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초보자와 숙련자의 한자 재인에서 음운과 철자 부호의 역할

Phonology and Orthography in Recognizing Hanja in Skilled and Less-skilled Reader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1998, v.10 no.1, pp.17-35
조증열 (경남대학교)
Hsuan-Chih Chen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두 실험에서 漢字의 意味를 처리하는 동안 音韻 정보가 活性化되는지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의미 범주화 과제를 사용하였으며 漢字 初步者들과 熟練者들의 수행을 비교하였다. 실험1과 실험2의 漢字 初步者들은 통제 자극보다 同音語인 방해 자극에 헛경보의 오반응을 더 많이 내는 同音語 效果를 얻었다. 또한 시각적으로 유사한 방해 자극이 통제 자극보다 오반응이 더 많은 視覺 類似 效果가 관찰되었다. 初步者들의 결과는 音韻 정보와 視覺 정보가 활성화되어 漢字의 의미 판단에 영향을 주는 것을 시사한다. 반면에 실험2의 漢字 熟練者들은 同音語 效果와 視覺 類似 效果를 보이지 않아서, 音韻 정보와 視覺 정보가 漢字의 意味 판단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결과들은 音韻 정보와 漢字 정보의 사용은 讀書의 熟練度에 의존적인 것을 시사한다. 또한 단어 재인에서 音韻 媒介가 자동적이고 必然的인 과정이 아니라 選擇的인 것을 암시한다.

keywords

Abstract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phonological information was activated during semantic processing of hanja. In these experiments, both using a semantic categorization task, the performance of skilled hanja readers were compared with that of less-skilled hanja readers. The less-skilled hanja readers were found to produce more false positive categorization errors on homophone foils, as well as on graphically similar foils, than the errors on their controls. Thus phonological and visual information appear to affect the semantic task. However, skilled hanja readers were found to produce no phonological effect and no visual similarity effect. This indicates that phonological and visual information do not seem to affect the semantic task. Therefore, the present results suggest that the use of phonological and visual information depends on reading proficiency. Phonological activation appears to be an optional rather than obligatory process.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