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신홍임(강원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 pp.157-172
초록보기
초록

유사한 글을 반복해서 읽을 때의 이득(예: 독서시간 절약)은 어떻게 매개되는가? 글의 정보가 각각 표면특성(surface feature), 텍스트기저(textbase) 및 상황모형(situation model)수준에서 저장된다고 가정할 때, 반복독서효과는 글의 표면특성이나 텍스트기저보다는 독자가 능동적으로 찾아내는 글의 의미구조인 상황모형을 통해 매개된다는 맥락의존적 표상모델(Raney, 2003)의 한 가설을 본 연구에서는 검증하였다. 한국어와 독일어에 모두 능통한 이중언어 사용자 80명을 대상으로 여러 종류로 변형된 이야기를 유사한 혹은 달라진 상황모형안에서 한국어와 독일어로 제시하였다. 각각의 글에 대한 독서시간을 측정하였을 때 상황모형만 유사하면, 첫 번째와 두 번째 독서시에 원본과 번역본이 서로 교차되어 글의 언어가 바뀌어도 새 글에 비해 더 빨리 처리됨을 관찰하였다. 상황모형이 변화된 글은 표면특성과 텍스트기저가 유사해도 새 글을 읽는 시간에 비해 이득을 찾을 수 없었다. 이 연구결과는 한국어와 독일어의 글이 표면특성과 텍스트기저에서 차이가 있어도 상황모형을 서로 공유하기 때문에 반복독서의 효과가 매개됨을 보여준다. 논의에서는 반복독서효과에 관한 후속연구들의 진행방향을 다루었다.

Abstract

Suppose you read a novel twice. The odds are high that you will read it faster during the second reading. This is known as a text repetition effect.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that facilitate rereading. To explain text repetition effects, Raney(2003) proposed a context-dependent representation model. The basic assumptions of the model are that the surface features and textbase are represented in a context-independent manner, and that a coherent situation model binds together the surface features and the text base and leads to context-dependent representation. When a situation model is well developed, overlapping situation models support a rereading benefit. Little or no repetition benefit is expected, when situation models are well developed but there is no semantic overlap between them. In this case, repeating surface forms and textbase will not produce repetition effects. This experiment explored whether rereading effects transfer across two different languages. Fluent Korean-German bilinguals read texts twice either in the same language or in the different, while the texts shared either only the words or also the situations. Repetition effects were found only for texts, in which situation models were preserved, although the translations altered the surface form and textbase. This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role of a situation model is important for bilingual repetition effects, and that the context-dependent model provides a theoretically meaningful guide for understanding and explaining text repetition effects.

신홍임(강원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 pp.157-172
초록보기
초록

유사한 글을 반복해서 읽을 때의 이득(예: 독서시간 절약)은 어떻게 매개되는가? 글의 정보가 각각 표면특성(surface feature), 텍스트기저(textbase) 및 상황모형(situation model)수준에서 저장된다고 가정할 때, 반복독서효과는 글의 표면특성이나 텍스트기저보다는 독자가 능동적으로 찾아내는 글의 의미구조인 상황모형을 통해 매개된다는 맥락의존적 표상모델(Raney, 2003)의 한 가설을 본 연구에서는 검증하였다. 한국어와 독일어에 모두 능통한 이중언어 사용자 80명을 대상으로 여러 종류로 변형된 이야기를 유사한 혹은 달라진 상황모형안에서 한국어와 독일어로 제시하였다. 각각의 글에 대한 독서시간을 측정하였을 때 상황모형만 유사하면, 첫 번째와 두 번째 독서시에 원본과 번역본이 서로 교차되어 글의 언어가 바뀌어도 새 글에 비해 더 빨리 처리됨을 관찰하였다. 상황모형이 변화된 글은 표면특성과 텍스트기저가 유사해도 새 글을 읽는 시간에 비해 이득을 찾을 수 없었다. 이 연구결과는 한국어와 독일어의 글이 표면특성과 텍스트기저에서 차이가 있어도 상황모형을 서로 공유하기 때문에 반복독서의 효과가 매개됨을 보여준다. 논의에서는 반복독서효과에 관한 후속연구들의 진행방향을 다루었다.

