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6-9654
  • E-ISSN2733-466X
  • KCI

편도체 중심핵의 가역적 손상이 공포의 습득과 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Reversible Lesions of the Central Amygdaloid Nucleus on the Acquisition and Expression of Fear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1992, v.4, pp.70-82
신선희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김기석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김현택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지난 수년간 여러 보고들은 편도체가 무조건공포 및 조건공포에 관여함을 시사해 왔는며 근래에 들어서는 이 구조물을 하부핵군으로 구분하여 기능적으로 특정화하려는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편도체 중심핵은 이들 하부핵군들 중 여러 가지 공포반응을 지배하는 뇌간 영역들에 가장 광범위한 투사를 하기 때문에 공포의 표현에 관여할 것이라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그러나 공포의 습득에서 편도체 중심핵의 역할에 대해서는 상반된 주장들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포나 불안을 측정하는 여러 동물모형중에서 상승된 경악반응 절차를 사용하여, 편도체 중심핵의 가역적 손상이 공포의 습득과 표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이를 통해 공포학습에서 편도체 중심핵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공포의 습득장면과 표현장면을 분리하여 연구하기 위해 국소마취제 리도카인이 사용되었다. 실험집단으로는 리도카인의 미세 주입 시기를 훈련 직전과 검사 직전으로 구분한, 리도카인-식염수 집단, 식염수-리도카인집단, 식염수-식염수집단, 리도카인-리도카인집단이 사용되었다. 실험결과, 훈련전이나 혹은 검사전에 리도카인을 투여받은 피험동물들은 경악반응의 상승을 거의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이같은 결과를 상황의존적 인출실패 때문이라고 볼 수 없다. 왜냐하면 리도카인-리도카인 집단 역시 상승된 경악반응을 보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편도체 중심핵이 공포의 표현뿐만아니라 공포의 습득에도 중대하게 관여함을 시사한다.

keywords

Abstract

For the past years there have been not a few reports that suggested the amygdala is responsible for conditioned fear as well as for unconditioned fear. In recent years the attempts have been made to divide the amygdala into several sub-structures and to specify each of them in view of its function. And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among the sub-divisions the central amygdala takes part in the expression of fear because it projects its fibers most expensively to the brainstem areas which control a variety of fear responses. But with respect to the acquisition of fear, the role of the central amygdala is of much controversy. The present study is therefore to investigate what effects the reversible lesions of the central amygdaloid nucleus have on the acquisition and the expression of fear, using the fear-potentiated startle paradigm as an animal model for measuring fear or anxiety, and accordingly to identify the role of the centra amygdala in fear conditioning. To separate conditioning trial from test trial, the local anesthetic lidocaine was used, and so the experiment consisted of four groups on the basis of lidocaine micro-injected right before the conditioning trial or just before the test trial: lidocaine-saline group, saline-lidocaine group, saline-saline group, and lidocaine-lidocaine group. As a result, the animals which had been lidocaine-injected either before the conditioning trial or before the test trial, showed little increase in the startle responses. But the result cannot be due to the state dependent retrieval failure since the lidocaine-lidocaine group showed no fear-potentiated startle responses either. Thus, the result of the study strongly suggests that the central amygdala is involved not only in the expression of fear but also in the acquisition of fear.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