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6-9654
  • E-ISSN2733-466X
  • KCI

회피학습의 정도와 공포기억의 강도 사이의 관계 III: 학습상황 대 검사상황의 맥락변별의 효과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avoidance Learning and the intensity of conditioned fear III: Effects of context discrimination between Learning vs. testing situation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2002, v.14 no.1, pp.4-14
김문수 (전남대학교 심리학과)
김정희 (전남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공포조건형성의 한 형태인 양방향 능동회피학습을 충분히 숙달되도록 하면 그 학습시에 사용된 경고자극(또는 CS)에 대한 공포반응이 사라진다는 기존의 연구결과(예, Kamin 등, 1963)와 일치하지 않는 결과들이 최근에 보고되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결과가 동물들이 회피학습상황과 공포반응 검사상황을 변별하게 되었기 때문에 생겨났을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두 상황에 대한 변별 학습을 할 기회를 준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이 CS에 대해 나타내는 공포반응의 강도를 비교하였다. 공포반응 검사상황에서 나중에 회피학습에 사용될 CS에 흰쥐들을 사전노출시킨 이후에 회피반응을 충분히 숙달되게 학습시켰을 때, 이 동물들은 검사상황에 대한 그러한 사전노출을 경험하지 않은 동물들에 비해서 검사시에 CS에 대하여 약화된 공포반응을 보였다. 따라서 기존의 연구결과는 최소한 부분적으로는, 동물이 회피학습상황과 공포반응 검사상황이 다르며 후자의 상황에서는 CS가 전기충격을 수반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어느 정도 학습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이 결과는 그렇게 상황변별학습을 할 기회를 주지 않을 경우, 동물이 회피반응에 충분히 숙달되어도 CS에 대한 공포는 사라지지 않는다는 최근의 연구결과를 보강해주는 것이다.

keywords

Abstract

It is well known that in two-way active avoidance learning, animals that can avoid footshock successfully after extensive training show reduced fear or no fear at all to the stimulus (i.e., CS) used in the training. However, recent studies reported that animals with extensive avoidance training still show significant fear to the CS. The present study examined whether this discrepancy is due to context discrimination. That is, if extensively trained animals can discriminate between fear-testing and avoidance learning situations, then they would know that no shocks follow the CS in the testing situation, and consequently, show reduced fear to the CS. Fla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A preexposure group that received 24 presentations of CS alone in fear-testing box before avoidance learning, and a non-preexposure group that received avoidance training without preexposure to the testing situation. Both groups received 15 avoidance training trials on day 1, and were trained to the criterion of 27 consecutive avoidance responses on day 2. The fear-testing results indicate that while the non-preexposure group had normal level of conditioned fear to the CS, the preexposure group showed reduced fear to the CS. These findings support the context discrimination hypothesis and suggest that extensive avoidance training does not necessarily reduce fear to the CS.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