Abstract

Suppose you read a novel twice. The odds are high that you will read it faster during the second reading. This is known as a text repetition effect.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that facilitate rereading. To explain text repetition effects, Raney(2003) proposed a context-dependent representation model. The basic assumptions of the model are that the surface features and textbase are represented in a context-independent manner, and that a coherent situation model binds together the surface features and the text base and leads to context-dependent representation. When a situation model is well developed, overlapping situation models support a rereading benefit. Little or no repetition benefit is expected, when situation models are well developed but there is no semantic overlap between them. In this case, repeating surface forms and textbase will not produce repetition effects. This experiment explored whether rereading effects transfer across two different languages. Fluent Korean-German bilinguals read texts twice either in the same language or in the different, while the texts shared either only the words or also the situations. Repetition effects were found only for texts, in which situation models were preserved, although the translations altered the surface form and textbase. This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role of a situation model is important for bilingual repetition effects, and that the context-dependent model provides a theoretically meaningful guide for understanding and explaining text repetition effects.

박창호(전북대학교) pp.173-185
초록보기
초록

한글 글자의 지각에서 처리단위를 밝히기 위해 글자의 사용 여부를 판단하게 하는 과제를 사용하여 두 실험을 계획하였다. 받침 있는 횡모음 글자(‘곡’) 및 종모음 글자(‘각’)들을 세 사용빈도 수준에서 골고루 표집하여 총 84개의 글자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 1은 글자핵 내의 초성과 중성의 자극강도를 독립 조작하였으며, 실험 2는 글자 내의 글자핵(초성과 중성)과 종성의 자극강도를 독립 조작하였다. 자극강도의 조작은 글자 부분들의 집단화에 영향을 준다는 가정에서, 두 부분이 동일한 강도를 가질 때 더 좋은 수행을 보인다면 이는 두 부분이 한 집단으로 처리되기 쉽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실험 결과, 글자핵 내 초성과 중성의 자극강도가 같을 때 반응시간이 더 짧았으며(실험 1), 글자핵과 종성이 같은 강도일 때 반응시간이 더 짧았다(실험 2). 이 결과는 글자 사용 여부 판단과제에서 글자핵 및 글자 전체가 한 덩어리로 처리됨을 시사한다. 또한 전반적으로 횡모음 글자에 비해 종모음 글자가 더 잘 지각되었다. 한글 글자 지각 단위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

Abstract

Two experiments were planned to investigate the processing unit of Hangul syllable blocks using the task to judge whether a syllable is being used or not. Eighty-four syllable blocks were sampled and used from two kinds of syllable block types, horizontal vowels with finals and vertical vowels with finals, and three levels of syllable use frequency, high, middle, and low. Experiment 1 manipulated the stimulus intensity of initials and medials in a syllable body independently, and experiment 2 the stimulus intensity of syllable bodies and finals independently.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intensity manipulation would have an effect on the grouping of parts in a syllable block,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two parts are processed in a group if they show better performance when their stimulus intensities are equal than when unequal. The results showed that not only initials and medials (Exp. 1) but also syllable bodies and finals (Exp. 2) made shorter response time when their stimulus intensity were equal than when unequal. This indicates that both syllable bodies and syllable blocks are processed in a whole in Hangul perception. And syllable blocks with vertical vowels and finals were perceived better than those with horizontal vowels and finals. An issue about the processing unit of Hangul perception was discussed.

오아림(서울대학교) ; 김정오(서울대학교) pp.187-202
초록보기
초록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들은 한국어의 폐쇄자음의 삼중 대립음소들(연음, 경음, 격음)을 잘 지각하지 못한다. 그 한 이유는 외국인들은 자신의 모국어에서 자음들의 구분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음향 차원이나 몇 가지 음향 값들이 연합되어 형성된 특정한 음향 차원에 주의를 기울이며, 한국어를 들을 때도 이 차원에 주의하기 때문일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말소리의 세기(amplitude)를 낮추는 조작을 통해 조음위치와 관련된 음향 차원의 정보를 감소시키고, 한국어 폐쇄자음의 3중 대립의 구분과 관련된 음향 차원의 정보를 적게 감소시켜 이 차원에 선택주의가 주어지는 새 방법을 고안하였다. 실험 1은 한국인과 일본인을 대상으로 말소리의 세기 조작이 삼중대립의 지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실험 2는 일본인을 대상으로 소리 세기 조작이 삼중대립의 학습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였다. 두 실험의 결과들은 말소리의 세기를 조작하면 삼중대립의 지각에 중요한 음향차원에 선택주의가 잘 주어지며, 이 때문에 지각 및 학습이 촉진됨을 시사한다.

