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김지애(계명대학교 심리학과) ; 박권생(계명대학교) pp.221-239 https://doi.org/10.22172/cogbio.2016.28.2.001
초록보기
초록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xclude the possibility that the implicit causality effect observed in Park’s (2009, Experiment 2) study reflect the influence of the connective (왜냐하면) that was used to indicate the coherence relation between the two critical sentences in the stimulus texts. Experiment 1 replicated the results of Park’s Experiment 2, showing that the implicit causality effect is a robust phenomenon. In Experiment 2 of this study we used the same stimulus material that was used in Experiment 1 except for that the connective (왜냐하면) and the accompanying word (때문이다) were eliminated. We found almost the same result as that of Experiment 1.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implicit causality effect observed in both this and Park’s study do not reflect the influence of connective but the influence of special properties of some interpersonal verbs.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ree different theories.

Abstract

오윤경(경북대학교 심리학과) ; 김초복(경북대학교) pp.241-252 https://doi.org/10.22172/cogbio.2016.28.2.002
초록보기
초록

최근 색상-단어 스트룹 과제를 이용한 연구에서 인지적 통제 과정에 대상-공간-언어 인지양식이 중요한 개인차로 작용하는 것이 보고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인지양식이 두 과제들 간 전환 과정에 관여하는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과제전환 시 과제세트 재구성에 관여하는지, 혹은 과제세트 억제에 관여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상과제와 언어과제를 포함하는 과제전환 패러다임을 구성하였으며 한국판 대상-공간-언어 인지양식 선호점수를 참가자들로부터 측정하였다. 과제별 전환비용과 인지양식 선호점수의 관계를 확인한 결과, 언어양식을 선호할수록 대상과제에서 언어과제로의 전환비용이 감소되는 반면, 대상양식의 선호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과제세트 재구성의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Abstract

A recent study employing the color-word Stroop task found that object-spatial-verbal cognitive style is closely associated with individual differences in cognitive control processe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current study sought to examine whether the same cognitive style is involved in task switching processes between two tasks. Further, we sought to investigate whether it is involved in task-set reconfiguration or task-set inhibition during switching. In doing so, a task switching paradigm including object and verbal tasks was constructed and cognitive style preference score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object-spatial imagery and verbal questionnaire were obtained from the participants. The resul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witch cost for each task and preference scores for the cognitive style showed that greater verbal style preference was closely related with the lower verbal switch cost whereas the relationship between object style preference and the switch cost was absent.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based on task-set reconfiguration.

태진이(영남대학교) ; 이상은(영남대학교 심리학과) ; 이윤형(영남대학교) ; 권유안(건국대학교) pp.253-270 https://doi.org/10.22172/cogbio.2016.28.2.00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과제에 부과된 부담(스트레스)의 종류에 따른 과제 수행의 차이와 그 기저에 있는 인지신경학적 특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과제에 부과된 부담을 인지적인 스트레스와 정서적 스트레스로 구분하고 이러한 요소들이 과제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참가자들은 제시되는 수식을 보고 수식의 참과 거짓 여부를 판단하는 과제를 수행하였다. 과제 수행 시에 유발되는 인지적 스트레스는 과제 난이도 조작을 통해, 정서적 스트레스는 과제 수행 시 타이머의 유/무와 수행의 자기 조절 가능성 여부의 조작을 통해 유발하였다. 행동 실험 결과 난이도가 높은 문제의 경우에는 정서적 스트레스가 과제 수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난이도가 낮은 문제의 경우에는 정서적 스트레스가 과제 수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추가적으로 ERP를 사용하여 과제에 부과된 부담에 따른 차이를 실시간으로 살펴본 결과 정서적 스트레스에 따른 차이는 P1,P2,N400 시간대에 좌반구 후두에서 나타났으며, 인지적 스트레스에 따른 차이는 N400시간대에 우반구 전측과 중앙영역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스트레스가 인지적 스트레스와 정서적 스트레스와 구분될 수 있는 복합적인 개념이라는 것을 실험적으로 확인해주며 인지와 정서가 상호작용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performance depending on the type of stress imposed on the task. To do so, we divided the stress imposed on the task into cognitive stress and emotional stress and investigated the impact of these stresses on the performance of cognitive task. Participants were asked to solve arithmetic problems. The cognitive stress was aroused by manipulating task difficulty, and the emotional stress was aroused by manipulating the existence of timer and the possibility of self-paced task performance. The results of behavioral experiment showed that emotional stress has negative impact on solving cognitively more demanding problems, but the emotional stress has positive affect on solving less demanding problems. The results of the ERP study showed such that the effect of emotional stress is observed in P1, P2, N400 (left occipital lobe) and the effect of cognitive stress is observed in N400 (right anterior and central lobe). Interestingly, the interaction between emotional processing and cognitive processing was observed in P2 and N400 components. These findings provide experimental evidence that psychological stress is an umbrella concept including two distinct cognitive and emotional stresses and suggest that emotional processing and cognitive processing interact with each other.

