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6-9654
  • E-ISSN2733-466X
  • KCI
김세원(부산대학교) ; 신현정(부산대학교) ; 김비아(부산대학교) ; 이동훈(부산대학교) pp.389-407 https://doi.org/10.22172/cogbio.2016.28.3.001
초록보기
초록

얼굴표정은 다른 사람의 정서적 상태를 추론할 수 있는 중요한 사회적 단서이다. 얼굴표정을 사용한 심리학 연구는 주로 개인 얼굴 정서 지각에 집중되어 왔다. 그러나 일상생활에서 우리는 다수의 얼굴표정들을 토대로 집단의 전반적인 정서를 추론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과정에 어떤 요인들이 작용하는지 별로 알려진 것이 없다. 본 연구에서는 개별 얼굴표정들의 정서적 범주와 그 구성 비율을 조작한 집단 얼굴표정 자극을 제시하고 실험참가자로 하여금 집단의 전반적 정서를 판단하게 함으로써, 집단 얼굴표정의 구성에 따라 집단정서판단의 반응특성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집단 얼굴표정 자극은 1) 중립표정과 행복표정, 2) 중립표정과 슬픔표정, 3) 슬픔표정과 행복표정을 각각 8:0, 7:1, 6:2, 5:3, 4:4, 3:5, 2:6, 1:7, 0:8의 비율로 구성하여 집단의 전반적 정서 수준을 9단계로 조작하였다. 세 가지 구성조건에 할당된 실험참가자는 화면에 제시된 얼굴표정들을 보고 집단의 전반적인 정서를 중립/행복, 중립/슬픔, 슬픔/행복으로 판단하는 2안강제선택과제(two alternative forced choice task)를 실시하였다. 집단정서 판단에 걸린 반응시간을 분석한 결과, 모든 조건에서 두 범주의 얼굴표정이 유사한 비율로 제시됨에 따라 판단에 걸린 반응시간은 점점 느려졌다. 응답 비율 자료는 심리측정함수를 이용한 비선형 자료적합(nonlinear data fitting) 과정을 통해 분석되었고, 각 조건 실험참자가의 주관적 동등점(point of subjective equality: PSE)과 정밀도(precision)가 추정되었다. 그 결과, 슬픔-행복 조건 주관적 동등점의 평균은 이론상 평균인 0.5와 거의 같았으며, 정밀도도 높았다. 이에 반해 중립-행복 조건에서 행복 반응의 주관적 동등점의 평균은 0.5보다 낮았으며, 중립-슬픔 조건에서 슬픔 반응의 주관적 동등점의 평균은 0.5보다 높았다. 뿐만 아니라, 행복 반응의 주관적 동등점은 개인의 정적 정서 수준과 행복감과 부적 상관을, 슬픔 반응의 주관적 동등점은 행복감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집단얼굴표정에 대한 정서 판단이 어떤 정서범주의 얼굴들로 집단이 구성되느냐와 같은 상향적 요인뿐만 아니라, 관찰자의 정서적 상태나 특성과 같은 하향적 요인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음을 시사한다.

