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재인기억의 의도적 회상과 친숙성 추정에 미치는 처리수준 효과

Level-of-Processing Effects on Estimating Recollection and Familiarity in Recognition Memory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1999, v.11 no.2, pp.211-225
박미자 (연세대학교 인지과학연구소)
박태진 (전남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재인기억에 대한 의도적 회상과 친숙성 추정치에 처리수준 조작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처리-해리 절차를 사용하였다. 학습시 지각적 처리수준과 의미적 처리수준을 조작한 결과, 학습시 처리수준의 조작은 의도적 회상(Recollection)과 친숙성(Familiarity) 모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미적인 처리를 한 조건이 지각적인 처리를 한 조건보다 의도적 회상은 물론 친숙성에서도 높은 추정치를 얻었다. 한편 그림자극과 단어자극은 처리수준 조작과 관련해 의도적 회상과 친숙성의 추정에서 서로 다른 양상을 보였다. 의미적 처리 조건과 지각적 처리 조건 모두에서 그림 자극이 단어 자극보다 높은 의도적 회상을 나타냈다. 그러나 친숙성 과정과 관련해서 학습자극의 유형은 처리수준과 상호작용을 보였다. 지각적인 처리를 한 경우 그림자극이나 단어자극은 친숙성의 추정에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의미적인 처리를 한 경우 단어자극이 그림자극보다 더 높은 친숙성을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재인기억을 중재하는 친숙성 과정이 개념적 처리에 민감하다는 주장을 지지해 준다. 또한 재인기억에 미치는 의도적 회상과 친숙성이 독립적인 처리과정이라기보다는 실험변인에 따라 다른 양상을 나타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처리-해리 모형의 개념 및 기본 가정, 반론들을 논의하였다.

keywords

Abstract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level-of-processing effects on the contributions of recollection and familiarity in recognition memory. We manipulated levels of processing(physical processing vs. semantic processing) and stimulus format(word vs. picture) utilizing the process-dissociation procedure. The effects of the two variables were measured by estimating recollection and familiarity in recognition memory. Levels of process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estimation of recollection and familiarity. Semantic processing at the study phase increased the estimation of familiarity as well as recollection compared to physical processing. However, the pattern of dissociation among estimation of recollection and familiarity were not identical across levels of processing and stimulus format. Picture stimuli showed higher estimation of recollection than word stimuli in both semantic and physical processing condition. However, picture did not differ from word in terms of estimation of familiarity in the physical processing condition. In contrast, word showed higher estimation of familiarity than picture in the semantic processing condition. The present findings are not consistent the process-dissociation framework which assume that recollection and familiarity are independent and familiarity in recognition mediates perceptual process. The results rather support the proposal that familiarity in recognition may be more sensitive to conceptual processing.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