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6-9654
  • E-ISSN2733-466X
  • KCI

한국어 명사 어절 시각 재인에서 첫음절 및 타 위치의 음절이 미치는 영향: 토큰 빈도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the First Syllable and Syllables in Other Positions in Visual Word Recognition of Korean Noun Eojeol: Focusing on Token Frequency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2023, v.35 no.3, pp.151-164
이솔빈 (고려대학교 심리학부)
이은하 (고려대학교 지혜과학연구센터)
김준우 (고려대학교 심리학부)
김상엽 (고려대학교 지혜과학연구센터)
김제홍 (고려대학교 심리학부)
강진원 (광주과학기술원 기초교육학부)
이창환 (서강대학교 심리학과)
남기춘 (고려대학교 심리학부)

초록

본 연구는 한국어 어절을 구성하는 각 위치별 음절이 시각 어절 재인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총 406개의 명사 어절(3음절 203개, 4음절 203개)을 대상으로 시각 어휘 판단 과제를 시행하였으며, 선형 혼합 모형에 각 위치별 음절의 토큰 빈도, 어근 빈도, 어절 빈도, 조사 빈도를 변인으로 투입하였다. 분석 결과 3음절 및 4음절 어절에서 공통적으로 첫음절 토큰 빈도의 촉진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3음절 어절에서는 어절 빈도가, 4음절 어절에서는 어근 빈도, 4번째 음절 빈도, 조사 빈도의 효과가 유의하였다. 이러한 첫음절 토큰 빈도의 촉진 효과에 대하여 한국어 철자 음절과 음운 음절의 표상을 기반으로 논의하였다. 또한, 어절 길이에 따른 상이한 결과에 대해 다형태소 어휘의 혼합 처리 가설의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keywords
syllable, visual Eojeol recognition, facilitative effect of the first syllable frequency, orthographic syllable, hybrid hypothesis, 음절, 첫음절 빈도 촉진 효과, 어절 재인, 철자형 음절, 혼합 처리 가설

Abstract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syllables at each position in Korean words on visual word recognition. A total of 406 noun words (203 trisyllabic and 203 quad-syllabic) were presented in a visual lexical decision task. Linear mixed-effects models were employed, with token frequency of syllables at each position, root frequency, word frequency, and suffix frequency as predictor variables. The analysis revealed a significant facilitative effect of the token frequency of the first syllable on word recognition for both trisyllabic and quad-syllabic words. Additionally, word frequen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risyllabic words, while root frequency, fourth syllable frequency, and suffix frequency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quad-syllabic words. The facilitating effect of the token frequency of the first syllable was discussed in relation to orthographic and phonological representation of Korean syllables. Furthermore, the divergent results based on word length were discuss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ybrid processing hypothesis of multimorphemic words.

keywords
syllable, visual Eojeol recognition, facilitative effect of the first syllable frequency, orthographic syllable, hybrid hypothesis, 음절, 첫음절 빈도 촉진 효과, 어절 재인, 철자형 음절, 혼합 처리 가설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