김성호(이화여자대학교) pp.271-284 https://doi.org/10.22172/cogbio.2016.28.2.004
초록보기
초록

움직이는 물체가 다른 물체에 가려 잠시 시야에서 사라질 때도, 관찰자는 가려진 물체의 연속적인 움직임을 지각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가려져서 보이지 않는 물체의 움직임 표상이 지각된 지속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삼차원 입체 자극 상에서 표면의 양안시차를 조작하여, 한 물체의 가려진 움직임이 지각되는 조건과 시공간적으로 분리된 두 물체의 순차적 움직임이 지각되는 조건의 움직임 자극을 구현하였다. 이 두 자극의 지각된 지속시간을 각각 가시적인 움직임 자극과 비교한 결과, 가려진 움직임 조건의 지속시간이 상대적으로 더 길게 추정되었다. 이 결과는 시간지각에 영향을 준다고 알려진 시각적 요인인 변화의 현저성, 주의, 예측가능성 등의 효과로 설명되기 어렵다. 본 연구는 움직이는 물체가 가려질 때 발생하는 감각 정보의 시공간적인 공백을 메꾸는, 무형완성된 표면 표상의 지각적 중요성을 보여주며, 움직임 사건의 지속시간 지각이 운동량의 감각 정보가 아닌, 표면 표상이 매개된 상위 수준의 운동 표상에 영향받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 moving object is temporarily invisible as it passes behind an occluding surface, but people perceive it as moving continuously behind the occluder, suggesting that the representation of the moving object is amodally maintained during its disappearance.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display where object invisibility is interpreted as amodal completion of a hidden object moving behind an occluder results in greater time dilation than in comparable displays that lack the interpretation of amodal completion, by manipulating the binocular disparity depth of the surface which can potentially work as an occluder in 3D displays. The result shows that the display involving amodally completed motion is perceived as longer in duration than the display where object invisibility does not entail amodal completion. This result runs counter to the prediction based on psychophysical factors previously implicated in time perception, such as overall stimulus salency, motion energy, attention and predictability. It suggests that time dilation for moving objects is mediated by higher level motion processing based on surface representation.

김민우(고려대학교) ; 조양석(고려대학교) pp.285-308 https://doi.org/10.22172/cogbio.2016.28.2.005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Emotional information can easily capture our attention compared to neutral information. Evidences suggest that the amount of induced attentional capture is correlated with arousal levels of processed information. On the other hand, the speed (onset latency) of attentional capture seems to be determined by the valence of the emotional information. In this study, the speed of attentional capture between equally high arousing positive and negative stimuli was compared by using the emotion-induced blindness (EIB) procedure, which is suited for measuring temporal changes in attentional effects. In Experiment 1, either a positive or negative word distractor was presented among a rapid stream of neutral words, and a to-be-reported target animal word followed 1, 2, 3, 4, 5, & 8 lags after distractor presentation. In Experiment 2, either a positive or negative distractor was presented among a rapid stream of opposite valence words. The overall results indicate that negative distractors induced a rapid attentional capture response occurring at lags 2 to 4, while positive distractors induced a late attentional capture response, which gradually increased and peaked at lag 5. In conclusion, the emotional valence of distractors determines the speed of attentional capture when compared emotional distractors have similar arousal levels.