Abstract

Facial emotion is an important social cue for inferring emotional states of other people. Psychological research using facial emotions has focused on the perception of individual emotional faces. However, in the ordinary life we may infer a group level emotion from multiple faces in a group, but little has been known about what kinds of factors influence this process. In the current study, we investigate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group emotion judgment for a group of emotional faces which are composed of individual faces in different emotional categories with different ratios. The group facial emotion stimuli are composed of 1) neutral and happy faces, 2) neutral and sad faces, and 3) sad and happy faces in the 8:0, 7:1, 6:2, 5:3, 4:4, 3:5, 2:6, 1:7, 0:8 ratios. By this way, the level of emotional intensity of the group is manipulated into 9 steps. Participants in each condition performed a two alternative forced choice task by judging the overall emotion of a group facial stimulus into one of two response categories (e.g., Neutral-Happy). Analysis of response times for the judgment of the group emotion showed that the response time for judging the overall emotion was slow down as faces in the two different emotion categories mixed together with a similar ratio. The response ratio data were analyzed by a nonlinear data fitting procedure using a psychometric function, and the point of subjective equality (PSE) and the precision of each participant in each condition were estimated. In results, the mean PSE in the Sad-Happy condition was almost same as a hypothetical mean (0.5) and the precision was high. On the contrary, the mean PSE of the happy response in the Neutral-Happy condition was lower than 0.5 but the mean PSE of the sad response in the Neutral-Sad condition was higher than 0.5. Moreover, participants’ PSE of the happy respons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articipants’ positive emotion levels as well as happiness scores, whereas participants’ PSEs of the sad response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participants’ happiness scores.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judgment of emotion for a group of faces is influenced by bottom-up factors such as how the group is comprised of what kinds of emotional faces, and by top-down factors such as observers’ emotional states and traits.

강진원(고려대학교) ; 남수린(고려대학교) ; 임희석(고려대학교) ; 남기춘(고려대학교) pp.409-430 https://doi.org/10.22172/cogbio.2016.28.3.002
초록보기
초록

Morphemes are combinations of meanings, grammatical information, and linguistic forms like orthographic and phonological components.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priming pattern index of morpheme-specific independent Event-related potentials(ERPs), which differ from semantic and orthographic components. We conducted a priming lexical decision study comparing a morphologically related(e.g. 날계란-날고기), semantically related(e.g. 번데기-애벌레), orthographically related(e.g. 통신기-통나무) and unrelated control condition(e. g. 광역시-개죽음) with 57ms SOA(Stimulus Onset Asynchrony). The behavioral data showed the facilitatory priming effect only in the morphologically related condition, but not in the semantically and orthographically related conditions. In comparison with the unrelated condition, N250, N400, and P600 components were indicated significant in the ERP data. For the N250 ERP component, all three related primes produced a significantly less negative amplitude compared to the ones from unrelated primes. Moreover, the morphologically related primes caused the least negativity. For the N400 ERP component, the morphologically related condition had shown similar aspects as the semantically related condition. However, the morphologically related condition showed only meaningful amplitude difference clearly compared to the unrelated condition. In the case of the P600 ERP component, the morphologically related condition presented a contrast to semantically, orthographically, and unrelated conditions. Overall, it appeared that there had been three information processing steps in the morphological processing. This result implicates that the semantic and orthographic components of the morphemes occur in the early processes, including N250 and N400, and the other components, such as derivational and other grammatical information; these are reflected in the late process of P600.

Abstract

한지훈(연세대학교 인지과학협동과정) ; 조광수(연세대학교) pp.431-443 https://doi.org/10.22172/cogbio.2016.28.3.003
초록보기
초록

신상품을 기획할 때, 상품기획자는 혁신적인 기능이나 특성을 부여하여 차별화하려고 한다. 그런데 아이러니 하게도 소비자가 제품의 구매의사결정을 할 때는 혁신적인 제품특성을 선택하지 않는 경향이 나타나곤 한다. 본 연구에서는 상품기획의 의도와는 다른 역설적 선택 현상, 즉 상품기획의 역설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서 인지심리학의 구조 정렬 모형(structure alignment model)을 기반으로 두 개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을 위해 두 가지 스마트 TV 상품을 기획하였고, 두 제품은 각각 동일한 공통특성(commonality) 4개, 같은 기준으로 비교가 가능한 정렬가능 특성(alignable property) 4개, 한 제품만 가지고 있는 비정렬 특성(nonalignable property) 4개, 총 12개의 특성을 가지도록 조작하였다. 두 가지의 연구를 통해 실험 참가자들이 가상의 구매의사결정을 하도록 하면서 상품특성에 따라서 의사결정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확인하였다. 첫 번째 연구에서 20가지의 TV 특성에 대한 중요도를 평정하여 통합된 중요도에 차이가 없지만 정렬가능한 특성에서 더 높게 평정된 스마트 TV와 비정렬 특성에서 더 높게 평정된 스마트 TV를 구성하였다. 두 번째 연구에서는 통합적으로는 중요도에 차이가 없는 두 제품에 대해 소비자는 정렬가능한 특성에서 높게 평정된 제품을 더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였다.

