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6-9654
단어모양이 한글 시각정보처리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명조체와 샘물체로 된 한음절 글자, 두음절 단어, 세음절 단어의 정확인식율을 비교하였다. 명조체는 자모의 모양과 크기가 글자의 고정된 네모틀에 맞게 변형되므로 단어모양이 글자의 자모조합 유형과 음절길이에 따라 크게 달라지지 않는다. 이에 반해 샘물체는 자모조합 유형에 따라 글자의 네모틀이 변형되므로 부가적인 단어변별 정보가 단어모양에 포함되며, 음절길이가 증가할 때 단어모양 정보가 명조체에 비해 더욱 두드러진다. 이처럼 서로 구별될 수 있는 명조체와 샘물체 단어의 시각적 구조는 각각 다른 근거에서 한글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연구결과, 명조체의 정확인식율이 샘물체보다 높았으며, 음절길이가 증가할 때 명조체와 샘물체에 상관없이 정확인식율이 향상되었다. 본 실험의 결과는 단어의 외곽모양 변이가 영어의 경우보다 한글 시각정보처리에서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word shapes on Hangul recognition, one-, two-, or three-syllable words typed in Meungzo and Saemmul fonts were briefly flashed on a screen and the rate of correct recognition was measured. The Saemmul font produces alphabets of relatively regular form but conspicuous variations in word contour particularly when the length of a word exceeds 2 syllables, while the conventional Meungzo font generates alphabets of relatively irregular form but minimum variations in word contour irrespective of word length. These aspects of word shape in Saemmul and Meungzo fonts are expected to differentially affect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of a word.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showed that a word in Meungzo font was recognized more quickly and accurately than that in Saemmul font. As an additional and interesting fording, the current experiments revealed that, for both of the fonts, the rate of correct recognition was increased as a function of word length, which implies the top-down influences like what can be predicted by an interactive activation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