권미경(Department of Neuroscience Univ. of California, Sa) ; 김민식(연세대학교) pp.309-326 https://doi.org/10.22172/cogbio.2016.28.2.006
초록보기
초록

개인의 인지적 특성과 선택적 주의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은 기본적인 인지처리 과정의 이해뿐만 아니라 병리학적으로도 의의가 있다. Bleckley 등(2003, 2015)은 인지적 통제능력이 높은 사람은 효율적 선택을 위해 대상을 중심으로 주의를 할당하는 반면(대상에 근거한 촉진 효과), 인지적 통제능력이 낮은 사람은 위치를 중심으로 넓게 주의를 할당한다고 주장하였다. 만약, 인지적 통제능력이 높은 사람에게서 관찰되는 대상에 근거한 촉진효과가 개인의 고정된 주의할당 방식이 아니라 효율성의 산물이라면, 대상에 근거한 선택이 효율적이지 않을 경우 촉진효과가 사라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움직이는 대상 패러다임을 사용하여 위치효과와 대상효과를 보다 정확히 측정하였으며, 대상에 기반한 선택이 효율적이지 않은 상황에서 인지적 통제능력의 상위집단과 하위집단 간에 주의할당 방식의 차이가 나타나는 지를 살펴보았다. 실험 결과, 단서가 주어진 ‘위치’에 목표자극이 제시될 확률이 높다는 사전 정보를 주었을 때, 상위집단은, 하위집단과 달리, (위치와 분리된) 대상으로의 주의 할당을 억제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에, 집단 간 (대상과 분리된) 위치효과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대상효과가 개인의 인지적 통제능력과 관련이 있다는 기존의 이론을 지지할 뿐만 아니라 대상효과의 방향이 과제에 따라 유동적임을 시사한다.

Abstract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cognitive abilities and selective attention has implications for both general cognitive mechanisms and characteristics of special populations. Bleckley et al. (2003, 2015) suggested that individuals with high cognitive control ability allocate attention effectively based on an object (i.e., object-based facilitation effect), whereas individuals with low cognitive control ability allocate attention broadly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object. If those with high cognitive control ability use object-based attention for effective information processing, they should not allocate attention to an object, if selection based on the object is not effective. The present study examined how individuals with high cognitive ability and with low cognitive ability allocate their attention when the selection based on an object is not effective. We also attempted to measure location and object effects more accurately by moving a cued object to another locat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when participants were informed that a target was more likely to occur at the cued location, only those with high cognitive ability showed an inhibition effect at the opposite end of the cued object (separated from its original location). In contrast, the magnitude of location effect (separated from the object) did not differ between the high and low control groups. Our findings not only support the view that object effect is related with cognitive control but also suggest that the direction of object effect varies across tasks.

한현주(한림대학교) ; 최훈(한림대학교) pp.327-347 https://doi.org/10.22172/cogbio.2016.28.2.007
초록보기
초록

정서적 각성은 우리의 감각 정보 처리 과정에 다양한 방식으로 영향을 끼친다. 본 연구는 정서를 유발하는 범죄 관련 자극이 관찰자의 주의를 포획하여, 정서를 유발하지 않는 중립 자극에 비해 더 정확하게 기억되는 범죄 자극의 우세성이 시각 세부 특징 결합의 과정에서도 발견되는지를 확인하였다. 각기 다른 색상을 가진 범죄 단어와 중립 단어들을 동시에 제시한 후(기억 화면), 그 중 검사 단어의 색상 정보에 대해 변화 탐지 과제를 실시하였다. 실험 1에서는 검사 단어가 기억 화면에 제시되었던 단어들과 다른, 새로운 색상으로 제시될 때(변화 조건)는 범죄 단어의 기억 우세성이 발견되었으나, 검사 단어가 기억 화면 중 다른 단어의 색상으로 제시되는 경우(교환 조건)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 결과는 제시된 단어의 색상을 모두 기억해야 하는 과제의 특성이 단어들 간의 지각적 조직화 정도를 강화시켰을 가능성에 기인할 수 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 2에서는 기억 화면을 구성하고 있는 범죄 단어와 중립 단어들 사이에 연결선을 추가하여 단어들 간의 지각적 조직화를 증진시키는 연결 조건과 단어들 사이에 분절선을 추가하여 지각적 조직화를 약화시키는 분리 조건간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연결 조건에서는 실험1에서와 같이 교환 조건에서 범죄 단어의 우세성을 확인할 수 없었으나, 분리 조건에서는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시각 정보 처리의 초기에 발생하는 세부 특징 결합의 과정에도 정서적 각성이 영향을 끼칠 수 있으며, 이런 정서적인 영향도 장면의 다양한 속성에 따라 그 방향성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Abstract