Abstract

When planning a new product, product planner tries to differentiate the product from old ones by adding new features or innovative properties. Ironically, when consumers are making decisions about purchasing the product, they do not always consider newly added nonalignable property, which can be referred to as paradox of product planning. To explain this phenomenon, this study conducted two studies based on structure alignment model from cognitive psychology. To conduct the study, we organized two imaginary smart televisions with 12 properties, which consist of commonalities, alignable properties, and nonalignable properties. In the study, participants were asked to make an imaginary purchasing decision between two made-up smart televisions. In the first study, survey questions were given to the participants to rate the importance of 20 television related properties, so that we could manipulate and organize two different televisions, one with better alignable property score and the other with better nonalignable property score. The overall scores of both television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second study, participants showed a tendency of having more preference towards the product with better alignable properties.

정호진(국립과학수사연구원) ; 강은주(강원대학교) pp.445-478 https://doi.org/10.22172/cogbio.2016.28.3.004
초록보기
초록

특정 과제를 기반으로 하는 과제 기반 fMRI(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와 달리, 휴지 상태 fMRI(resting-state fMRI, rs-fMRI)는 참가자들이 쉬는 동안 자료를 수집하며 영상 획득 시간(약 10분)이 상대적으로 짧다. 이러한 이점을 기반으로 rs-fMRI는 과제와 관련 없는 개인차를 연구할 때나 다양한 집단(임상집단 혹은 정상인)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는데 유용하다. 본 개괄에서, rs-fMRI 자료들을 분석하는 몇몇 기법들을 소개할 것이다. 이 기법은 휴지기 두뇌에서 나타나는 특정 두뇌 영역과 기능적 연결성을 보이는 두뇌 영역들을 규명하거나(seed-기반 기능적 연결성 분석, 독립 성분 분석), 다수의 두뇌 영역, 즉 노드들로 구성된 네트워크의 특징을 이해하거나(그래프 기반 네트워크 분석), 또는 자발적 활동 패턴을 이해하는 것(국소적 동질성, 저-주파수 진동 분석, Hurst 지수 분석)을 가능하게 만들었다. 본 논문은 또한 이 방법을 응용하여 휴지기 동안 두뇌 활동 양상의 차이가 정상인의 특정 개인차(예, 성격 특질) 또는 우울증, 알츠하이머, 자폐증과 같은 임상적 장애를 연구한 예들을 소개하고자 하였다. 분석 방법론의 충분한 이해를 통하여 인간의 두뇌와 마음의 관계를 조사하는 경험적 연구의 연구 물음에 가장 적절한 rs-fMRI 분석법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In contrast to the task-based fMRI, the resting-state fMRI (rs-fMRI) doesn’t require a specific task, since data are obtained during rest for a relatively short scan time (about 10 min). Therefore, rs-fMRI provides advantages in studying individual differences not associated with the task, and in obtaining data from a large population of various groups (clinical or normal healthy). In the current review, we introduced several analyzing techniques for rs-fMRI. These techniques allow us to identify the functional connectivity among specific regions (seed-based functional connectivity analysis, 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a network pattern composed of nodes (graph-based network analysis), or the spontaneous activity pattern (regional homogeneity, analysis of low-frequency fluctuation) during rest. The individual differences found during rest with these techniques have been shown to be related to individual differences (e.g., personality traits) or clinical diseases, such as depression, Alzheimer’s diseases, and autism. Choosing an optimal research technique for a specific study question would be possible only with a deep understanding of these analysis techniques.

