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6-9654
본 연구는 토끼의 고전적 순막 조건화에서의 해마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특별히 자극(조건자극:CS) 처리 단계와 연합의 단계를 구분할 수 있는 잠재적 억제 절차를 이용하였다. 그리고 해마가 CS처리에 관여하는 바를 알아보고자 CS가 소뇌로 전달되기 직전 CS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교핵을 기록부위로 정하였다. 실험결과, 해마를 손상한 동물들과 정상동물들은 사전노출단계 동안 교핵의 다단위 신경반응에 있어서 차이를 나타내었다. 즉, 해마손상 동물들은 정상동물에 비해 반복 제시되는 CS에 지속적으로 더 많은 신경반응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해마가 자극을 처리하고 해석하는데 관여한다는 사실을 간접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해마손상동물이 잠재적 억제 과제에서 학습 지체를 보이지 않는 것은 이들이 부적절한 자극에 대해서도 과다한 반응을 보이기 때문이라고 여겨진다. 해마에서 일어나는 계산적 과정이 과연 주의와 관련되는지의 여부는 본 연구로써 언급하기 어렵다. 그러나 해마손상동물과 정상동물이 잠재적 억제에서 보여주는 차이는 바로 이러한 해마의 CS 처리 관련 기능에 기인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고전적 조건화에서의 해마의 역할이란 연합 그 자체에 대한 것이라기 보다, 자극의 처리에 더욱 관련된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ole of hippocampus in nictitating membrane response in rabbits. Especially, the latent inhibition procedure was used to differenciate between the stage of stimulus(conditioned stimulus:CS) processing and that of association. As the pontine nuclei was the recording sites, it was possible to observe the effects of hippocampus on conditioned stimulus before the information of the CS enters cerebellum. The result was that the multi-unit neural activity in pontine necleus was influenced by hippocampal damage. That is, compared to the normal animals, the hippocampal lesion anmals consistently kept up more neural responses to the repeated CS. However, they showed no difference in the manner in which the multi-unit activity progresses during the course of time. These results indicate indirectly that hippocampus is related to processing and interpreting incoming stimuli. It is considered that hippocampal lesion animals show no retardation of learning in latent inhibition because they response redundantly to irrelavant stimuli. This study is insufficient to conclude that the computational procedure in hippocampus is concerned with attention. Yet, it is reasonable to attribute the cause which the hippocampal lesion animals differ from normal animals in latent inhibition to CS-related function of hippocampus. Therefore the role of hippocampus in classical conditioning is related to CS processing rather than association itsel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