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 P-ISSN1226-9654
  • E-ISSN2733-466X
  • KCI

글 이해에서 인과정보의 통합과정

Integration Processes of Causal Information in Text Comprehension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1996, v.8 no.2, pp.237-252
박천식 (부산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이 연구는 덩이글 속에서 떨어져 있는 인과정보가 통합가능한지 알아보고, 만일 가능하다면 성별단서가 떨어져 있는 인과정보의 통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실험 I에서는 원인명제에서 뽑은 단어의 명명시간을 통하여 떨어져 있는 인과사상이 통합가능한지 알아보았다. 원인문장을 읽고 화제가 바뀌어 원인명제를 배경화시킨 다음 결과사상이 제시된 인과추론조건이 국소적인 응집성이 이루어진 통제조건보다 원인사상을 나타내는 목표단어의 명명시간이 빨랐다. 이것은 결과문장을 읽는 동안 선행정보를 참조하여 선행정보와 통합된 결과로 해석되었다. 실험 II에서는 떨어져 있는 인과정보의 통합과정에서 성별참조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주인공의 이름에서 나타난 잠재적인 성별단서와 대용어의 성별단서가 일치하는 조건(성-일치조건)이 일치하지 않는 조건(성-모순조건)보다 목표단어의 명명시간이 빨랐다. 이와 같은 결과는 결과문장을 읽으면서 원인명제를 재활성화시키는 과정에서 성별단서와 상호작용한 것으로 해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이 실험 결과를 인과정보의 통합과정과 관련시켜 논의하였다.

keywords

Abstract

Two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examine whether the distant causal antecedents can be integrated with consequent events and how gender cues affect the integration of causal information during text comprehension. In Experiment I, participants read each passage that contained a causal coherence break that could be resolved by reactivating a proposition presented earlier in the passage. After reading final sentences of the passages which were either consequents of the earlier mentioned causal antecedents(experimental condition) or locally coherent ones(control condition), participants named the target words that had occurred in the causal sentences presented at the beginning of the passages. Naming time of the target words was faster in the experimental condition than that in the control condition. This result was interpreted that causal information is quickly reactivated after encountering the consequents. In Experiment II, gender information given by the pronouns in the consequent sentences was manipulated. The gender cues of the pronouns were consistent with the names of the protagonists in the earlier mentioned causal sentences in one condition and contradictory in the other condition. The naming time of the target words that had occurred in the causal sentences was faster in the consistent condition than in the contradictory condition. The whol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integration processes of causal information in the text comprehension.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