윤슬기(덕성여자대학교 심리학과) ; 이한나(덕성여자대학교 심리학과) ; 최승원(덕성여자대학교) ; 김제중(덕성여자대학교) pp.479-493 https://doi.org/10.22172/cogbio.2016.28.3.005
초록보기
초록

불안(anxiety)과 기억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들 중 암묵기억과제를 사용한 연구들에서는 위협정보를 가진 자극에 대한 기억편향효과가 불안수준에 관계없이 비교적 일관되게 보고되어 왔으나, 외현기억과제를 사용한 연구들에서는 고불안집단에 대한 결과가 혼재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불안집단의 위협자극에 대한 기억편향(정서일치편향)이 자동적 과정에 의해 발생한다는 기존의 선행연구결과들에 더해, 의식적 수준에서의 기억편향이 불안수준에 따라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 참가자들을 불안수준(고불안, 저불안)과 자극의 처리수준(의미처리와 지각처리)에 따라 4개의 집단으로 분류하고, 각 집단별로 위협단어자극과 중립단어자극을 의미 또는 지각적으로 부호화하도록 한 뒤 자유회상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저불안집단의 경우 단어자극을 깊은 수준에서(의미처리조건) 부호화한 경우에 위협단어자극을 더 잘 회상하는 기억편향이 나타났으나, 얕은 수준(지각처리조건)에서 부호화 후에는 이러한 기억편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고불안집단의 경우, 두 처리수준 조건 모두에서 위협자극을 중립자극보다 더 잘 회상하는 기억편향이 관찰되었다. 이 결과들은 정서가를 가진 정보에 대한 기억편향이 암묵적 과정에서 발생한다는 기존의 이론을 지지하는 동시에, 외현적 과정에서도 일어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며 불안의 수준에 따라 두 기제가 다르게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On the relation between anxiety and memory, past studies using implicit memory tasks reported memory bias for emotional (threat) stimuli regardless of anxiety levels. However, the results from studies using explicit memory tasks are not converging.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how memory bias for emotional stimuli in conscious level would be manifested depending on anxiety level, in addition to the past theory arguing the memory bias is originated by automatic processing. We classified our participants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anxiety level (high/low) and processing level (perceptual/semantic) and administerd free recall test for two types of stimuli (threatening/neutral). Low-anxiety group exhibited memory bias for threatening stimuli only in the semantic processing condition. On the other hand, high anxiety group showed memory bias for threatening stimuli in both perceptual and semantic processing conditions. These results not only confirm the previous theory of memory bias for emotional stimuli by automatic processing, but also show memory bias can be measured in explicit processing, and suggest that these two mechanisms could work in different way depending on anxiety levels.

최영은(중앙대학교) ; 정성우(경남대학교 심리학과) ; 김태훈(경남대학교) pp.495-516 https://doi.org/10.22172/cogbio.2016.28.3.006
초록보기
초록

