentiation (LTP) of hippocampal synapses has been suggested to be a cellular mechanism for the learning and memory. However, few studies have reported a relationship between LTP and the behavioral index and the results have often been inconsistent with each other.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see: 1) if LTP develops in the hippocampal dentate gyrus during classical conditioning of rabbit's nictitating membrane response (NMR) and 2) if stimulation of the medial septum, which is known to be an afferent structure, affects the induction of the LTP and the classical conditioning. Animals were pseudorandomlyassigned to one of four following experimental conditions: 1) CS(conditioned stimulus)-US(unconditioned stimulus), 2) CS-US with the electrical stimulation of medial septum, 3) unpaired presentation of CS and US 4) CS-US without test pulse to the perforant path.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three paired groups showed the robust acquisition compared with the unpaired group. The amplitude of evoked potential at hippocampal dentate gyrus to the test pulse of the perforant path during the acquisi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wo paired groups with the test pulse, but not in the unpaired group. The electrical stimulation of the medial septum facilitated the behavioral acquisition without a change in evoked potential of dentate gyru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learning-related information from the enthorhinal cortex carried via perforant path induces LTP at hippocampus, and information to hippocampus carried via the medial septum modulates acquisition in conditioning of NMR, which can be independent of the induction mechanism of LTP.

곽호완(경북대학교 심리학과) ; 곽지은(경북대학교 심리학과) pp.37-5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시각검색에 관한 안내검색모형(Wolfe, Cave, & Franzel, 1989)을 신경망으로 구현하여 시뮬레이션함으로써 모형의 타당성과 일반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연구1에서는 노이즈 입력단계가 검색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활성화도충과 입력충에서 각각 노이즈 수준을 조작하였다. 그 결과 세부특징 검색과제에서 검색반응시간의 기울기 패턴이 노이즈 입력 단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연구2에서는 모형의 일반성과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 시뮬레이션 된 결과들을 Cave와 Wolfe(1990)의 시뮬레이션 결과 및 기존의 시각검색 연구결과들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Cave 등(1990)의 시뮬레이션 결과는 물론 인간수행 결과들과도 부합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결과는 안내 검색모형의 예언과 전반적으로 부합하였다. 특히 노이즈 입력단계에 따라 검색수행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연구1의 결과는 향후 시각검색 시뮬레이션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Abstract

This study carried out to implement the Guided Search Model (GSM; Wolfe, Cave, and Franzel, 1989) in visual search using a neural network modeling technique. In Study 1, effects of noise on visual search were examined by adding noise in two different layers: the input layer and the activation map layer. When the noise was inserted in the input layer, the search performance for the feature search condition showed a linearly increasing function, whereas no such pattern was observed in the activation map layer-noise condition. In Study 2, we compared the simulation results of this model with those of the previous studies in order to show the validity and the generalizability of the model. The results were consistent with those of Wolfe et al.(1989) in most of the tasks employed. The simulation results were then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other previous studies. In general, out simulation results were found to be compatible with the predictions of GSM.

윤영화(한국신경심리연구소) ; 민선식(고려대학교 생리학교실) ; 이민수(한국신경심리연구소) ; 김현택(한국신경심리연구소) pp.45-57
초록보기
초록