Abstract

Most foreigners who learn Korean cannot correctly perceive and articulate a three-way distinction of Korean stop consonants(lenis, fortis, aspirated). One explanation of this phenomenon argues that they focus on more than one specific dimension of phonetic contrasts in their own languages and may thus attend the same dimensions when they listen to Korean. Such processing strategy should be inappropriate in perceiving Korean. We examined a hypothesis that decreasing th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dimension that are focused on in foreigners' mother tongues and thus inappropriate for the perception of the phonetic contrasts in Korean can make learners attend other dimensions that are appropriate for Korean speech perception. To test this hypothesis, we manipulated the amplitudes of Korean speech sounds. Experiment 1 examined the effect of manipulating the amplitudes of speech sounds on perception of a three-way distinction of Korean stop consonants with Korean and Japanese participants. Experiment 2 examined whether the amplitudes manipulation affects Japanese participants' learning a three-way distinction of Korean stop consonants. The results of two experiments suggest that decreasing amplitudes of speech sounds can make learners attend to the dimensions that are appropriate for the three-way distinction of Korean stop consonants and that such attention facilitates Japanese learners' perceptual learning of the three-way distinction.

권효원(이화여자대학교) ; 이혜원(이화여자대학교) ; 김선경(이화여자대학교) pp.203-22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어휘판단과제를 사용하여 한글 고빈도단어와 저빈도단어에서 의미점화효과의 크기를 비교하였다. 실험 1에서는 50 ms의 SOA를 사용하였고, 실험 2에서는 80 ms, 실험 3에서는 200 ms의 SOA를 사용하여 점화단어의 제시시간을 다르게 조작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SOA에서 고빈도단어의 반응시간이 저빈도단어에 비해 짧았다(단어빈도효과). 둘째, 모든 SOA에서 점화와 표적 간 의미적 관련조건에서 표적단어의 반응시간이 무관련조건에 비해 짧았다(의미점화효과). 가장 중요한 결과로서 단어빈도와 의미점화 간 상호작용이 관찰되었는데, 의미점화효과는 표적단어가 고빈도일 때보다 저빈도일 때 더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빈도와 맥락 간 상호작용은 80 ms와 200 ms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관찰되었다.

Abstract

We compared the magnitude of automatic semantic priming effects in high-frequency and low-frequency words in Hangul (Korean writing system) using lexical decision tasks. The duration of prime words (SOA) was manipulated as 50 ms, 80 ms, and 200 ms in Experiments 1, 2, and 3, respectively. In all three experiments, response latency was shorter for high-frequency target words than for low-frequency target words (word frequency effects). Response latency was also shorter when a target word was semantically related to a prime word than when it was semantically unrelated to a prime word (semantic priming effects). Most importantly, there was an interaction between word frequency and semantic priming effects: semantic priming effects were larger for high-frequency target words than for low-frequency target words. This intera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both 80 ms and 200 ms SOAs.

이준범(부산대학교) ; 이재식(부산대학교) pp.221-23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항해 과제 수행의 난이도에 영향을 주는 대표적 변인들(충돌위험 정도, 목표선박 거동 유형 및 주변 선박 수)을 체계적으로 조작한 조건들에서 항해사의 상황인식 훈련이 항해사의 선박 제어 및 상황인식 능력에 어떠한 차이를 가져오는지 충실도 높은 항해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항해 수행과 관련된 상황인식 훈련을 받은 조건에서 실험참가자들은 선박제어(목표선박과 더 안전한 거리 유지와 실제 충돌 비율의 감소)와 레이더 감시 수행(레이더에서 제시되는 정보에 대한 더 빠른 반응시간), 항해 상황에 대한 파악(주변 항해 상황에 대한 높은 자유회상률) 등의 측면들에서 모두 훈련을 받지 않은 조건에 비해 수행이 우수하였다. 둘째, 훈련을 받지 않은 실험참가자들은 목표선박이 관례상황에서 항로를 변경하는 경우 선박제어나 항해 상황에 대한 전반적 파악에 가장 큰 어려움을 겪었으나 훈련 이후에는 이러한 경향이 크게 감소하여 동일한 조건에서 수행이 향상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하면, 항해 수행에서의 상황인식에 대한 여러 요소들의 훈련은 항해사들의 기본적 선박제어 능력뿐만 아니라 주변 요소의 통합적 파악 및 이를 바탕으로 한 예측 능력 모두에서 우수한 수행을 이끌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ariner's situation awareness(SA) training on navigation performance using full mission ship-handling simulator. For this purpose, 20 mariners were trained in terms of various aspects of SA by providing performance feedback, instructions to monitor the radar information, to integrate navigation-related elements, and to anticipate the possible future situation based on present situation.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risk levels of ship-to-ship collision, movement types of target ship(TS), and number of ships around the own ship(OS) were systematically varied, and dependent variables of closest point of approach(CPA) between TS and OS, number of collision, radar detection reaction time, and free recall performance of current situation were measured.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training on mariner's SA appeared to induce improved performances both of ship handling and SA(i.e., mariners in the post-training session showed longer CPA, lower collision rate, faster radar monitoring time, and higher free recall rate than the pre-training session). Second, mariners in the routine navigation situation where TS had priority following maritime rules seemed to suffer to prepare collision avoidance when the TS altered the path. However, this tendency greatly reduced after the training. These results suggest the benefit of mariner's SA training on maritime safety.