Emotional arousal influences sensory information processing in various ways. Observers’ memories of a crime-related stimulus capable of evoking emotional arousal, for example, are much more accurate than memories of a neutral stimulus that does not induce emotional arousal because the crime-related stimulus captures observers’ attention. This study explored whether this crime-related stimuli superiority can be also found in visual feature binding. For this experiment, after a brief presentation of a crime-related and two neutral words written in different colors on a memory display, one test word appeared on the test display. Participants were asked to perform a change detection task for the color of the test word. In experiment 1, participants showed more accurate memory in response to the color of the crime-related words than the neutral words in the New condition, wherein the test word appeared in a new color that had not been employed in any words of the memory display. In contrast, the superiority of the crime-related words was not observed in the Switch condition in which the test word was presented in a color that had been employed for another word of the memory display. Failure in finding the superiority of the crime-related words in the Switch condition might result from enhanced perceptual organization among words of the memory display because participants tried to remember three words as one group. In experiment 2, to test this hypothesis, we manipulated the level of perceptual organization among words by adding lines to the memory display: sometimes the lines connected three words and sometimes they did not. Although the superiority of crime-related words was not observed when connecting lines were added, the addition of unconnected lines resulted in better accuracy for crime-related word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emotional arousal had an effect on early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nd that the direction of the effect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various properties of the scene.

박형범(중앙대학교 심리학과) ; 손한결(중앙대학교 심리학과) ; 현주석(중앙대학교) pp.349-365 https://doi.org/10.22172/cogbio.2016.28.2.008
초록보기
초록

일상생활에서 빈번히 이루어지는 시각탐색 상황에서 탐색 대상이 제시될 가능성은 균등하다기보다는 매우 드물거나 빈번한 경우까지 다양하다. 최근 일련의 연구들은 표적 출현확률이 의사결정 기준에 변화를 초래함에 따라 시각탐색 수행이 변화함을 보고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중립적 표적 출현확률에 따른 의사결정 기준의 변화가 함께 수행되는 중립적 표적 출현확률 시각탐색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지의 여부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세션 내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두 가지 개별 시각탐색 과제에 대해 각각 표적 출현확률이 중립빈도로 고정되거나(중립확률 과제) 참가자 집단 간에 상이하도록(출현확률 과제; 저빈도, 중립빈도, 고빈도) 처치하였으며, 출현확률 과제와 중립확률 과제를 구분하기 위해 화면 중앙을 기준으로 각 과제가 제시되는 위치를 좌우로 분리하였다. 나아가 출현확률 과제에서 수립된 의사결정 기준의 중립확률 과제로의 전이 여부는 개별 과제 간 지각적 유사성에 기초할 가능성을 바탕으로 과제 간 탐색자극의 동일성 여부를 달리한 두 가지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탐색과제 간 자극구성이 서로 분명히 구분되는 경우(실험 1A) 중립확률 과제의 탐색 수행은 출현확률 과제와 독립적이었던 반면, 과제 간 서로 동일한 경우(실험 1B) 중립확률 과제의 탐색 수행은 출현확률 과제에서 각 참가자 집단이 할당된 출현확률 조건과 유사하게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주어진 기간 내 탐색 대상의 출현빈도가 상이한 다수의 시각탐색 과제가 요구되는 경우 적어도 과제 간 구분에 간섭을 초래하는 요인의 영향 하에 개별 과제의 표적 출현확률 평가 및 그에 따른 의사결정 기준의 수립에 분명한 왜곡이 발생함을 시사한다.

Abstract

In our real-world visual searches, a target object is present with varied probability rather than with even probability. Recent studies have reported that the proportion of target presentation affects visual search performance via a shift of decision criteria.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transferability of this target prevalence effects across two dissociable-prevalence search tasks concurrently performed within a period. We examined this by conducting two separate visual searches where one emerge a varied-prevalence (10, 50, or 90%; prevalence task) whereas the other has a fixed-prevalence at 50% (neutral task). Each task was presented at the unihemifield in a random-order in whole trials. In addition, we assumed that the transferability of prevalence effect may depend on the perceptual similarity across the tasks. The results showed that search performance for the neutral task followed that for the prevalence task when the search stimuli set was perceptually identical across the tasks (Experiment 1B), whereas was independent from the prevalence task when the stimuli were perceptually distinct across the tasks (Experiment 1A). These results indicate that observers could fail to adaptively separate their decision criteria when they engaged in multiple-visual searches each has different probability of target presentation, at least under circumstances in which interferences on perceptual separation across the tasks exist.

