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한국어 청각 어절 재인에서 첫음절 빈도의 억제 효과

The Inhibitory Effect of the First Syllable frequency in Spoken Eojeol Recognition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2024, v.36 no.2, pp.77-90
https://doi.org/10.22172/cogbio.2024.36.2.002
이솔빈 (고려대학교 심리학부)
권서연 (고려대학교 심리학부)
김준우 (고려대학교 심리학부)
김상엽 (전남대학교 심리학과)
구민모 (고려대학교 심리학부)
남기춘 (고려대학교 심리학부)

초록

본 연구는 한국어 청각 어절 재인에서 첫음절 빈도의 영향력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한국어 3음절 명사 어절 170개와 비어절 170개를 사용하여 청각 어절 판단 과제를 시행하였으며, 비어절은 목표 어절의 음절 하나를 대체하여 생성되었다. 자극이 첫음절부터 순차적으로 제시되는 청각 어절 재인 과제의 특성을 고려하여 비어절을 생성할 때, 각 실험 별로 첫음절, 두 번째 음절, 세 번째 음절을 변형하였다. 청각 어절 판단 과제를 통해 수집된 반응 시간과 정답률에 대하여 선형 혼합 모형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첫음절 빈도, 어근 빈도, 어절 빈도, 음성 재생 시간을 변인으로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음절 빈도의 억제 효과는 실험 1-3에서 모두 일관되게 나타난 반면, 어근 빈도와 어절 빈도의 효과는 실험 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기존 시각 어절 재인 연구에서 보고된 촉진 효과와 대비되는 것으로, 한국어 음절이 음운 단위로서 기능하면 철자 기반의 정보 처리 과정이 아닌, 음운 경로를 통하여 정보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 처리 과정을 통하여 심성 어휘집의 후보군을 활성화하고 외측 억제에 기반하여 어절 재인의 억제가 일어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어 음절이 제시 양상(modality)에 의해 처리되는 방식과 어휘 접속 과정이 달라져서, 어휘 재인에 미치는 영향력이 달라질 수 있음을 함의한다.

keywords
청각 재인, 첫음절, 억제 효과, 어절, 음운 단위, spoken word recognition, first syllable, inhibitory effect, Eojeol, phonological unit

Abstract

The present study aim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first syllable frequency of Korean morphologically complex words, known as Eojeol, on the recognition of spoken Eojeol. Three experiments (Experiment 1 to 3) used 170 pairs of tri-syllabic noun Eojeol and illegal Eojeol. The illegal Eojeols were created by substituting syllables of the target Eojeol in each position. Linear mixed-effect analysis was employed to analyze reaction times and accuracy data collected from each experiment, incorporating variables such as the first phonological syllable frequency, root frequency, Eojeol frequency, and stimuli duration. The results consistently revealed a significant inhibitory effect of the first syllable frequency on Eojeol recognition. However, the effects of root frequency and Eojeol frequency displayed distinct patterns across experiments. Interestingly, these findings contradict previous research indicating a facilitative effect of the first syllable in visual Eojeol recognition. Moreov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Korean first syllable may hinder the recognition of the target Eojeol, particularly if it functions as a phonological unit. In essence, Korean syllables convey different types of information depending on the modality, and the role of the Korean syllable varies accordingly.

keywords
청각 재인, 첫음절, 억제 효과, 어절, 음운 단위, spoken word recognition, first syllable, inhibitory effect, Eojeol, phonological unit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