남종호(가톨릭대학교) ; 차지선(가톨릭대학교) pp.239-26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시각탐색과제를 사용하여 타원의 수직 및 수평방위와 음영이 생성한 형태 입체 정보가 어떠한 차별적 처리 효과를 가지는지 알아보았다. 실험 1에서는 타원의 장축과 단축의 비율을 1:4, 2:4, 3:4로 구성하여 수평 및 수직 방위성의 정도를 조작하였고, 각각의 표적/배경 역할을 바꾸어 탐색 수행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실험 2에서는 음영이 첨가된 타원으로 오목 또는 볼록을 구성하고, 방위를 조작하였다. 방위의 효과는 실험 1, 2를 통하여, 수평 자극을 배경으로 갖는 수직 표적자극은 반대의 자극 구성에 비해 탐색시간이 짧았으며, 표적유무에 따른 탐색 기울기 차이도 없었다. 실험 2에서 조작한 음영의 효과는 방위가 동일한 경우 볼록 자극을 배경으로 갖는 오목 표적 자극이, 반대의 자극 구성에 비해 탐색시간이 짧았다. 특히 배경이 볼록 자극으로 구성된 경우, 오목 표적의 탐색기울기가 방위 간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배경이 오목 자극으로 구성된 경우 수평 방위와 수직 방위의 탐색 기울기가 차이 있는, 즉 방위와 음영 정보의 상호작용이 있었다. 수평 배경 자극은 음영이 볼록인 경우는 빠른 표적 탐색 수행을, 그리고 오목인 경우는 표적 탐색 수행이 크게 저하되었으며, 반면에 수직 배경 자극은 음영 정보에 따른 수행의 병화가 수직의 경우와는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수직과 수평이 시각체계에서 차별적으로 처리될 가능성을 시사하는 결과를 얻었으며, 특히 수평 볼록 자극은 목표 자극의 pop-out을 가장 강하게 하는 배경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정상적인 조명이 있는 자연 장면에서 수평 자극은 배경으로, 수직 자극은 전경으로 지각하는 편향이 있을 개연성을 시사하고 있다.

Abstract

We investigated whether orientations shape-from-shading of oval pattern influence visual search processes differently. In Experiment 1, the strength of orientation was manipulated by using three ratios of vertical to horizontal axes and vice versa: 1:4, 2:4, 3:4. Each type of oval was used for target or distracter. In Experiment 2, shape-from-shading was applied to oval pattern, so the patterns were convex or concave. In Experiment 1, vertically elongated oval target conditions were faster than horizontally elongated target conditions. And search asymmetry was getting obvious as ratio between horizontal and vertical axis became low. In Experiment 2, there was an interaction between orientation and shading. A vertical target was popped-out quickly against horizontal oval background. only when background was convex. In contrary, search for horizontal target against vertical background was faster in case of concave background than in convex. The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horizontal or vertical orientation are not equally sensitive in visual system. Visual system seems to find an vertical object at horizontal background easier than an opposite case under naturally lit environment.