이영창(충남대학교) ; 방혜영(충남대학교 심리학과) ; 곽진선(충남대학교 심리학과) ; 민윤기(충남대학교) pp.367-379 https://doi.org/10.22172/cogbio.2016.28.2.00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단어 쌍 자극을 사용하여 기억재료의 양적인 특성인 난이도(음절 수)와 질적인 특성인 연관성(의미적 관계성)이 틀린 인출의 기억촉진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사용빈도가 유사한 단어들을 이용하여 고난이도-고연관 자극, 고난이도-저연관 자극, 저난이도 고연관 자극, 그리고 저난이도-저연관 자극으로 구분하고 틀린 인출시도를 통한 학습을 수행한 후 정확회상률을 측정하였다. 실험은 난이도(2)와 연관성(2)에 따른 집단 간 설계로 수행되었으며, 집단 간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즉시회상과 지연회상 모두 난이도와 연관성의 주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고난이도 집단에 비해 저난이도 집단의 정확회상률이 우수했으며, 저연관 집단에 비해 고연관 집단의 정확회상률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즉시회상과 지연회상 모두 난이도와 연관성에 따른 정확회상률의 변화경향성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억재료의 양적인 특성(난이도)과 질적인 특성(연관성)이 모두 틀린 인출의 기억촉진효과에 영향을 미치며, 일정시간이 지연된 후에도 유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Abstract

This study is conducted to confirm the influence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haracteristics, difficulty and relatedness between memory materials, on memory enhancement effect of unsuccessful retrieval. For this purpose, memory materials, the word pairs, a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according to difficulty(2) and relatedness(2). The words of pairs have similar frequency of use. Then, participants learned the materials attempting unsuccessful retrieval and the results are measured as Recollection rates. The experiment is designed as between participants for difficulty(2) and relatedness(2), so two-way ANOVA between groups is performed. As a result, main effects of difficulty and relatedness are significant in both immediate and delayed recall test. Specifically, recollection rates of low difficulty group are better than high group and the rates of high relatedness group are better than low group. In addition, aspects of the rates for difficulty and relatedness are similar both in the immediate and delayed test. It means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haracteristics of memory materials, difficulty and relatedness, influence on memory enhancement effect of unsuccessful retrieval, even in delayed test condition.

김성호(이화여자대학교) ; 서주희(이화여자대학교) ; 정예은(이화여자대학교) pp.381-388 https://doi.org/10.22172/cogbio.2016.28.2.01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한 자극이 제자리에서 반복적으로 점멸하는 매우 단순한 자극 시퀀스에서 인접 위치에 큰 물체가 함께 제시될 때, 가현운동이 지각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점멸 자극과 인접 물체 간 경계에 중첩의 이미지 단서가 주어지고 자극 간 시간 간격이 길 때, 인접 물체 뒤로 숨었다가 나타나는 가현운동이 관찰되었다. 이 결과는 가려져서 보이지 않는 물체의 무형 표상이 움직임 대응 관계에 사용되어, 출현과 소멸(coming into/going out of existence)의 물리적 시퀀스가 드러남과 가려짐(coming into/going out of sight)의 가현운동으로 지각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display of a repeatedly blinking object in place can give rise to a percept of apparent motion, when it is accompanied by a large occluder object. The result shows that apparent motion of an object behind the occluder can be observed when image cues for occlusion are given and the temporal interval between stimulus onsets is large enough. This result suggests that apparent motion can generate the perception of occlusion so that a physical sequence of objects coming into and going out of existence turns to be perceived as coming into and going out of sight.

김성호(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과) ; 서주희(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과) ; 정예은(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과) pp.381-38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한 자극이 제자리에서 반복적으로 점멸하는 매우 단순한 자극 시퀀스에서 인접 위치에 큰 물체가 함께 제시될 때, 가현운동이 지각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점멸 자극과 인접 물체 간 경계에 중첩의 이미지 단서가 주어지고 자극 간 시간 간격이 길 때, 인접 물체 뒤로 숨었다가 나타나는 가현운동이 관찰되었다. 이 결과는 가려져서 보이지 않는 물체의 무형 표상이 움직임 대응 관계에 사용되어, 출현과 소멸(coming into/going out of existence)의 물리적 시퀀스가 드러남과 가려짐(coming into/going out of sight)의 가현운동으로 지각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display of a repeatedly blinking object in place can give rise to a percept of apparent motion, when it is accompanied by a large occluder object. The result shows that apparent motion of an object behind the occluder can be observed when image cues for occlusion are given and the temporal interval between stimulus onsets is large enough. This result suggests that apparent motion can generate the perception of occlusion so that a physical sequence of objects coming into and going out of existence turns to be perceived as coming into and going out of sight.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