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6-9654
결 분리 과정에 관여하는 기제는 결의 속성에 따라 선형적 처리과정이 포함된 일차 탐지 기제와 비선형적 처리과정이 포함된 이차 탐지 기제가 있음이 많은 연구들에 의해 보고되었다. 또한 공간주파수 정보는 이들 기제가 국소 정보를 통합하는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본 연구는 결 요소의 확률분포를 조작하여 결의 밝기와 대비가 독립적으로 변할 수 있는 확률분포 공간에서 만들어진 결 자극을 사용하여 결 분리의 일차 탐지 기제와 이차 탐지 기제의 공간주파수 특성을 비교하였다. 시각도 당 0.15, 0.29, 0.58, 1.16, 2.30 주기의 다섯 공간주파수를 사용하였으며, 결 공간상의 11개 방향에 대한 결 분리 역을 측정하였다. 결 공간상에서 작용하는 결 분리 기제는 기존의 연구에서 밝힌 바와 같이 일차 결 탐지 기제에 해당하는 밝기 탐지 기제, 그리고 이차 결 탐지 기제에 해당하는 밝기 및 대비 정보가 결합된 속성에 반응하는 기제인 것으로 재차 확인이 되었다. 특히 두 기제의 공간주파수 특성은 공간주파수가 달라짐에 따라 두 기제의 민감한 축의 방향이 체계적으로 변화되기 보다는, 탐지 역의 변화가 관찰되었으며, 특히 1.16 cycles/degree에서 두 기제 모두 최대 민감도를 보이고, 공간주파수에 따른 역의 변화 패턴이 일치되었다. 본 연구는 일차 결 탐지 기제와 이차 결 탐지 기제의 공간주파수특성이 동시에 측정될 수 있는 자극 상황에서 두 기제가 상호 유사한 공간주파수특성을 보여주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일차 결 기제와 이차 결 기제 간 유사한 공간주파수 특성이 관찰된 이유, 그리고 이차 결 기제가 일차 결 기제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저 공간주파수에 조율되어있는 특성에 대한 가능한 설명을 두 단계 모형을 사용하여 논의하였다.
It has been well known that there are two kinds of texture segregation mechanisms; first-order texture detecting mechanism of linear processing, and second-order mechanism of nonlinear processing. The importance of spatial frequency selectivity has been demonstrated in constructing higher level of pattern perception from local texture segregated area. This study using a probability distribution space consisted of independent mean and variance dimensions measured segregation thresholds of various directions of texture pairs in space. Five spatial frequencies were applied to each direction respectively. In this space, two mechanisms were confirmed as previous studies identified; one was luminance-sensing, the other was negatively rectifying, luminance-and-contrast-sensing. Their thresholds varied similarly across the spatial frequencies, were peak at the same spatial frequencies, 1.16 cycles/degree. When an identical stimulus pattern was prepared to measure first- and second-order texture properties, similar selectivity of spatial frequency between two mechanisms was observed. It was discussed that two stage model could be used for the observed similarity of spatial frequencies between two texture detection mechanisms and general notion of second-order filter's tuning to lower spatial frequency than first-order.
(1999) 평균밝기와 대비성의 차원으로 구성된 결 공간에서 결 분리에 작용하는 두 가지 기제,
(2000) 부적 반정류 과정에 의한 결 경계 탐지,
(1999) Modulation frequency and orientation tuning of second-order texture mechanisms. ,
(1982) Organization and Representation in Perception,
(1987) Spatial frequency channels and perceptual grouping in texture segregation,
(1991) Theories of visual texture perception, CRC Press Macmillan
(1988) Early Vision and Texture Perception,
(1991) Computational modeling of visaul texture segregation Computational Models of Visual Processing, MIT Press
(1997) The Psychophysics Toolbox,
(1985) Three processing characteristics of visual texture segmentation,
(1968) Application of Fourier analysis to the visibility of grating Journal of Physiology,
(1994) Histogram contrast analysis and the visual segregation of IID textures.,
(19881986-2007) A general basis for studying non-Fourier motion perception Journal of Optical Society of America A,
(1993) Double- opponency as a generalized concept in texture segregation illustrated with stimuli defined by color Journal of Optical Society of America A,
(1975) Experiments in the visual perception of texture,
(1985a) Orientation sensitivity and texture segmentation in patterns with different line orientation,
(1985b1957-1968) Sensitivity for structure gradient in texture discrimination tasks,
(1997) The VideoToolbox software for visual psychophysics Transforming numbers into movies,
(1989) Contrast and spatial variables in texture segregation,
(1995) Measuring the Spatial Frequency Selectivity of Second-order Texture Mechanis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