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단어-단어 간섭 과제에서 의미 관련 효과

Semantic Relatedness Effects in Word-Word Interference Task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2021, v.33 no.4, pp.253-264
https://doi.org/10.22172/cogbio.2021.33.4.003
이현진 (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과)
이고은 (국립목포대학교 교양학부)
이혜원 (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본 연구는 단어-단어 간섭 과제를 사용하여 한글 단어 처리에서 의미 관련 효과를 검토하였다. 단어-단어 간섭 과제는 단어들이 인접하여 동시에 제시되는 장면에서 하나를 무시하고 목표로 하는 단어로 주의를 재빨리 옮겨 단어를 재인하는 과제이다. 이 절차를 통해 인접한 방해단어가 표적단어의 읽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볼 수 있다. 실험 1에서는 방해단어를 표적단어와 관련된 조건(관련조건)과 무관한 조건(통제조건)으로 나누어 의미 관련 효과를 조사했다. 실험 결과, 촉진적인 의미 관련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통제조건에 비해 관련조건에서 표적단어의 명명이 더 빠르고 정확했다. 실험 2에서는 방해단어의 의미관련성을 세분화하여 연상성에서만 관련된 조건(연상조건)과 연상성과 의미성 모두에서 관련된 조건(연상 및 의미조건)으로 나누어 의미 관련 효과를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촉진적인 의미 관련 효과는 연상 및 의미조건에서만 나타나고 연상조건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결과는 촉진적 효과가 발생하기 위해서는 의미성과 연상성이 함께 활성화가 이루어져야 하며, 연상성만으로는 효과를 보이기에 역부족일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keywords
단어-단어 간섭 과제, 의미 관련 효과, 한국어 단어 재인, word-word interference task, semantic relatedness effect, Korean word recognition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emantic relatedness effect of Korean words in the word-word interference task. In the task, the participant was asked to recognize the target word while ignoring the distractor word, in a scene in which words are adjacent and presented simultaneously. Through this procedure, it is possible to examine the impact of adjacent words on the reading of target words. In Experiment 1, the distractor was either related or unrelated to the target word. We found the facilitative relatedness effect that the naming of the target word was faster and more accurate in the related condition than in the control condition. In Experiment 2, we compared the relatedness effect between when the distractor was related to the target word only associatively (associative condition) and when it was related to the target word both associatively and semantically (associative and semantic condition). We found the facilitative effect only in the associative and semantic condition, but not in the associative condi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both semantics and association must be activated together for the facilitative relatedness effect, and that association alone may be insufficient to show the effect.

keywords
단어-단어 간섭 과제, 의미 관련 효과, 한국어 단어 재인, word-word interference task, semantic relatedness effect, Korean word recognition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