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공간 심성모형 갱신과정 : 초점화 효과와 거리 효과

Updating Spatial Mental Model During Reading: Focus Effect and Distance Effect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1996, v.8 no.2, pp.253-271
이정모 (성균관대학교 산업심리학과)
이건효 (성균관대학교 산업심리학과)

초록

공간 심성모형에서는 덩이글에 기술된 공간적 배열과 이동의 상대적 거리가 표상의 핵심을 이룬다. 본 연구는 공간 심성모형의 갱신과정에 대한 Morrow 계열의 연구들의 일관되지 않은 결과들이 글읽기 동안의 공간 심성모형 갱신과정이 글읽기와 동시에 완료된다는 잘못된 가정에서 출발하였기 때문이라는 것을 입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심성모형 갱신과정 동안의 주인공의 조망에 기초한 초점화 효과와 거리 효과에 대한 관찰이 세 개의 실험에서 이루어졌다. 실험 1에서는 단일단어에 대한 탐사재인 과제를, 실험2에서는 목표문장 속의 물건과 다른 물건의 짝에 대한 탐사재인 과제를 실시하였다. 두 실험 결과 읽기시간상에서는 미약한 거리효과가 나타났고 공간 심성모형의 갱신과정이 요구되는 목표문장을 읽은 직후 500 msec 시점에서의 탐사재인 반응시간에서는 거리 주효과와 이동 경로 거리가 먼 조건에서의 역방향의 초점화 효과가 관찰되었다. 실험3에서는 도면 학습시 심성모형 형성을 촉진하는 지시를 추가하였다. 결과는 두 측정치 모두에서 보다 분명한 거리효과가 나타났다. 세 실험의 결과는 공간 이동 정보를 포함하는 덩이글 이해 시에 사람들은 주인공의 조망에 근거해서 공간 심성모형을 형성하고 갱신하며, 그 과정은 관련 문장을 읽은 직후 500 msec 시점에서는 아직 완료되지 않음을 시사한다.

keywords

Abstract

The present resear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ocesses of updating the mental models in learning a spatial layout and reading a text about the layout. In the Morrow et al. study, they assumed that the process of updating mental model is completed immediately after reading the text. To examine this assumption, three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all the experiment, subjects first overlearn a spatial layout of a building and then given a text describing a layout of the building and character's actions which are moving things from a starting room to one of the two rooms that are equal in geometric distance from the starting room but different in route distance. Immediately after reading the target sentence in the text, subjects were given an one-word probe recognition task(Experiment 1), or a 'two-objects same-room' judgement task(Experiment 2 & 3). In Experiment 3, an additional instruction explicitly inducing subject to form a spatial mental model of the layout was given. The general results showed that a difference in route distance had marginal effect on the reading time(Exp 1& 2), but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 probe recognition time when the test probe was given about the things in the newly moved-to room but not when in the starting room. This results suggest that updating of mental models are not completed right after reading the target sentence but still in progress, and that the route distance is the only variable that has some influence in this later updating process.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