시각 폭은 읽기의 초기 단계에서 문맥이나 안구운동제어의 영향을 최소화 한 상태에서 감각정보 처리에 기반하여 정확하게 처리될 수 있는 글자 정보의 양을 이른다. 글자 처리의 양은 감각 정보 중에서도 제한 면적 내 사용된 잉크 면적이나 밀도, 글자 간의 간격, 글자의 위치에 의해 제한받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주로 영어를 중심으로 제안된 이 개념은 최근에 영어와 매우 다른 표기법을 가진 중국어의 경우에서도 적용되어 확인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알파벳-음절 표기법이라는 독특한 표기 체계를 쓰는 한글의 경우에도 이러한 개념이 적용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 특히, 한글 글자에서 획수의 증가라는 복잡성 요인이 시각 폭을 감소시키는 영향인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글 글자들을 고획과 저획의 조건으로 나누고, 세 글자 쌍 패러다임을 이용하여 시각 폭 크기를 검토한 결과, 획수는 주요한 정보 처리 양의 제한 요인은 아니었으나 글자 제시 위치에 따라서는 획수가 많을수록 글자 재인율이 낮아지는 경향성은 관찰하였다. 또한 고획 조건에서 측정된 우측 시야의 시각 폭 크기의 개인차는 읽기 유창성 개인차와의 관련성도 시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한글 읽기에서 획수라는 복잡성 요인이 읽기의 초기 단계인 글자 재인 단계에서 부분적으로 역할을 할 수 있으나 주요한 글자 정보 처리양의 제한 요인은 아닐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Abstract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pattern complexity, in particular, the number of strokes involved in forming a syllable-based character, on the visual span in Korean Hangul reading. The visual span refers to the number of characters that can be accurately recognized without moving one’s eyes in reading and has been related to individual differences in reading speed. The concept of the visual span, however, has only been applied to English and Chinese scripts thus far. Korean Hangul writing system is quite unique, having alphabets combined into a syllable and each syllable written in a restricted space. This differs from both English alphabetic serial writing and Chinese logographic writing system. Due to its unique combinatorial nature of the script, the pattern complexity of Hangul can be affected by stroke frequency as well as by the type of alphabet combination (e.g., CV vs CVCC). Using a trigram presentation method, we found that participants who viewed characters with 2-7 stroke frequency had higher accuracy than those who viewed characters with 8-15 strokes only in their right visual field. No main overall difference or the difference in the left visual field was observed, suggesting that stroke frequency may not be a critical sensory limiting factor on the visual span for Hangul reading.

배수정(서울대학교 심리학과 & 심리과학연구소) ; 박주용(서울대학교) pp.517-541 https://doi.org/10.22172/cogbio.2016.28.3.007
초록보기
초록

능동적 학습을 촉진하는 한 방법은 학습자로 하여금 질문을 던지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실제 수업 장면에서 학생들은 질문을 많이 던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질문을 던지더라도 피상적인 수준에 머무른다는 것이 반복적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질문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실제로 학습 후에 그 질문이 평가되도록 하면, 질문의 양과 질이 향상되는지 그리고 학습 자료에 대한 이해도 향상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실험 1에서는 학습 방식과 학습 목표를 각각 두 수준에서 조작한 2x2 요인설계가 사용되었다. 학습 방식은 강의 듣기와 혼자 학습하기의 두 수준으로, 학습 목표는 질문 강조와 이해 강조의 두 수준으로 각각 세분되었다. 이렇게 구분된 4 집단 각각에 대해 학생들이 만들어 낸 질문의 양과 질, 그리고 학습 자료에 대한 이해도를 평가하여 그 차이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질문의 수와 질은 혼자 학습하며 질문을 강조한 집단이 가장 우수하였고, 이해는 학습 방식에 상관없이 질문을 강조하였을 때가 이해를 강조하였을 때보다 더 우수하였다. 실험 2에서는 실험 1의 결과를 상이한 분야와 난이도의 학습자료로 반복 검증하였다. 실험 1과 2의 결과는 교재로 자습하게 하고 질문을 강조할 때 학생들의 질문의 개수와 질이 가장 높음을 보여주었다. 이는 학생들의 질문을 증가시키고자 할 때 교수자와의 관계나 분위기를 비롯한 환경적인 요인을 개선함과 동시에 적절한 학습 방식과 목표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Abstract

One way to promote active learning is to have students think up questions on the subject matter. However, it has been repeatedly found that students in actual class setting, do not often ask questions and, if they do, usually ask superficial on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whether the number and quality of students’ questions improve if these questions are included in assessment and whether raising questions results in deeper understanding of the studied material. In Experiment 1, a 2 x 2 factorial design was used, in which two study conditions and two sets of directions were implemented. The two study conditions were listening to a lecture and self-studying. The two sets of directions were emphasis on raising questions and emphasis on comprehension. We compared the number and quality of questions and the level of comprehension among the four groups. Results revealed that the number and quality of questions were highest in self-study/question emphasis group. The level of comprehension was higher in question emphasis groups than in comprehension emphasis groups, regardless of the study conditions. In Experiment 2, we replicated the results of Experiment 1 using more easy learning material in another domain.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이경면(경북대학교 심리학과) ; 김초복(경북대학교) pp.543-562 https://doi.org/10.22172/cogbio.2016.28.3.008
초록보기
초록