내측 전전두피질의 복측부위(변연하영역)에 가한 손상이나 배측부위(변연전영역)에 가한 손상이 조건공포반응의 습득과 소거에 미치는 영향을 동결반응을 측정하여 조사하였다. 습득기간과 소거기간 동안 동결반응을 측정하였으며, 조건자극(CS)이 제시되기 전 20초 동안과 CS가 제시되는 20초 동안 동결반응을 측정하여 훈련상자인 맥락자극에 대한 조건공포반응과 CS에 대한 조건공포반응을 따로 조사하였다. 변연하영역 손상집단이나 변연전영역 손상집단, 그리고 통제시술집단 모두 조건화 습득기간 중 맥락자극에 대해서 동결반응을 보인 시간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조건화 2일째에 변연하영역 손상집단과 변연전영역 손상집단이 CS에 대한 공포반응을 통제시술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많이 나타내었다. 2, 3, 4 훈련회기에서 맥락자극이 제시되는 기간과 CS가 제시되는 기간의 각 20초 검사기간 중 18~20초 동안 최대 동결반응치를 보인 회수를 합한 값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세 집단을 비교한 결과, 세 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변연하영역 손상집단은 CS에 대한 습득을 촉진시키고 CS에 대한 소거를 지체시켰다. 변연전영역 손상집단은 CS에 대한 습득을 촉진시키고 맥락자극과 CS 모두에 대한 소거를 지체시켰다. 그렇기 때문에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변연하영역과 변연전영역은 조건공포에 억제작용을 한다고 생각된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ole of infralimbic(IL) and prelimbic(PL) areas of medial prefrontal cortex on the acquisition and extinction of conditioned fear response in rats using Pavlovian conditioning paradigm. Conditioned fear behavior(freezing response) was measured during both the acquisition and extinction phases of the task. Conditioned fear was measured both to the conditioned stimulus(CS) and to the contextual stimuli during both phases. IL lesion group, PL lesion group, and sham operated group showed similar conditioned fear to the contextual stimuli during acquisition. IL lesion and PL lesion enhanced conditioned fear to the CS in 2nd conditioning day. IL lesion prolonged conditioned fear to the CS(but not to the context) during extinction. PL lesion prolonged conditioned fear both to the CS and to the context during extin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IL and PL are involved in emotion, especially fear, and that they are important in inhibition of conditioned fear.

도경수(부산대학교 심리학과) pp.55-66
초록보기
초록

명제에 대해 구성한 모형에 근거해서 확률을 추정한다는 Johnson-Laird의 소박한 확률이론을 검증하기 위하여 Johnson-Laird와 Savary(1996)의 착각적 확률 추론 실험을 이용한 두 개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두 개의 실험에서는 두 사상의 존재에 관해 기술한 두 개의 명제와 이 두 명제의 진위에 관해 규정한 또 하나의 명제를 주고 두 사상의 확률을 추정하게 하였다. 실험 1에서는 Johnson-Laird와 Savary (1996)의 실험을 반복하여 규범적인 판단과는 상반되는 상대적 확률 판단을 하는 착각적 확률 추론 현상을 반복 관찰하였다. 실험 2에서는 두 사상의 확률을 추정하기 전에 각 명제에 대해 참인 경우와 거짓인 경우를 기록하도록 하였는데, 이 절차는 소박한 확률이론이 제안하는 진실원리에 의한 모형 구성과 비율원리에 의한 확률 추론이 실제 일어나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실험 2에서도 착각적 확률 추론 현상을 관찰하였으나, 실험참가자들의 기록은 소박한 확률 이론의 가정 중 일부만을 지지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즉 진실원리에 의한 모형 구성을 지지하는 증거는 있었으나 비율 원리에 의한 확률 추론을 지지하는 증거는 얻지 못하였다.

Abstract

Two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test Johnson-Laird et al.'s naive probability theory. Experiment 1 replicated Johnson-Laird & Savary's(1996) fording of the illusory inferences of relative probability. Participants were asked to write down true cases and false cases for the two premises prior to estimating probability of two events in Experiment 2 to test two principles of naive probability theory: The truth principle of representation and the proportionality principle of probability estimation. The truth principle was supported, but the proportionality principle for probability estimation was not supported in Experiment 2.

