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곡선 추적하기에서의 자기종료적 처리과정

Self-terminating Processing in Curve Tracing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1989, v.1, pp.21-36
곽호완 (존스 홉킨스대학교)
김정오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서로 얽히지 않은 기본 선분 패턴들을 사용하여 시각적으로 제시된 곡선의 추적에 관여하는 기본 처리과정들이 무엇인지를 두 실험을 통해서 밝히고자 하였다. 실험 1의 피험자들은 한 선분이 연속적인지, 아니면 하나 또는 두 틈때문에 불연속적인지를 빨리, 정확히 판단해야했다. 선분의 복잡성, 틈의 중복성, 두 점 거리 및 틈 거리(gap distance)의 효과가 검토되었다. 선분에 틈이 있는 시행과 그렇지 않은 시행 모두에 있어서 평균 반응시간은 두 점 거리, 즉 해당 선분의 끝에서 끝 간의 직선 거리와 함께 선형적으로 증가하였다. 두 점 거리는 선분의 복잡성과 상호작용하였다. 곡선에 따라 거리와 더불어 반응시간이 증가한다는 이러한 결과는 Ullman(1984)의 곡선 추적하기 (curve tracing)가설과 일치한다. 그러나 틈이 있는 시행이 평균 반응시간은 틈 거리, 즉 중앙점과 틈 간의 거리와 함께 선형식으로 증가했디. 봄이 둘이 있는 시행의 경우 그 반응시간은 틈이 하나 있는 시행의 반응시간 보다 훨씬 빨랐다. 틈이 하나 있고 두개의 X가 있는 반원을 사용한 실험 2는 곡선 추적하기 과정이 소진적(exhaustive)인지 자기종료적(self-lerminating)인지를 검토하였다. 이 실험에서도 동일 시행의 평균 반응시간은 두 X들 간의 거리와 더불어 선형적으로 증가한 반면, 상이 시행의 경우 그 평균 반응시간은 이 거리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았다. 두 실험의 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틈 거리와 틈 중복성의 효과는 자기종료적 곡선추적하기 과정에 의해 가장 잘 설명된다.

keywords

Abstract

Several possible operations on visual curve tracing were investigated using elementary stimuli without interweaving curves. Experiment 1 required subjects to determine whether a line segment was connected or disconnected by one or two gap(s). The effects of line complexity, gap redundancy, two-point distance, and gap distance were assessed. Mean response time for both gap and no-gap trials increased linearly with two-point distance (i.e., linear distance between the ends of the line segment). Furthermore, two-point distance interacted with line complexity. Therefore, response time increased with the distance along the curve, consistent with the notion of "curve tracing"(Ullman, 1984). In the gap trials, however, mean response time increased linearly with gap distance (i,e.. distance between a central point and a gap). Furthermore, mean response time for double-gap trials was faster than that for single-gap trials. Using a half circle with a gap and two Xs. Experiment 2 tested whether the curve tracing operation is carried out by an exhaustive or by a self-terminating process. Again, mean response time in same trials increased linearly with the distance between two Xs. However, mean response time in different trials remained unaffected by the distance between two Xs. Taken together, effects of gap distance and gap redundancy are best explained by a self-terminating curve tracing process.

keywords
투고일Submission Date
1989-11-22
수정일Revised Date
1989-11-22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