오류의 원인을 이해하고 예측하는 것은 일상생활이나 산업현장에서 일어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하는 데 중요하다. 최근 오류 예측 연구에서는 고정된 시행 간 간격(inter-trial interval, ITI)의 인지 과제를 사용하여 성공적으로 오류를 예측하였지만, ITI을 고려하지 않아 오류 예측 모형을 일반적인 상황까지 적용하기가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오류 이전 여섯 시행들로부터 얻어진 반응시간과 ITI 추세, 그리고 오류 시행에서의 과제조건을 이용하여 기계학습을 통해 오류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다양한 오류의 유형이 분류 및 예측되었으며, 특히 ITI 추세에서 반복적인 ITI 패턴이나 시간 압력의 변화와 같은 요인들이 오류와 관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변화하는 ITI 변인이 오류예측에 중요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오류 발생과 관련된 피험자의 정신적 상태와 관련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양한 환경에서 다양한 유형의 오류를 예측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오류들이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causes of human errors and to predict errors in order to prevent various accidents in our daily lives and industrial fields. Although a previous study employing a fixed inter-trial interval (ITI) in a cognitive task successfully predicted errors, it is unlikely to generalize from the previous results to other situations. The current study sought to predict errors by reaction times, task conditions, and ITIs extracted from six consecutive trials preceding error trials, in the context of machine learning. The results showed that various types of errors could be observed and predicted. Especially, presence of repeated patterns or time-pressure chances in the ITI trends might be related to errors. This is interpreted that ITI variation is important to predict errors as well as related to participants’ mental states affecting error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various types of errors in a variety of situations can be predicted, in which those errors would be caused by various factors.

김혜윤(중앙대학교) ; 현주석(중앙대학교) pp.563-584 https://doi.org/10.22172/cogbio.2016.28.3.009
초록보기
초록

시각탐색 표적에 대한 기억 부담이 탐색 수행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연구는 그다지 흔치 않다. 본 연구는 시각탐색 과정에서 초점주의 집중을 반영하는 사건관련전위인 P3 성분을 측정해 표적에 대한 항목 단위 혹은 세부특징 단위의 시각작업기억 부담이 탐색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이를 위해 참가자는 표적 단서에 해당되는 두 개의 색상방위막대를 기억하고 뒤이어 출현한 네 색상 막대로 구성된 탐색 화면 내에서 표적의 유무를 판단해 보고하였다. 두 표적 단서막대는 색상 혹은 방위가 서로 동일하거나 달랐으므로 항목개수 차원의 표적에 대한 기억 부담은 하나 혹은 두 항목이었으나 세부특징개수 차원의 기억부담은 하나에서 네 세부특징까지 증감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측정된 P3 성분을 항목 및 세부특징 차원의 기억부담 증감 여부에 걸쳐 비교한 결과 항목 개수 차원의 기억 부담 증가에 따른 진폭 증가만이 확인되었으며 세부특징 개수 차원의 기억 부담 증가에 따른 진폭 증가는 분명하지 않았다. 이는 탐색표적에 대한 기억 부담 증가는 탐색 과정에서 요구되는 초점 주의 집중을 방해하며 이 때 탐색 수행을 방해하는 기억부담의 정도는 표적들의 개별 세부특징이 아닌 항목 개수 단위를 토대로 증감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Abstract

