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6-9654
  • E-ISSN2733-466X
  • KCI

우리글 명사 어절에서의 단어 빈도 효과: 안구운동 추적 연구

The frequency effect in Korean noun eojeols: An eye-tracking study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2008, v.20 no.1, pp.21-37
https://doi.org/10.22172/cogbio.2008.20.1.002
고성룡 (서울대학교)
홍효진 (서울대학교)
윤소정 (서울대학교)
조병환 (서울대학교)

초록

본 연구에서는 안구운동을 추적하여 우리글 명사 어절에서의 단어 빈도 효과를 알아보았다. 실험 1에서는 문장 읽기에서 표적 단어의 빈도 효과를 알아보았다. 실험 결과, 고빈도 표적단어의 첫 고정 시간 (단어에 처음 위치하여 머무른 시간), 주시 시간 (단어를 읽기 시작한 순간부터 단어를 벗어나기 전까지의 고정 시간의 합)이 저빈도 표적 단어의 시간들보다 짧았으며, 단일 고정 시간(단어에 단 한번 고정한 경우의 고정시간)도 유의할 정도로 짧았다. 실험 2에서는 실험 1에서 쓰인 표적단어와 관형격 조사(‘~의’)가 결합된 명사 어절의 읽기 과정에서 단어 빈도 효과가 나타나는지를 알아보았다. 실험 1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고빈도 단어로 구성된 명사 어절의 첫 고정 시간, 단일 고정 시간, 및 주시 시간이 저빈도 단어로 구성된 명사 어절보다 짧았다. 특히, 첫 고정 시간과 단일 고정 시간에서 명사의 빈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난 것은 명사 어절이 명사와 조사로 분리되어 처리된다는 민승기와 이광오(2005, 2007)의 가설을 지지한 것으로 해석되었다.

keywords
한국어, 명사 어절, 단어 빈도, 안구 운동, Korean reading, eojeol(noun cluster), word frequency, eye movement, Korean reading, eojeol(noun cluster), word frequency, eye movement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requency effect in the noun eojeols(noun cluster) in Korean using eye-tracking. In Experiment 1, high-frequency nouns were read faster than low-frequency nouns in sentence context. In Experiment 2, the target eojeol consisted of the nouns in Experiment 1 with the genitive case. Similar to Experiment 1, a noun eojeol with a high-frequency noun was read faster than that with a low-frequency noun. We discussed that these results support Min and Lee's hypothesis (2005, 2007), which claims that a noun eojeol in Korean would be initially analyzed into a noun and a bound morpheme like a case marker, in that the first fixation duration and single fixation duration were shorter in an eojeol with a high-frequency noun than in that with a low-frequency noun.

keywords
한국어, 명사 어절, 단어 빈도, 안구 운동, Korean reading, eojeol(noun cluster), word frequency, eye movement, Korean reading, eojeol(noun cluster), word frequency, eye movement

참고문헌

1.

고성룡 ; 윤낙영, (2007) 우리 문장 읽기에서 안구 운동의 특성:어절 길이, 단어 빈도 및 착지점 관련 효과, 인지과학

2.

이혜원 ; 권효원 ; 김선경, (2006) 한글단어재인에서 단어빈도와 의미점화효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3.

김흥규, (2000) 한국어 형태소 및 어휘사용빈도의 분석,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4.

민승기, (2005) 한국어 명사어절 처리에서의 단어 빈도 효과, 한국실험심리학회 겨울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5.

민승기, (2007) 한국어 명사 어절 처리의 세 단계 모형, 한국실험심리학회 겨울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6.

박태진, (2003) 한국어 단어의 주관적 빈도 추정치 및 단어 재인에 미치는 빈도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7.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연구원, (1998) 현대 한국어의 어휘빈도, 연세대학교

8.

이광오, (1993) 한글 단어인지과정에서 표기법이 심성어휘집의 구조와 검색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실험 및 인지

9.

이광오, (1996) 한글 글자열의 음독과 음운규칙, 한국심리학회지: 실험 및 인지

10.

이춘길 , (2004) 한글을 읽는 눈의 움직임, 서울대학교 출판부

11.

조명한, (2003) 언어심리학, 학지사

12.

Balota, D., (1984) Are lexical decisions a good measure of lexical access? The role of word frequency in the neglected decision stage,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Human Perception and Performance

13.

Balota, D., (2006) Visual word recognition: The journey from features to meaning in:Handbook of Psycholinguistics, ELSEVIER

14.

Forster, K., (1973) Lexical access and naming time, Journal of Verbal Learning and Verbal Behavior

15.

Graudo, H., (2000) Effects of prime word frequency and cumulative root frequency in masked morphological priming, Language and Cognitive Processes

16.

Henderson, J., (1990) Effects foveal processing difficulty on the perceptual span in reading: Implications for attention and eye movement control,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Learning Memory and Cognition

17.

Inhoff, A. W., (1986) Parafoveal word processing during eye fixations in reading: Effects of word frequency, Perception & Psychophysics

18.

Just, M. A., (1980) A theory of reading: From eye fixations to comprehension, Psychological Review

19.

Kliegl, R., (2006) Tracking the mind during reading: The influence of past, present, and future words on fixation durations,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General

20.

Marslen-Wilson, W., (1994) Morphology and meaning in the English mental lexicon, Psychological Review

21.

Masson, E. J. M., (2003) Using confidence interval for graphically based data interpretation, Canadian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22.

Niswander-Klement, E., (2006) The effects of root frequency, word frequency, and length on the processing of prefixed English words during reading, Memory and Cognition

23.

Pollatsek, A., (2006) Tests of the E?Z Reader model: Exploring the interface between cognition and eye?movement control, Cognitive Psychology

24.

Pynte, J., (2005) Parafoveal- on-foveal effects in normal reading, Vision Research

25.

Pynte, J., (2006) An influence over eye movements in reading exerted from beyond the level of the word: Evidence from reading English and French, Vision Research

26.

Rayner, K., (1998) Eye Movements in Reading and Information Processing: 20 Years of Research, Psychological Bulletin

27.

Rayner, K., (2004) The Effects of Frequency and Predictability on Eye Fixations in Reading: Implications for the E-Z Reader Model,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Human Perception and Performance

28.

Rayner, K., (1996) Eye Movement Control in Reading: A comparison of Two Types of Models,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Human Perception and Performance

29.

Rayner, K., (1986) Lexical complexity and fixation times in reading: Effects of word frequency, verb complexity, and lexical ambiguity, Memory & Cognition

30.

Seidenberg, M. S., (1984) When does irregular spelling or pronunciation influence word recognition, Journal of Verbal Learning and Verbal Behavior

31.

Stanners, R. F., (1979) Memory representation for morphologically related words, Journal of Verbal Learning and Verbal Behavior

32.

Stemberger, J. P., (1986) Form-oriented inflectional errors in language processing, Cognitive Psychology

33.

Taft, M., (1976) Lexical storage and retrieval of polymorphemic and polysyllabic words, Journal of Verbal Learning and Verbal Behavior

34.

Vitu, F., (2001) Eye movements in reading isolated words: evidence for strong biases towards the center of the screen, Vision Research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