조선영(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이강준(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이태관(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현성용(대구대학교 심리학과) ; 김현택(고려대학교 심리학과) pp.59-74
초록보기
초록

순막 조건화의 습득이 이루어진 후 적핵에 카이닌산을 주입하여 화학적 손상을 시키고 그 영향을 소뇌 중간핵과 배측하올리브부핵에서 다단위활동을 함께 기록하여 살펴보았다. 전형적인 지연조건화로 동물을 학습시킨 후, 한쪽 적핵에 미리 심어둔 안내관을 통해 카이닌산을 주입하여 그 부위의 세포체 만을 손상하였다. 그후 동일한 훈련을 계속하면서 적핵 손상이 행동반응과 각 부위의 신경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적핵을 손상하자 행동적 조건반응율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반응 진폭이 줄어들고 반응 잠재기가 늘어나는 반응 수행상의 결함은 조건반응(CR) 뿐만 아니라 무조건반응(UR) 수행에서도 마찬가지로 발견되었다. 그러나 선행하는 조건자극(CS)에 의한 UR 반응촉진은 적핵 손상 후에도 계속 유지되었다. 적핵 손상 이후 소뇌중간핵의 학습관련 신경활동1)은 전체 회기에서는 줄어들었으나, 본 연구에서 CR수행 여부에 따라 CR시행과 noCR시행으로 나누어 신경활동을 분석한 결과 학습관련 신경활동을 보이는 CR시행과 그렇지 않은 noCR시행의 반응 형태는 손상 이후에도 그대로 유지됨이 관찰되었다. 배측하올리브부핵은 CR시행은 물론 noCR시행에서도 학습관련 활동을 보였는데 이러한 활동은 적핵 손상 후에 크게 변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순막조건화에서 적핵의 손상이 소뇌에서 처리된 조건화 정보의 출력을 단순히 차단시키는 것이 아니라, 소뇌와 뇌간을 포함하는 신경회로망적 정보 처리에 영향을 미쳐서 CR 수행이 감소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kainic acid lesion of the red nucleus (RN) on the learning-related neuronal activities of the cerebellar interpositus nucleus(INT) and the dorsal accessory inferior olive (DAO). Kainic acid(2mg/㎖, 0.4㎕) was injected to RN after the animals reached a criterion of acquisition in delay conditioning(300msec ISI). Behavioral CRs were severely impaired by the lesion with decreased amplitude and increased latency. The amplitude and the latency of UR were also affected by the lesion. However, the reflex facilitation of UR by CS-US pairing was maintained after RN lesion. The lesion of RN reduced the conditioning-related activities of INT throughout sessions. However, the patterns of the neuronal responses in CR/noCR trials, when analyzed separately, revealed that INT robustly showed the neuronal model of behavioral response in a few remaining CR trials with the RN lesion. DAO continued to show conditioning-related activities in both CR and noCR trials after the le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lesion of RN does not simply block the performance of CRs, but results in a systematic alteration of the neural network including the cerebellum and the brain stem, which can establish the neuronal plasticity for the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f CR.

이광오(영남대학교 문과대학 심리학과) pp.67-83
초록보기
초록

한국어 음절의 내부구조를 조사하기 위하여 세 개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음소 대체 과제를 사용하였으며, 자극 음절은 모두 청각적으로 제시되었다. 실험1에서 종성의 대체는 중성의 대체보다 빨랐으며, 중성의 대체는 초성의 대체보다 빨랐다. 실험2에서는 대체 음소와 대체 위치를 고정시켜 대체수행의 처리 부담을 줄였다. 그러나 여전히 종성의 대체는 초성이나 중성의 대체보다 빨랐다. 실험3은 음절 구조의 효과와 단어 구조의 효과를 구분하기 위하여 2음절 단어에 대한 음소 대체 수행을 비교하였다. 제1음절과 제2음절 모두에서 종성의 대체는 초성의 대체보다 우월하였다. 세 개의 실험 결과는 모두 한국어 음절의 구조가 CV/C의 음절체 구조임을 지지하였다.

Abstract

Thre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xplore the internal structure of Korean syllables. A phoneme substitution task with aurally presented stimuli was used. In Experiment 1 with monosyllables as stimuli, the coda was substituted faster than the nucleus, and the nucleus was substituted faster than the onset. The performance to open syllables was roughly the same as that to closed syllables. In Experiment 2 in which the phoneme to substitute and the position of substitution were fixed in a session, similar results as in Experiment 1 was obtained. In experiment 3 disyllabic words were used as stimuli to test the effect of syllable structure and word structure and the results suggesting only the effect of syllable structure were obtained. All the results from the three experiments indicated that the internal structure of Korean syllables is the body structure.

