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한글단어의 인지과정에서 형태소 정보처리

Morphological Processing in Korean Word Recognition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1999, v.11 no.1, pp.77-91
이광오 (영남대학교 심리학과)
이인선 (영남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단어를 구성하는 글자 각각의 의미가 단어인지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반복점화과제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점화어와 표적어가 서로 동일한 의미의 글자를 공유하는 조건(예를 들어, "반칙" - "반항")과 서로 글자를 공유하나 그 글자의 의미가 동일하지 않은 조건(예를 들어, "반장" - "반항")을 설정하여 표적어에 대한 어휘판단시간을 비교하였다. 점화어와 표적어의 상이에 7-13개의 덤시행을 삽입한 실험 1에서는, 형태소 중복 조건에서 촉진적 점화효과가 유의하였고 표기 중복 조건에서는 점화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심성어휘집에서 형태소 수준 표상의 실재를 시사한다. 실험 2에서는, SOA를 300 ms로 하고 표적어를 점화어의 직후에 제시하여, 어휘근접과정에서 형태소 수준 표상의 역할을 조사하였다. 형태소 중복의 점화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표기 중복의 억제적 점화효과만이 관찰되었다. 또한 쾌속반응자와 저속반응자의 수행 양상에 차이가 나타났다. 실험 1과 실험 2의 결과를 바탕으로, 형태소 수준 표상과 어휘 수준 표상과의 관계, 어휘근접에서 형태소 표상의 역할, 단어인지 수행과 형태소 처리의 관계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Abstract

In two experiments, the representation and processing of disyllabic Hanja words written in Hangul were studied. Hanja words are originated from China and Japan, but are in these days generally written in Hangul, the Korean script. Each syllable in Hanja words represents a bound morpheme and many Hanja morphemes are written as an identical Hangul syllable. Experiment 1 was a repetition priming experiment using the lexical decision task and the materials presented at long lags. The prime-target pairs were either identical("반항"-"반항"), morphologically related("반칙"-"반항"), orthographically related("반장"-"반항"), or unrelated("공개"-"반항"). Significant facilitation was obtained only for morphologically related prime-target pairs. Experiment 2 was a short-term priming experiment using the lexical decision task and the same materials. The morphological facilitation effect obtained in Experiment 1 disappeared, but significant inhibition effect was obtained for orthographically related pairs. The overall results were interpreted in terms of an interactive activation model, and the individual difference in morphological processing and the position effect of morphemes in Hanja words were discussed.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