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6-9654
시각적 대상이 차지하고 있는 위치는 공간 표상에 어떤 형식으로 부호화되고 선택되는가? 본 연구는 위치 표상과 관련된 이러한 의문들에 답하기 위해 시각탐색 과정에서 공간적 주의가 유도된 위치와 화살표 탐사자극이 상징하는 위치의 관계를 탐사 반응시간을 측정하여 알아보았다. 피험자들은 일차과제로 시각 탐색과제를, 이차과제로 탐사과제를 수행하였다. 실험 1에서는 방위로 정의된 탐색요소가 사용되었는데, 탐색요소와 탐사자극의 제시간격(stimulus onset asynchrony; SOA)이 150ms일 때, 탐사자극인 화살표가 표적자극이 나타났던 위치를 가리킬 때가 그렇지 않을 때보다 화살표에 대한 반응시간이 더 빨랐다. 탐색 표적 자극이 색으로 정의된 실험 2에서도 탐사자극에 대하여 이러한 주의 이득(attentional benefit)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시각적 선택이 대상들의 절대적, 물리적인 공간 표상이 아니라, 혹은 그와 동시에, 상대적이고 상징적인 공간 표상에도 근거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의 수많은 연구에서 보여온 공간적 주의 효과가 단순히 물리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주위가 주어졌기 때문만은 아님을 시사한다.
How does the visual system encode and select the locations of visual objects? To examine the question, we used a symbolic spatial probe technique and observ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ipheral location of search elements and the symbolic orientation of a central arrow-probe. In two experiments, probe responses were faster when the arrow pointed to the target location than when it pointed to one of the distractor locations, indicating that discriminating the arrow was sensitive to the location of the target and the spa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target and distractors. It is possible that some more abstract type of spatial coding occurred during search, and that visual selection occurred based not (or not only) on a physical or absolute location per se, but on symbolic or relative spatial relation. Based on the evidence, implications for cognitive theories of spatial attention will b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