엄송이(서울대학교 심리학과) ; 이춘길(서울대학교 심리학과) pp.75-94
초록보기
초록

도약안구운동(saccadic eye movement)은 고속으로 시선을 이동시키는 안구운동의 형태이다. 상구(superior colliculus)는 도약안구운동을 제어하는 핵심적인 신경 구조로 알려져 있다. 도약안구운동의 표적이 되는 시각 자극의 위치는 망막, 시각피질 등의 공간좌표계에 표시되는 반면, 도약안구운동을 생성하는 운동명령의 신호는 세포 활동의 시간적 패턴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이 과정에서 신경활동의 공간-시간 변환이 필요한데, 상구는 이 변환 과정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구조로 생각되고 있다. 이 변환 과정을 이해하고자 하는 연구들은 세포 활동을 연구하는 신경생리적 연구와 이에 기초한 모델 연구들로 이루어지는데 그 동안의 집중적인 연구에도 불구하고 이 변환 과정에서 상구의 세포들이 차지하는 역할에 대한 명백한 이해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뇌간 신경회로의 기능적 구성에 관한 합의도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 결과, 생물학적 자료를 부분적으로 활용하거나 새로운 세포를 가정하는 여러 모델들이 계속 등장하고 있다. 이 모델들은 새로운 신경생리적 실험의 방향을 지시하는 순기능을 가진다. 이 글은 도약운동을 생성하는 뇌간 신경회로를 구성하는 세포들의 활동 특성과, 이들에 입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지고 있는 상구의 기능적 특성, 그리고 이에 기초한 모델들을 개괄하고 도약운동의 신경제어를 명백히 이해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고리들이 무엇인지를 정리한 것이다.

Abstract

The superior colliculus (SC) has been known as a critical neural structure in controlling saccadic (rapid) eye movements. The locations of visual stimuli, common targets of saccadic eye movements, are registered in place code by the retina and by various areas of the visual cortex. Motor commands to acquire these targets by reorienting the gaze line, on the other hand, are represented in the temporal pattern of neural discharges. Thus, the neural signal is thought to undergo a spatial-to-temporal transformation, and the SC is considered to play a critical roles for this transformation. Despite the intensive neurophysiological and pharmacological studies, roles of collicular neurons are not fully understood in relation to this transformation, and a few computational models appeared trying to make sense out of these incomplete biological data. We reviewed key aspects of the patterns of neural discharges of various saccade-related neurons of the SC and of brain stem areas that are known to be involved in generation of saccades, focusing on the spatial-to-temporal transformation. We also reviewed various models of saccade generation, and proposed further studies to better understand neural mechanisms for saccade generation.

이태연(한서대학교) pp.85-10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이태연(1996)의 연구에서 제안되었던 동일-상이 범주화과제의 문제점들을 보완하고, 학습 경험이나 자극유형 또는 제시절차와 같이 범주화연구들에서 일반적으로 다루어져 왔었던 변인들을 조작하여 동일-상이 범주화과제가 범주화에 미치는 규칙과 유사성의 효과를 잘 반영하는지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실험 1에서는 학습경험이 규칙과 유사성의 효과에 어떤 여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는데, 학습경험이 증가할수록 규칙효과는 증가하였으나 유사성효과는 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실험 2에서는 자극의 응집성이 유사성효과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토하였는데, 응집성이 높은 조건에서는 실험 1과 같은 경향을 보였지만, 응집성이 낮은 조건에서는 규칙효과는 증가하였으나 유사성효과는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실험 3에서는 자극제시의 동시성이 유사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두 자극을 동시에 제시하거나 또는 계시적으로 제시하였다. 그 결과, 학습경험이 증가했을 경우에 동시에 제시된 조건에서는 유사성효과가 거의 변화되지 않았지만, 계시적으로 제시된 조건에서 유사성효과는 감소하고 규칙효과는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범주화가 규칙이나 유사성 중 어느 하나만으로는 설명되기 어려운 인지과정이며, 동일-상이 범주화과제가 범주화에 미치는 규칙과 유사성의 상대적 효과를 비교적 잘 반영하는 과제임을 시사한다.

