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김문수(전남대학교) ; 이혜진(전남대학교) pp.1-14 https://doi.org/10.22172/cogbio.2018.30.1.001
초록보기
초록

기억은 일반적으로 학습이 끝난 후 불안정한 상태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안정된 상태로 변화하는데, 이러한 과정을 기억 응고화라고 한다. 따라서 학습 후 불안정한 상태일 때 어떤 처치를 가하면 기억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기억을 회상하면 그 기억이 다시 불안정한 상태가 되었다가 안정화되는 재응고화 과정이 진행되는데, 역시 이 과정에 개입하여 기억을 변경시킬 수 있다. 기억의 응고화 또는 재응고화를 조절하려는 연구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약물 중 하나가 스트레스 호르몬인 에피네프린의 효과를 차단하는 프로프라놀롤이다. 본 논문은 기억의 응고화와 재응고화에 대한 기초 실험 연구들을 쉽게 설명하고, 이러한 연구들을 토대로 프로프라놀롤을 사용하여 외상후 스트레스장애(PTSD)를 예방하거나 치료하려는 임상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기초 실험 연구 결과는 프로프라놀롤이 기억에 미치는 효과를 상당히 일관되게 입증하고 있으나, 임상 연구 결과는 프로프라놀롤이 PTSD 치료에 쓰일 수 있는지에 관하여 현재 긍정적인 결과와 부정적인 결과가 혼재되어 있다. 앞으로 기억의 재응고화가 일어나게 되는 경계 조건을 알아낸다면 더 일관성 있는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그러한 치료법의 개발에 뒤따르는 윤리적 문제를 살펴보았다.

Abstract

Memory is labile immediately upon acquisition and becomes stable over time, and this process is called memory consolidation. If retrieved, previously-consolidated memory becomes labile again and re-consolidates. Thus, memory can be altered by intervening in either the consolidation or reconsolidation process. Propranolol is one promising drug that can block memory consolidation and reconsolidation. The present article reviewed basic research on memory consolidation and reconsolidation, and clinical trials of propranolol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linical studies are currently mixed with positive and negative results, and future research is warranted on boundary conditions in which memory reconsolidation occurs. Finally, ethical issues of using memory-altering drugs are discussed.

이한나(덕성여자대학교 심리학과) ; 김제중(덕성여자대학교) pp.15-33 https://doi.org/10.22172/cogbio.2018.30.1.002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Anxious individuals are known to process socially-relevant stimuli in an aberrant way, in both higher cognitive level and low level perceptual processing. While the majority of previous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anxiety on processing of nonverbal social cues using face stimuli, we employed point-light biological motion (BM) as main stimulus, noting that processing of bodily movements is also important. Through two different tasks, detection from noise and emotion recognition, the current study examined whether the level of trait anxiety has an influence on BM detection, whether emotional valence (anger, happiness, and neutral) of the stimuli could modulate the anxiety effect, and whether accuracy pattern for explicit emotion recognition from BM is consistent with the influence of implicit emotion processing in the detection task.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etection performances of high-anxiety group were poorer than those of low-anxiety group when the stimuli were emotionally neutral. In contrast, the performances of the two groups were comparable for emotional stimuli in both detection and emotion recognition tasks. The results imply that high level of trait anxiety is associated with decreased ability to process BM, which can be compensated if the stimuli convey emotional information.

이선경(영남대학교) ; 이윤형(영남대학교) pp.35-51 https://doi.org/10.22172/cogbio.2018.30.1.00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청각 단어재인 시 형태소 정보의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단어 그 자체가 하나의 형태소인 단일어와, 두 개의 형태소가 결합되어 만들어진 합성어의 처리양상을 비교하였다. 실험 1에서는 청각 단어재인 시 단어빈도에 따라 형태소의 분리 처리 양상이 달라지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단어의 유형(단일어, 합성어) 및 단어빈도(고빈도, 저빈도)를 조작한 후, 청각 어휘판단 과제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고빈도와 저빈도 조건 모두 합성어가 단일어에 비해 어휘판단 시간이 느리고 더 부정확했다. 이는 합성어를 처리할 때 단어빈도와는 관련 없이 형태소가 분리되어 처리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실험 2에서는 음절빈도 효과를 바탕으로 형태소 분리 처리 여부를 재검증하였다. 일반적으로 형태소 정보는 단어재인에 촉진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음절빈도는 억제적인 영향을 미친다. 합성어의 경우 음절의 단위와 형태소의 단위가 일치하므로, 만일 형태소가 분리되어 처리된다면 음절빈도 효과에 형태소의 효과가 혼입될 수 있다. 단어유형과 음절빈도(고빈도, 저빈도)를 조작한 후 청각 어휘판단 과제를 실시한 실험 2의 결과, 합성어에 비해 단일어에서 더 큰 음절빈도 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합성어의 경우 첫 음절 형태소의 촉진적 효과가 음절빈도의 억제적 효과를 감소시켰기 때문이라 짐작할 수 있다. 종합하면 본 연구의 결과는 청각 단어재인 시 형태소가 분리되어 처리되며 단어의 형태소 특성에 따라 음절빈도 효과가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을 보여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ole of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n Korean spoken word recognition. To do so, Experiment 1 examined whether compound words are sub-divided into morphemes. In this experiment, word types (simple words, compound words) and word frequencies (high, low) were manipulated. Participants performed an auditory lexical decision task. As results, regardless of word frequency, simple words were recognized better than compound words. The results indicate that compound words were separated into morphemes irrespective of word frequency. Experiment 2 further examined the effect of morphological decomposition by adapting syllable frequency effects. In Korean 2 syllable compound words, the first syllable contains a certain morpheme while it is only a part of a morpheme in simple words. Therefore, unlike in simple words,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syllable of the compound words may have some influences on the syllable frequency effect. Experiment 2 showed larger the syllable frequency effect for simple words compared with compound words, which suggested that facilitation effect of morpheme offsets the inhibitory effect of syllable frequency. Overall, the current experiments clearly suggested that morphological decomposition does occur during spoken word recognition of the Korean compound word.

