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점화효과는 가산적인가 ?

Is Priming Effect Additive?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1999, v.11 no.1, pp.29-40
박주용 (한림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점화자극판에 탐사자극과 의미적 연관이 있는 두 단어가 제시되면 (예, "노루"와 "동물") 이들 중 하나만 제시되었을 때보다 (예, "노루"와 "나무"), 탐사자극(예, "사슴")에 대한 판단이 빨라진다. 이 결과는 점화효과가 가산적으로 일어남을 보여주는 증거라고 주장되고 있다. 하지만 가산성을 보여주는 연구에 절차상의 문제가 있고 관련되 연구들 간에 수렴적 타당화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이런 문제점을 염두에 두면서, 점화효과의 가산성(additivity)이 같은 단어의 반복에 의해서도 일어나는 지와, 의미적 연관이 있는 단어와 없는 단어가 동시에 제시된 상황에서도 점화효과가 관찰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실험 1에서 반복을 통한 점화 효과의 가산성은 관찰되지 않았고, 실험 2에서는 의미적 연관이 있는 단어가 연관이 없는 단어와 함께 제시되면 점화효과가 사라짐이 관찰되었다. 이 결과들이 기존의 연구에 대해 시사하는 점과 앞으로의 연구 방향이 논의되었다.

keywords

Abstract

In a lexical decision task with two primes and a target, some studies have shown that reaction times were faster when there are two related words in the prime display when there is only one. This has been regarded as evidence that priming is additive. However, the experimental conditions for these studies varied, and converging evidence for additivity is needed. In this context,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two following issues: (i) whether the additivity is obtained by word repetition, and (ii) whether priming occurs with the complex prime which has one related word and one unrelated word in the prime. Results from two experiments revealed that additivity is not observed in case of word repetition and complex primes do not produce the priming effect. Implications of the present study have been discussed.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