Few studies have examined the influence of target memory load on focusing attention during visual search.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VWM load imposed according either to the number of potential target items or to the number of their features by measuring P3 component supposedly reflecting the intensity of focused attention during visual search. In each trial, participants reported presence or absence of a target on a search array after memorizing two colored orientation bars that were provided as target-informative cues ahead of the search array. Across the trials, either the orientations or the colors of the bars, or both were manipulated to be the same or different, and thus the memory load from the target-informative cues in each trial was assumed to increase from one to two items according to the number of cue items whereas one to four features according to the total number of features on the cue items. When compared between these two alternative assumptions, the increase in P3 amplitude was better explained according to the item-load than the feature-load assump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increasing memory load for potential search targets can impair focusing of attention during visual search where the degree of memory load vari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potential target items rather than the total number of features in the targets.

강민석(성균관대학교) pp.585-592 https://doi.org/10.22172/cogbio.2016.28.3.010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Motion repulsion is a visual illusion in which perception of moving dots is shifted away from its actual direction with the presence of another field of dots moving in a different direction. Kang et al. (2011) have demonstrated that the motion repulsion also occurs for the perceived field of dots when subjects hold another field of moving dots in working memory. Here, it was tested whether the perceptual shift induced by working memory is resistant to the demand characteristics, subjects’ tendency of conforming to the expected hypothesis of the experimenter. Subjects were tested over two separate days. On the first day of participation, they were presented with a sequence of two random-dot motion displays and performed a perceptual judgment task for the second motion display while holding the first display in their working memory. On the second day of participation, the same experiment was run; but the subjects were informed that their performance was inaccurate (inaccuracy instruction group) or judgments were shifted away from the direction of the other motion stimulus (repulsion instruction group). Despite these instructions, perceptual repulsion was robustly reproduced. This result indicates that our visual working memory representation robustly alters perception, providing converging evidence for a close relation between working memory and perception.

강민석(성균관대학교 심리학과) pp.585-592
초록보기
초록

운동반발은 두 개의 무선점 운동(random-dot motion display)자극이 중첩되어 제시될 때 발생하는 착시현상으로, 지각된 운동방향은 실제 물리적인 운동방향에 비해 더 왜곡되어 보인다. Kang과 동료들(2011)은 이 착시현상을 이용해, 작업기억에 표상된 운동자극이 지각표상의 운동방향을 왜곡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서는 작업기억에 의한 지각표상의 왜곡이 피험자가 실험자의 의도에 맞게 실험결과를 내려는 경향, 즉 요구특성의 결과인지를 검토하였다. 피험자는 두 번에 걸처 실험에 참가하였는데, 두 번째 참가시, 처음 참가시 얻은 결과가 정확하지 못하거나, 실제 운동자극보다는 지각된 운동방향이 다른 운동자극의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왜곡되었음을 언급하고, 보다 정확한 반응을 요구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운동반발은 효과는 사라지지 않았다. 이는 작업기억과 지각표상이 상호작용함을 보여주는 선행연구에 수렴적인 증거를 제시하며, 그 상호작용에 있어 하향식 정보처리 기제의 한계를 보여준다.

Abstract

Motion repulsion is a visual illusion in which perception of moving dots is shifted away from its actual direction with the presence of another field of dots moving in a different direction. Kang et al. (2011) have demonstrated that the motion repulsion also occurs for the perceived field of dots when subjects hold another field of moving dots in working memory. Here, it was tested whether the perceptual shift induced by working memory is resistant to the demand characteristics, subjects' tendency of conforming to the expected hypothesis of the experimenter. Subjects were tested over two separate days. On the first day of participation, they were presented with a sequence of two random-dot motion displays and performed a perceptual judgment task for the second motion display while holding the first display in their working memory. On the second day of participation, the same experiment was run; but the subjects were informed that their performance was inaccurate (inaccuracy instruction group) or judgments were shifted away from the direction of the other motion stimulus (repulsion instruction group). Despite these instructions, perceptual repulsion was robustly reproduced. This result indicates that our visual working memory representation robustly alters perception, providing converging evidence for a close relation between working memory and perception.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