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대상의 움직임 파악에 미치는 색상 정보의 비선형적 영향

Nonlinear contribution of chromatic information to identifying an object motion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2001, v.13 no.3, pp.173-192
김정훈 (KAIST 인문사회과학부)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색상운동정보처리의 특성을 밝히고자, 색상운동에서의 운동밀침과 운동응집/운동해리 현상의 존재여부, 그리고 지각된 운동방향을 정신물리학적으로 조사하였다. 등휘도 색상운동 자극을 사용한 실험 결과, 색상운도용소간에서의 운동밀침 현상이 관찰되었고, 색상운동으로 구성된 plaid의 지각된 움직임 방향은 구성요소 운동방향의 vector sum방향에서 결정되며, 색상운동요소들간의 운동응집과 운동해리는 비선형 색상운동요소를 포함하여 인접한 두 운동요소의 가장 큰 방향각도 차이에 의해 결정됨이 밝혀졌다. 아울러, 색상운동정보와 휘도운동정보간의 상호작용도 관찰되었다. 이 결과는, 휘도운동과 유사하게, 시각생리학의 연구결과와 일치되는 선형과 비선형 경로의 정보 처리특성에 의해 색상운동이 잘 설명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keywords
색상운동, 휘도운동, 비선형적 처리, 운동밀침, 운동웅집, 운동해리

Abstract

Given parallel and independent processing stteams for color and motion, it is worth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for an isduminant chromatic motion, which has long been denied but now psychophysically demonstrated in many studies. I investigated characteristics of interation chromatic motion across cardinal axes and lurninacxe motion. Using a mufti-aperture pattern and a plaid canposed of isoltuninant duotnaric gratings and luminance grating, perceived direction, motion coherence/trarupamncy, and motion repulsion were psychophysically measured.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e existence of chromatic motion repulsion, vectore-sum computation for perceived motion direction of chromatic plaids, and the dependency of motion coherence/transparency on the angular differrnce of component motion ditections. There was the interaction of chromatic and luminance mo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hromatic motion processing is very analogous to luminance motion processing. It seems that there are two processing streams, one responsible for pure chromatic modulation and the other for 2nd-order chromatic contrast profile (at low temporal frequency), suggesting there is no reason to construct a 3rd-order structure for chromatic motion.

keywords
chromatic motion, luminance motion, nonlinear processing, motion repulsion, motion coherence, motion transparency
투고일Submission Date
2001-06-05
수정일Revised Date
2001-09-12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01-09-20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