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6-9654
순간 노출된 자극판에서 표적과 동일한 방해자극이 표적의 정확 식별률을 떨어뜨리는 ‘부적 반복효과’가 보고되어 왔다. 박창호(2014)는 고확률 위치의 경우와 달리, 저확률 위치의 표적과 가까이 있는 방해자극이 정적 반복효과를 보이지만 멀리 있는 방해자극은 부적 반복효과를 보이는 결과를 얻고 이를 주의변동의 탓으로 해석하였다. 본 연구는 좌우 외곽에 주의창을 배치하여 이 해석을 다시 검토하였다. 두 외곽 주의창에서 표적 제시확률이 동일한 실험 1에서 방해자극은 배치 형태에 따라 부적 반복효과 혹은 무 효과를 보였는데, 이는 좌우 방향의 주의변동과 관련 있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실험 2에서 외곽 주의창에서 표적 제시확률을 고, 저로 변동시켰는데, 표적이 고확률 위치에 제시될 때 부적 반복효과가 관찰되었으나 표적이 저확률 위치에 제시될 때 가까이 있는 방해자극에 의한 부적 반복효과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 결과를 반복효과의 발생에 주의변동이 개입한 탓으로 해석하였으며, 그 배후 기제를 줌렌즈 모형을 통해 설명하고자 하였다.
Negative repetition effect (i.e. NRE) has been reported in briefly exposed displays, meaning that adjacent distractor identical to the target decreases the accuracy of target identification. Park (2014) observed that the distractor close to the target showed positive repetition effect when the target appeared at the low-probability location, but not when at the high-probability location, and argued that attentional shifting was responsible for this result. This study aims to check his argument by arranging one attention window at the leftmost and the other at the rightmost position and distractors in between. In Experiment 1, where the probability of target presentation was the same in the two outer position, distractors produced NRE or null effect depending on the arrangement. This result was interpreted as related to the attentional shifting in left-to-right direction. In Experiment 2, the probability of target presentation was varied as high or low in the outer positions, and distractors produced NRE for the target at highly probable positions, but null effect for the target at slightly probable positions. This result was interpreted as that attentional shifting was engaged in producing NRE, and could be explained using zoom lens model of spatial atten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