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주의과제를 이용한 글자 처리단위의 연구

A Study of Processing Unit of Hangul Syllables Using Attention Task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2001, v.13 no.3, pp.213-233
박창호 (전북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네 실험에서 초성과 종성의 일치성과 글자 내의 자모들에 대한 주의과제를 조작하여 글자의 처리 단위를 알아보았다. 받침이 있는 종모음 글자 및 횡모음 글자가 자극판으로 사용되었다. 네 실험 모두에서 응집집과제의 반응시간이 매우 길었는데, 이는 자모들이 통합 처리되지 않음을 뜻한다. 실험 1과 실험 2는 각각 비-글자 및 글자 속의 초성과 종성을 판단하게 하였는데, 두 판단조건 모두에서 Garner 간섭과 Stroop 간섭이 관찰되었다. 이는 초성과 종성이 분리 처리되지 않음을 가리킨다. 초성과 중성을 판단하게 한 실험 3에서는 종모음 글자 유형에서만 Garner 간섭이 관찰되었고, 횡모음 글자 유형에서는 Garner 간섭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 결과는 초성과 종성의 통합 처리를 예언하는 글자핵 가설과 양립하기 힘들다. 중성과 종성에 대한 판단을 요구한 실험 4에서는 Garner 간섭이 관찰되지 않았는데, 이는 중성과 종성의 집단이 글자 처리단위는 가설을 부정한다. 네 실험의 결과는 글자 내 자모들이 전체로 통합되어 처리되는 것도 아니며 또한 완전히 분리되어 처리되는 것도 아니라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아울러 자극별, 자극 제시 상황, 및 과제의 문제, 그리고 글자 처리 단윙에 대한 후속 연구 문제 등을 논의하였다.

keywords
한글, 글자'글자 유형, 주의과제, Garner 간설, Stroop 간섭

Abstract

Processing unit of Hangul syllables was investigated by manipulating attention tasks to letters and congruity between consonants of Hangul syllables in four experiments. Two types of Hangul syllables, one with a vertical vowel(V) and the other with a horizontal vowel, were used as stimulus displays, where the first and the last letters were cocuonancs(that is, CVC). Response time condensation task was the longest in every experiment, which indicates integral or wholistic processing of Hangul letters is difficult. Regardless of the absence(Exp. 1) or the presence(Exp. 2) of a vowel in the display, Garner and Stroop interferences were observed in identification of C1 and C2. This means C1 and C2 were hard to be processed separably. Exp. 3 asked participanu to judge C1 and/or V, and observed Garner interference only in the display with a vertical vowel and no effett in the display with a horizontal vowel. This result conflicts with the 'syllable core' hypothesis suggesting that C1 and V would be integrated in syllable processing. There was no Garner interference in Exp. 4 requiring judgment of V and/or C2 in the display. This result is negative to the hypothesis suggesting V and C2 as a unit of syllable processing. With all the results, it was condudad Hangul letters in a syllable would be processed neither as an integrated whole nor as separate ones. Problems of stimulus set, conditions of stimulus presentation, and tasks, questions of fiuther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
Hangul, syllable, type of syliable, attention task, Garner interference, Stroop interference
투고일Submission Date
2000-02-01
수정일Revised Date
2000-08-24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00-09-20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