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Kainic acid 를 사용한 소뇌피질 단소엽의 손상이 고전적 순막조건화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Kainic Acid Lesions of the Cerebellar Simple Lobule on Classically Conditioned Nictitating Membrane Responses in Rabbit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1989, v.1, pp.1-9
문양호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김기석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소뇌피질 단소엽의 손상이 고전적 순막조건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소뇌피질 단소엽이 순막조건화에 필수적인 신경 구조물인가를 확인하고, 또한 순막조건화와 관련된 필수적인 기억흔적이 형성되는 신경가소성이 일어나는 부위인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토끼를 대상으로 순막조건화를 실시한 후 소뇌피질 단소엽을 파괴하였으며, 이어서 이전에 확립된 조건반응의 파지 및 재학습 여부, 그리고 전이효과를 검사하였다. 소뇌피질 단소엽의 손상은 신경섬유의 역행성 변성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세포체만을 선택적으로 손상시키는 Kainic acid을 미세주입하였다. 실험결과, 소뇌피질 단소엽이 완전히 손상된 집단은 손상전에 확립된 순막 조건반응의 파지 및 재학습이 불가능하였으나 무조건반응은 영향받지 않았다. 한편, 단소엽이 아닌 다른 소엽에 동일한 양의 Kainic acid에 의한 손상을 받은 통제집단은 이전에 확립된 조건반응이 존속되었다. 이와같은 본 연구의 결과는 소뇌피질 단소엽이 순막조건화에 결정적인 신경구조물임을 밝힌 이전의 연구결과들과 일치하며, 조건화 동안에 기억흔적과 관련된 신경가소성이 소뇌피질 단소엽에서 일어난다는 가설을 지지한다.

keywords

Abstract

The present experiment purports to examine effects of the cerebellar cortical simple lobule(HVI) on the classical conditioning of rabbit's nictitating membrane responses(NMR). The study examined whether the lobule HVI is an essential structure for NMR conditioning and whether it is the localized site where the critical memory trace related to classical NMR conditioning is formed. Many of the previous studies which explored the function of the lobule HVI in the MNR neural circuit have employed aspiration lesion techniques. But the aspiration may also damage inferior olive, pontine nuclus and deep cerebellar nucleus by retrograde degenerations of neural fibers as well as the simple lobule. In this study, kainic acid was micro-injected into the lobule HVI in order to overcome such porblems because the kainic acid destroys selectively the cell bodies and leave the fibers intact. Subjects were 16 rabbits. All animals were trained using standard procedures for NMR conditioning. The conditioning involves a tone(1㎑, 85㏈ SPL, 350㎳) as the conditioned stimulus(CS) with a coterminating periorbital electric shock(3㎃, 100㎳) delivered at the right eye as the unconditioned stimulus(US). Following the conditioning, the simple lobule of the right side cerebellum was lesioned. After recovery, animals received 5 days training on the right side to test for retention and reacquisition of conditioned responses. Then, animals received an additional session in which training was switched to the left side. Results show that complete lesions of the lobule HVI abolished previously established conditioning and prevented subsequent reacqusition, while unconditioned responses to US were intact. Lesions of the other cerebellar lobules did not impair the conditioning.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simple lobule is an essential part for classical NMR conditioning and that neural plasticity related to memory trace during the conditioning occurs in the simple lobule rather than in the dentate-interpositus nucleus.

keywords
투고일Submission Date
1989-10-09
수정일Revised Date
1989-10-27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