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계시적 순서학습에서의 양측성 학습전이 - 내적 표상과 동작제어의 위계적 개념 -

A Study of Bilateral Transfer on Serial Pattern Learning : Hierarchical Concept of Internal Representation and Movement Control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1989, v.1, pp.1-10
문익수 (고려대학교 체육교육과)
김진환 (고려대학교 체육교육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연구는 한 동작 순서로부터 다른 동작순서로의 양측성 학습전이에 대한 서로 다른 순서구조들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피험자들은 컴퓨터 화면에 제시된 4개의 수평선 상에서 특정한 순서들로 제시되는 "x"표시의 시각자극에 대해 엄지를 제외한 4개의 손가락으로 그와 일치하는 반응건반을 누르도록 지시받았다. 먼저 왼손으로 한 순서유형을 연습한 후에 오른손으로 두번째 순서유형을 연습하였다. 18명의 피험자들이 2개의 결하조건과 1개의 통제조건 중 하나에 무선적으로 배정되었다.(위계적 전환조건=6명, 직렬적 전환조건=6면, 동세조건=6명, 반응시간:RT 이 종속변인으로 측정되었으며, 순서의 학습이 잔여과제에 대해 수행향상도에 의해 평가되었다. 순서전환의 2가지 유형이 한 순서로부터 다른 순서학습의 양측성 전이연구에 사용되었아. (1) 위계적 : 위계집단의 전환유형은 연습유형의 동작요소들이 3개씩 군집화되어 재 배열되도록 고안되었다. 그러므로서, 전체적인 반응요소들의 순서는 재 배열되었지만 군집내의 반응요소들의 순서는 연습유형과동일하다. (2) 직렬적 : 직렬집단의 전환유형은 반응의 첫번째 시작 위치만 바뀌고 연습유형과 동일하게 고안되었다. 이 조건에서 연습조건과 전이조건의 반응요소들의 배열이 매우 유사 하지만 군집내의 동질성이 바뀌었다. 그리고 통제집단은 연습유형과는 완전히 새로운 전이유형을 제시받았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초기 연습수행에 있어서 집단간(위계, 직렬, 통제에 반응속도의 차이는 없었다 (F(2,15)=0.259, p>.05). 2. 그림에도 불구하고, 제 집단 모두 연습시행이 증가함에 따라 동작순서 학습의 유의한 연습효과를 나타냈다(F(9, 135)=20.007, p<.001). 3. 초기 연습단계에 있어, 학습조건과 반복 연습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없었다(F(18, 135)=0.618, p>.05). 4. 전이 단계에 있어, 위계집단이 직렬집단과 통제집단에 비해 월등한 수행향상을 나타냈다(F(2, 15)=28.95, p<.003). 이와 같은 사실들은 순서에 대한 내직표상이 직렬적이기 보다는 위계적으로 조직되어지며, 동작순서의 실행이, 비록 다른 효과기(본 연구에서는 다른 팔)에 의할지라도, 위계적으로 제이된다는 관점을 제시한다. 덧붙여서, 결과들은 동작의 하위단위들이 피험자들에 의해 순서의 반응간 구조가 설정되었을 때, 상호 전환될 수 있다는 관점을 지지하는 강력한 증거를 제공하였다.

keywords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ifferent sequence structures on I he bilateral transfer of learning from one sequence to another. Subjects were asked to respond to visual stimulus of a "x" mark appeared in a particular sequence on the CRT at one of four locations arranged horizontally. They were instructed to respond to the visual signal by pressing the corresponding keys with their four fingers After practicing one serial pattern for a substantial period of time with one hand, the subjects transferred to a second pattern with the other hand III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wo experimental conditions and a control condition [hierarchy(n =6). VS. linear(n =6), control(n =6)]. Reaction time constituted the dependent variable and learning of the sequence was evaluated by measuring the amount of facilitation of the performance on the transfer tasks. Two types of sequence transformations were used to study the bilateral transfer of learning from one sequence to another (1) hieararchical transfer patterns for a hieararchy group were designed in a way such that the three groups of elements of the practice pattern were rearranged. Thus. Sub-group integrity was maintained even though the overall element orders was rearranged. (2) linear: For a linear group, the transfer pattern was identical 10 the practice pattern except that the starting position was altered. In this condition, the order of elements in pattern was very similar in the initial and transfer condition, but sub-group identity was altered A third group(control group) received an entirely new pattern. The results were following (1) No statistical differences among the hieararchy, linear and control groups were found in initial training performance [F(2, 15)=0.359, p>.05]. (2) However, during the initial training phase the ANOVA revealed a significant main effect of practice trials which indicated all three group, learned the sequence significantly better as the practice trials progressed [F(9. 135)=20.007, p<.001]. (3) On the initial training phase. the ANOVA showed there was no interation between conditions and practice trials [F(18, 135) =0.618, p>.05]. (4) On the transfer phase. the hieararchy group was significantly superior 10 either the linear or control groups [F(2, 15)= 8.95, p< .003]. The findings support the notion thet the internal representation of a sequence is hieararchicalIy, rather than linearly. organized and the execution of movement sequence is controlled hieararchically even though different effector(different hand in this study). In addition. the results provided strong evidence for the notion that the subunits of movement can be interchangeable once subjects establish interval structure of the sequence.

keywords
투고일Submission Date
1989-11-08
수정일Revised Date
1989-11-08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