손영숙(연세대학교) ; 양혜진(연세대학교) pp.263-280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1) 반응간섭을 일으키는 방해자극이 표적과 다른 반구에 제시되면 표적과 같은 반구에 제시될 때에 비해 간섭을 더 적게 일으키는지, 2) 표적과 같은 반구 또는 다른 반구에 제시된 방해자극이 높은 단서 타당도를 가진 주변단서에 의해 선택적 주의를 받게 되면 반응간섭이 증가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실험 1의 결과는 방해자극이 표적과 같은 반구에 제시되건 다른 반구에 제시되건 상관없이 간섭효과의 크기가 일정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 결과는 반응선택 단계에 작용하는 간섭의 경우, 지각적인 간섭과 달리 간섭을 유발하는 방해자극을 표적과 다른 반구에 제시하더라도 반구간 분리에 따른 이득이 작용하지 않는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러나 실험 2에서 표적 처리를 방해하는 부적절한 자극이 잘못된 주의를 받게 되자 반구간 분리에 따른 이득이 다시 나타났다. 즉, 표적과 같은 반구에 제시된 방해자극이 선택적 주의를 받을 때에만 반응간섭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고 표적과 다른 반구에 제시된 방해자극은 선택적 주의를 받더라도 반응간섭의 증가를 일으키지 않았다. 이 연구의 결과는 반구간 처리가 반구내 처리에 비해 방해자극으로부터의 간섭을 더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는 반구 독립성 가설을 부분적으로 지지하는 것이다.

Abstract

We ran two experiments to determine; 1) if interference due to competing responses (such as occurs in the Stroop task) can be reduced by between-hemisphere separation of target and distractor, and 2) if between-hemisphere separation of target and distractor was effective in reducing interference when the peripheral cue drove spatial attention to the distractor. In Experiment 1 where the peripheral cue was not provided, interference in the between- and within-hemisphere condition did not differ from each other. In Experiments 2, a peripheral cue of high validity was presented sometimes to the target location and sometimes to the distractor location. The results of Experiment 2 showed that between-hemisphere separation of target and distractor could effectively protect target processing from a distractor that mistakenly drew attention. The present results imply a possible role of an interhemispheric shielding mechanism to prevent wrong responses to the mistakenly selected stimulus at the attended location.

정경훈(고려대학교) ; 이만영(고려대학교) pp.281-309
초록보기
초록

Li와 Gilchrist(1999)가 제안한 최대 휘도 흰색 대응 법칙(highest luminance as white rule)과 면적 법칙(area rule)이 유채색을 포함한 Disk-Ganzfeld 조건에서도 성립하는지, 또한 이 법칙이 상이한 조명 조건 하에서도 안정적으로 성립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와 더불어 본 연구에서는 Ganzfeld의 중앙에 제시된 동일 명도의 무채색과 유채색 자극에 대한 밝기 평정치를 비교하여, 무채색과 유채색의 밝기 지각 특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유채색 Disk 자극과 무채색 Ganzfeld 자극을 함께 제시한 본 연구의 결과, Li와 Gilchrist의 두 가지 밝기 지각 법칙이 유채색을 포함한 실험 조건에서의 무채색 Ganzfeld에 대한 밝기 지각에도 적용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밝기 지각 법칙은 상이한 조명 조건을 사용한 실험 상황에서도 안정적으로 성립하였다. 마지막으로, 동일 휘도의 무채색과 유채색 Disk 자극에 대한 밝기 평정치를 비교한 결과, 보라색 Disk에 대한 밝기 평정치는 무채색 Disk에 대한 평정치와 매우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Disk 자극이 먼셀 명도 5와 7인 경우에는 빨강, 노랑, 초록, 파랑의 Disk 자극보다 무채색 Disk 자극이 더 밝게 지각되는 현상이 발견되었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examined whether two rules of lightness perception proposed by Li and Gilchrist (1999), the 'highest luminance as white rule' and the 'area rule,' can be extended to chromatic domain under two lighting conditions. The Disk-Ganzfeld display was employed for this purpose. The study further sought to compare lightness perception of achromatic stimuli with that of chromatic stimuli by presenting achromatic and chromatic stimuli in the center of the Ganzfeld.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two rules by Li and Gilchrist are applicable to lightness perception consisting of the achromatic Ganzfeld with chromatic center stimuli and that the visual system utilizes these rules even under two different lighting conditions. Finally, a comparison of the assessed lightness values of achromatic and chromatic Disk stimuli with the same Munsell values revealed that the achromatic Disk stimuli are perceived lighter than those of red, yellow, green, and blue with Munsell values of 5 or 7, but the lightness perception properties of purple colors are very similar to that of achromatic color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