Abstract

This study was planned to improve the same-different categorization task(Lee, 1996) by modifying several procedural problems of it, and to investigate, by manipulating factors such as learning experiences or stimulus types, whether the task could reflect the effects of rules and similarities on categorization. Experiment 1 examined relative effects of rule and similarity on categorization by changing learning experiences, the results showed that learning experiences had an effect on rule effects only. In Experiment 2, the same results as that of experiment 1 were found in the high cohesive condition, but a trade off between rule effect and similarity effect was found in the low cohesive condition. In Experiment 3, two stimulus were presented two stimulus concurrently or successively to investigate the extent the presentation procedure of the same-different categorization task had any relation to similarity effect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f learning experiences in the concurrent presentation condition, but a trade off between similarity effect and rule effect was found in the successive presentation condi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categorization processes cannot be explained by rule or similarity alone, and that the same-different categorization task can be regarded as a promising task for analyzing relative effects of rule and similarity on categorization.

박창호(전북대학교 심리학과) ; 오성주(전북대학교 심리학과) pp.103-116
초록보기
초록

수평-수직 착시는 같은 길이의 수평선에 비해 수직선이 더 길어 보이는 효과를 말한다. 본 연구는 수평-수직 착시에 미치는 요인들로서 양분 효과와 형상 효과를 검토하고자 한다. 양분 효과는 '⊥' 도형처럼 한 선분이 다른 선분에 의해 양분될 때, 양분하는 선분이 길어 보이는 효과이다. 형상 효과는 도형의 형상이 성분의 지각에 영향을 주는 효과이다. 실험 1에서 '⊥'및 'ㅏ' 유형의 도형에서 양분점의 위치를 조작하여 양분 효과와 수평-수직 착시를 분리하고 양분효과가 형상 효과와 관련됨을 보았다. 실험 2에서 사각형이나 십자가와 같이 '좋은 형상'의 경우, 수평-수직 착시가 감소하였다. 실험 3에서 사각형이나 십자가의 좋은 형상이 여러 개의 '└' 도형 집합으로 해체될 경우, 수평-수직 착시가 감소하였으나 그 크기는 작았다. 이들 결과는 수평-수직 착시에 형상 효과가 일정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가리킨다. 마지막으로, 수평-수직 착시를 길이 판단의 비교 과정과 관련지어 논의하였다.

Abstract

People tend to perceive a vertical line to be longer than the same size of horizontal line (the horizontal-vertical illusion; HVI). We asked whether the configuration of a form could have an effect on HVI, using the method of adjustment where participants adjusted the length of one (horizontal or vertical) line to be equal to that of the other line. In the first experiment, when '⊥' -like and 'ㅏ' -like figures with varying division positions were introduced, the total amount of HVI changed with the division position (so-called bisection effect; BE). The amount of pure HVI (with BE subtracted) was less in the '⊥' type figures than in the 'ㅏ' type figures. Trend analysis on the HVI of '⊥' type figures showed that BE had a quadratic component, which we thought was a reflection of configural effect of a whole form. In the second experiment with a rectangular or a cross, HVI was less in these good configurations than in the 'ㄴ' type figures. In the third experiment, we divided each of the above good configurations into two separate 'ㄴ' type figures and observed less HVI with the divided patterns than with the 'ㄴ' figure. But the effect size was small. It was concluded that configuration could have an effect on HVI and some of its effect could result from the multiple comparison pairs belonging to the configuration. Configurational aspects and anchorage effect in size judgment were discussed.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