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색깔반복맹과 주의과정

Color Repetition blindness and Attention Processe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1995, v.7 no.2, pp.23-41
김정오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박민규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색깔반복맹 (Kanwisher, 1991)과 부적색채반복효과 (박형생, 1988)은 지각적으로 제한된 상황에서 반복되는 색을 재인하기가 반복되지 않은 색을 재인하기보다 어려운 현상을 지칭한다. 본 연구의 실험 1은 Kanwisher, Driver 및 Machadol (1993)이 새 실험과제에서 얻은 색깔반복맹이 선택적 주의의 결함보다 명도변화에 따른 입력부정에 기인한다는 새 가설의 예언을 검증하였다. 실험 2는 Kim과 Park (1994)이 얻은 부적색채반복효과가 주의이동에 기인할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색입력의 명도를 체계적으로 변화시킨 두 실험에서 색깔반복맹이나 부적색채반복효과가 입력부정 또는 주의이동에 기인함을 시사하는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의 실험 3과 4는 색깔반복맹이 주의의 세 성분, 즉 몰입, 이동 및 이탈 중 어느 성분에 기인하는지를 색 입력들간의 거리, 주의창 및 입력제시시간의 단축 등을 조작하여 검토하였다. 이 두 실험의 결과들은 반복되는 입력으로부터 주의이탈이 색깔반복맹의 일차적 원인이며, 주의이동은 부차적 원인임을 시사하였다.

keywords

Abstract

Both color repetition blindness (Kanwisher, 1991) and the negative color repetition effect (Park, 1988) refer to a poorer recognition of a repeated color than a nonrepeated color in perceptually-limited viewing conditions. Experiment 1 tested an input negation hypothesis that proposed that color repetition blindness (Kanwisher, Driver & Machadol, 1993) results from the negation of a repeated input based on brightness differences, rather than from the failure in token individuation. Experiment 2 explored whether attentional move is responsible for the negative color repetition effect as reported by Kim and Park (1994). These two experiments obtained results indicating that either color repetition blindness or the negative color repetition effect arises from input negation or attentional move. Experiments 3 and 4 examined which component of attention, engagement, move or disengagement, causes color repetition blindness by varying precue locations, distance between color inputs, and also by varying the exposure duration of each input. These two experiments showed that attentional disengagement is the most likely cause of color repetition blindness.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