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하이브리드 협력 방식이 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 두 영어 단어 조합 과제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Hybrid Collaboration Method on Performance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2023, v.35 no.4, pp.229-242
https://doi.org/10.22172/cogbio.2023.35.4.001
김송의 (서울대학교 심리학)
박주용 (서울대학교 심리학)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사회가 복잡해지면서 혼자 해결할 수 없는 문제가 많아지고 있다. 이에, 학습에서는 물론 업무 상황에서 협력은 선택 사항이 아니다. 사람들이 협력하는 방식은 다양하다. 본 연구는 협력 방식에 따라 팀 성과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의 초점은 하이브리드 협력 방식으로, 전통적 협력과 달리, 개인이 먼저 과제 수행을 한 이후 팀원들이 협업하는 방식을 일컫는다. 선행 연구는 아이디어 산출 과제에서 이 방식이 전통적 협력보다 더 우수한 수행을 보인다는 결과를 보고하였다(Girotra et al.., 2010). 본 연구는 새로운 문제 유형에 이 방식을 적용하여 그 일반화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을 대상으로 두 가지 과제를 수행하도록 하고 그 수행 결과를 비교하였다. 참여자들은 단어 뒤섞기와 애너그램 2가지 다른 종류의 영어 단어 생성 과제를 수행하였고, 이후 몇 개의 단어를 성공적으로 만들어냈는지를 측정하였다. 총 96명의 학부생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이들은 전통적 협력, 하이브리드 협력, 그리고 명목집단에 무선적으로 할당되었다. 전통적 협력집단의 경우 30분 간 팀원들과 협업하도록 하였다. 한편, 하이브리드 협력은 개인이 먼저 15분 간 과제를 수행한 이후 15분 간 협력하도록 하였다. 명목집단의 경우 30분 간 개인적으로 과제를 수행하도록 한 다음 참여자들의 수행 결과를 취합하였다. 실험 결과 애너그램 과제에서 하이브리드 협력 방식을 통해 과제를 수행한 집단이 다른 두 집단에 비해 더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러한 결과는 어려운 문제를 풀어야하는 팀 협력 상황에서 하이브리드 협력 방식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keywords
Collaboration, Group Performance, Group Intelligence, Hybrid Collaboration, 협력, 그룹 수행, 집단지성, 하이브리드 협력

Abstract

As society becomes more complex, collaboration gains more significant importance in learning and work contexts. People employ various methods of cooperation, and this study highlights the hybrid collaboration method, where individuals first work on tasks independently and then collaborate with team members. Prior research has demonstrated that this method is more adept at generating ideas than traditional collaborative methods. To test the generalizability of this finding,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two English vocabulary tasks - Word Scramble and Anagram - in three different groups: traditional collaboration, hybrid collaboration, and nominal groups. The participants' performance was subsequently assessed based on the number of correct answers they provid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ybrid collaboration group performed better than the other two groups, in the more challenging Anagram task. Thus, the hybrid collaboration method emerges as a potentially effective means to cultivate collaboration and generate innovative ideas in complex learning and work situations. This provides further evidence of the effectiveness of this approach and suggests it could be effective for individuals and teams aiming to enhance their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skills.

keywords
Collaboration, Group Performance, Group Intelligence, Hybrid Collaboration, 협력, 그룹 수행, 집단지성, 하이브리드 협력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