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단폭 및 장폭 가현운동의 상호작용

Do the Two Processes of Apparent Motion Really Interact?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1993, v.5, pp.16-25
염은정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정찬섭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단폭 및 장폭 가현운동 과정간의 상호 의존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단폭과정의 처리 결과에 의존하는 장폭운동과 장폭-단폭과정간의 상대운동 양상을 조사하였다. 가현운동을 Braddick의 기준에 따라 단폭과 장폭의 범주로 분류할 수 있도록 무선점 시네마토그램과 윤곽이 있는 자극을 사용하였으며 자극간 시간간격을 변화시켰다. 한쌍의 무선점 도형을 국소적으로 단폭운동시켰을 때 나타나는 자극도형을 장폭운동의 범주에 속하는 자극간 시간간격 (ISI)과 이동거리를 두고 번갈아 명멸시킨 결과 장폭운동이 지각되지 않았다. 상대운동에서는 표적자극과 그것을 포함하고 있는 틀이 다른 범주의 운동을 할 때보다 같은 범주의 운동을 할 때 틀의 운동방향을 참조하여 표적의 운동방향을 상대적으로 해석하여 지각하는 경향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단폭 및 장폭의 두 가현운동 처리 기제간에 상호의존성이나 위계성이 존재할 가능성이 적으며 두 기제가 독립적인 채널로 구성되어 있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암시한다.

keywords

Abstract

The aspects of relative motion and the 2nd-order long-range motion were examined to investigate the interdependency between the two different processes of short-range and long-range apparent motion. Random-dot cinematograms and contoured stimuli were used to help classifying an observed motion into the two different categories of apparent motion following the Braddick's criterion, In the relative mention, the tendency of perceiving the motion direction of a target stimulus relative to that of the frame was greater when the processes involved in the target and frame motion were in the same category than when they were in different categories. This result was interpreted as an indication of the independence of the short-range and the long-range processes, In the 2nd-order long-range motion which was defined as the long-range apparent motion of a stimulus patch dipicted by a pair of random-dot cinematograms, no evidence was found that the output of the short-range process is hierachically fed into the long-range process as an input stimulus for the further processing.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suggest that there be neither processing dependency nor hierach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mechanisms of short-range and long-range apparnet motion.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