이하영(중앙대학교) ; 조수현(중앙대학교) pp.53-60 https://doi.org/10.22172/cogbio.2018.30.1.004
초록보기
초록

최근 수의 순서 정보가 어떻게 표상되는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성인을 대상으로 상징적 숫자와 비상징적 선분을 사용한 순서 비교(Order Comparison, OC) 및 크기 비교(Magnitude Comparison, MC) 과제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각 과제에서 측정한 거리 효과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각 거리 효과와 수학 성취도와의 관계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숫자 OC 과제에서 자극 간 거리가 작을 때 더 효율적인 수행이 관찰되는 역 거리 효과가 나타난 반면, 길이 OC 및 MC 과제에서는 자극 간 거리가 클 때 더 효율적인 수행이 나타나는 고전적 거리 효과가 관찰되었다. 또한, 숫자 OC 과제와 숫자 MC 과제, 길이 OC 과제와 길이 MC 과제, 숫자 OC 과제와 길이 MC 과제의 거리 효과 간 상관관계가 유의하였다. 여러 거리 효과 중에서 숫자 OC 과제의 역 거리 효과만이 수학 성취도를 예측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선행 연구와 함께 고려하면, 서수와 기수 표상 간에 부분적으로 공유되는 체계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으나 수학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은 발달 단계 등에 따라 서로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There has been growing interest in ordinal representations and their contributions to mathematical cognition. The present study measured distance effects based on magnitude/order comparison (MC/OC, respectively) tasks using symbolic numbers and non-symbolic lines as stimuli. We examined whether distance or reverse distance effects from these tasks are correlated with one another as well as with math achievement. A reverse distance effect (i.e., better performance when the distance between stimuli is smaller) was observed from the Number OC task, while canonical distance effects were observed from the Length OC and MC tasks. There were correlations between distance effects from Number OC and MC tasks, between Length OC and MC tasks and between Number OC and Length MC tasks. Among all, only the reverse distance effect from the Number OC task predicted math achievement scores in a linear regression model. These results suggest that cardinal and ordinal representations may depend on partially shared mechanisms, yet they may independently contribute to math achievement during distinct phases of development.

김나래(중앙대학교) ; 조수현(중앙대학교) pp.61-68 https://doi.org/10.22172/cogbio.2018.30.1.005
초록보기
초록

공간 수 반응 코드 연합(Spatial-Number Association of Response Codes; 이하 SNARC) 효과는 왼쪽 공간에서 작은 수가, 오른쪽 공간에서 큰 수가 더 빠르고 정확하게 처리되는 현상을 말한다. SNARC 효과는 수 표상의 특성을 반영하는 주요한 현상으로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숫자 자극에 대한 색상 변별 과제를 사용하여 수의 의미적 정보가 자동적으로 처리되는지를 확인하고, 두 실험 블록 간에 제시되는 수의 범위를 달리하여 SNARC 효과의 패턴이 수 범위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관찰하였다. 첫 번째 블록에서는 2-9, 두 번째 블록에서는 1-50까지의 숫자 자극에 대한 색상 변별 과제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색상 변별 시에, 한 블록 내에 사용된 전체 수 범위와 비교할 때 6-9가 작은 수 범위에 속할 때에는 왼손의 반응이 더 빨랐지만, 큰 수 범위에 속할 때에는 오른손의 반응이 더 빨랐다. 이러한 결과는, 상대적으로 작은 수는 왼쪽 공간과, 큰 수는 오른쪽 공간과 연합되어 있음을 시사하며, 블록 내 제시되는 전체 수 범위에 따라 동일한 숫자의 상대적 크기에 대한 자동적 해석이 달라짐을 확인시켜 준다.

Abstract

The Spatial-Numerical Association Response Codes (SNARC) effect refers to the phenomenon in which smaller vs. larger numbers are responded to more efficiently in the left vs. right side of space, respectively. The SNARC effect is studied as an important phenomenon that reflects the nature of numerical representations. The present study examined whether the SNARC effect is observed during color judgement of numbers in order to verify whether number magnitude is automatically processed. In addition, two blocks of experiments were administered using a different range of numbers (2-9 for block 1 and 1-50 for block 2) in order to verify whether the pattern of the SNARC effect depends on the number range within an experimental block. As a result, the left hand responded faster to numbers 6-9 in block 1, but the right hand responded faster to the same numbers in block 2. This result confirms that the SNARC effect occurs automatically in a context-dependent pattern even during color judgment which does not require processing of number magnitude. The present study implies that the relative magnitude of a number is processed automatically with reference to the current experimental context.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